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14] 우리말) 몹쓸

조회 수 3572 추천 수 0 2016.06.15 08:52:38

우리말 '몹쓸 놈'에서 '몹쓸'은 
쓰지 못할 이라는 뜻이 아니라
"악독하고 고약한"이라는 뜻을 지닌 관형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것 같습니다.
어제 미국에서는 누군가 총을 쏴서 100명 정도가 다쳤다고 합니다.
며칠 전 우리나라 한 섬에서는 집단 성폭행이 있었습니다.
모두 나쁜 사람들입니다. 용서받을 수 없는 사람들입니다.
그런 사람들은 사회에서 쓰지 못할 못쓸 사람이 아니라 악독하고 고약한 몹쓸 사람입니다.

우리말 '몹쓸 놈'에서 '몹쓸'은 
쓰지 못할 이라는 뜻이 아니라
"악독하고 고약한"이라는 뜻을 지닌 관형사입니다.
몹쓸 것/몹쓸 곳/몹쓸 놈/몹쓸 말/몹쓸 병/몹쓸 사람/몹쓸 짓/나는 술에 취해 아이에게 몹쓸 소리를 마구 해 대고 말았다처럼 씁니다.

사람은 누구나 소중합니다.
그런 소중한 사람을 해친 사람은 '몹쓸 놈'입니다.

몹쓸 것, 몹쓸 놈, 몹쓸 말, 몹쓸 병, 몹쓸 사람이 없는 사회가 좋은 사회겠죠?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안쫑잡다]

안녕하세요.

지난주는 일주일 내내 감사를 받느라 무척 힘들었습니다. 기관의 기획실장으로서 온몸으로 감사를 받았습니다. ^^*
다음 주에 보완감사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별 탈 없이 잘 지나갔습니다.

우리말에 '안쫑잡다'는 말이 있습니다.
'안쫑'이라는 낱말은 우리는 쓰지 않으나 북한에서는 "마음속으로 종잡는 짐작이나 대중"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쫑잡다'는 낱말은 사전에 있어
"마음속에 품어 두다, 겉가량으로 헤아리다."라는 뜻으로 씁니다.
쉽게 풀면 "마음속으로 대충 헤아리다"는 뜻이 됩니다.

이 안쫑잡다를 안쪽이 있는 마음을 잡는다고 생각해서 '안쪽잡다'라고 쓰시는 분을 봤습니다. 
그러나 표준어 규정에 보면,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뜻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가운데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안쪽잡다'를 버리고 '안쫑잡다'를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두 개 가운데 하나만을 표준어를 잡는 것은 복수 표준어와 대립하는 처리인데,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려면 그 발음 차이가 이론적으로 설명되든가, 
두 형태가 비등하게 널리 쓰이든가 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음에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게 되면,
국어를 풍부하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혼란을 일으킬 수 있을 때 하나만 표준어로 봅니다.

감사를 받으면서,
감사관이 요청한 자료를 다 내주는 것도 이상하고, 
그렇다고 막무가내로 자료를 안 내주는 것도 안 될 말이고...
감사관이 무슨 생각으로, 어떤 목적으로 이 자료를 내라고 하는지를 안쫑잡아 적당한 선에서 자료를 내줍니다.
제가 그렇게 감사를 받았더니,
감사가 끝날무렵 한 감사관이 "수감 참 잘하시네요."라고 말씀하시더군요.
세상 참... 감사를 받으면서 감사관에게 칭찬을 듣기는 처음입니다. ^^*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었습니다.
고운 마음으로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07
1196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3604
1195 [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머니북 2014-02-26 3604
1194 [2014/09/22] 우리말) 야식과 밤참 머니북 2014-09-22 3604
1193 [2012/06/08] 우리말) 센티미터 머니북 2012-06-08 3605
1192 [2016/01/06] 우리말) 사과나무 머니북 2016-01-06 3605
1191 [2017/01/16] 우리말) 굴지 머니북 2017-01-17 3605
1190 [2011/09/06] 우리말) 만날도 맞고 맨날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6 3606
1189 [2012/01/27] 우리말) 우리말 모임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01-27 3606
1188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606
1187 [2010/04/16] 우리말) 바끄럽다/서머하다 id: moneyplan 2010-04-16 3609
1186 [2013/04/03] 우리말) 만빵과 만땅 머니북 2013-04-04 3610
1185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611
1184 [2017/09/27] 우리말) 광어와 넙치 머니북 2017-11-06 3611
1183 [2012/02/15] 우리말) 노름마치 머니북 2012-02-15 3612
1182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3612
1181 [2007/08/08] 우리말) '각각'은 '따로따로' id: moneyplan 2007-08-08 3614
1180 [2013/01/29] 우리말) 왔다리갔다리 머니북 2013-01-29 3614
1179 [2010/12/16] 우리말) 웃옷 moneybook 2010-12-16 3615
1178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3615
1177 [2013/08/16] 우리말) 책 소개 '오염된 국어사전' 책 소개(2) 머니북 2013-08-19 3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