[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조회 수 3512 추천 수 0 2016.06.15 08:51:58

 '손'은 날수에 따라 4방위로 돌아다니며 우리 움직임을 방해한다는 귀신을 일컫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음력 9일이네요.
우리는 양력과 음력을 같이 쓰므로 음력도 좀 알아야 합니다.

이사, 집수리, 결혼, 개업, 이장 따위 집안의 큰 행사가 있을 때 어르신들은 '손 없는 날'을 골라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손'은 날수에 따라 4방위로 돌아다니며 우리 움직임을 방해한다는 귀신을 일컫는 말입니다.

손은
음력으로 1, 2가 들어가는 날은 동쪽에,
3이나 4가 들어가는 날은 남쪽에,
그리고 5나 6이 들어가는 날은 서쪽에 있고,
7이나 8이 들어가는 날은 북쪽에 있다고 합니다.
9와 10이 들어가는 날은 하늘로 올라가 있으므로 귀신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무 손도 타지 않는다는 9일과 10일은 사방으로 막힌 데가 없다고 해서 길일이라고 합니다.

오늘이 9일입니다.
어디로 가셔도 손이 없으므로
맘껏 움직이시면서 일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얼다와 얾]

안녕하세요.

"아빠, 작은 상추가 다 떨어지고, 모두 마빡이가 됐어요!"
아침 출근길에 나뭇잎이 다 떨어진 가로수를 보고 네 살배기 아들 녀석이 한 말입니다.

제가 장난치려고 애를 안고 가로수 나뭇가지에 머리를 스치게 했더니,
"아빠, 나무가 제 머리를 빗겨주네요."라고 말하네요.
애들 말만 들어도 기분이 좋습니다. ^^*

오늘은 날씨가 좀 풀렸죠?

날씨가 추워지더니 벌써 얼음이 언 곳이 많다고 하네요.
오늘은 얼다의 이름씨꼴(명사형)을 알아보겠습니다.
'얼다'의 명사형은 '엄'이 아니라 '얾'입니다. 

우리말에
동사를 명사처럼 만들어주는 명사형 어미는 '(으)ㅁ'을 씁니다.
'먹다'의 명사형은 '먹음'이고, '가다'의 명사형은 '감'입니다.

헷갈리는 것은 'ㄹ'불규칙활용입니다.
동사의 어미가 자음 'ㄹ'로 끝나는 경우죠.

'ㄹ'은 비록 자음이지만 현대국어에 'ㄻ'이라는 겹받침의 형태가 있기 때문에
'으'를 개입시키지 않고 자연스럽게 ㄹ 다음에 ㅁ이 들러붙는 형태를 씁니다. 

우리가 잘 아는 '살다'의 명사형이 '삼'이 아니라 '삶'이잖아요.
이처럼 '만들다'의 명사형은 '만듦'이고 '줄다'의 명사형은 '줆'이고, '갈다'의 명사형은 '갊'입니다.

마찬가지 '얼다'의 명사형은 '엄'이 아니라 '얾'입니다.
좀 낮설죠? ^^*

얼음 이야기를 쓰니 더 추운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9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92
1476 [2012/02/01] 우리말) 제연경계벽 머니북 2012-02-02 3425
1475 [2007/06/14] 우리말)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426
1474 [2010/06/08] 우리말) 새퉁이 moneybook 2010-06-08 3426
1473 [2010/10/25] 우리말) 매무새와 매무시 moneybook 2010-10-25 3426
1472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426
1471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427
1470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427
1469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27
1468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428
1467 [2012/01/13] 우리말) 소소하다 머니북 2012-01-13 3428
1466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429
1465 [2010/01/14] 우리말) 막걸리 id: moneyplan 2010-01-14 3429
1464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429
1463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30
1462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430
1461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431
1460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3431
1459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431
1458 [2012/11/30]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2-11-30 3431
1457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