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16] 우리말) 엽다/가엾다

조회 수 4172 추천 수 0 2016.06.17 18:53:34

"마음이 아플 만큼 안되고 처연하다."는 뜻을 지닌 낱말은 '가엾다'입니다.
이를 '가엽다'로 써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에는 롯데 그룹에 대한 이야기와 대우조선해양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대우조선해양에서는 회사는 망해가는데 직원들은 성과급 잔치를 하고, 한 직원은 회삿돈 180억 원을 빼돌렸다고 합니다.
롯데 그룹도 검찰이 수사하는 중이기는 하지만, 뭔가 뒤가 좀 구린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무엇 때문에 그렇게 무리해서 일을 그르칠까요?
아마도 욕심 때문일 겁니다.
돈을 많이 벌겠다는 욕심이 눈을 멀게 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참으로 가엾습니다.

"마음이 아플 만큼 안되고 처연하다."는 뜻을 지닌 낱말은 '가엾다'입니다.
이를 '가엽다'로 써도 됩니다.
한꺼번에 부모와 형제를 모두 잃은 그 애가 가엾어 보인다, 소년 가장이 된 그 애가 보기에 너무 가엾었다.
그는 세상에 의지할 곳 없는 가여운 존재이다, 견딜 수 없이 그녀가 가엽게 여겨져 자신도 모르게 화가 풀려 버리는 것이었다처럼 씁니다.

사람은 누구나 빈손으로 와서 빈손으로 갑니다.
돈을 많이 가져 보지 못해서, 그게 얼마나 좋은지는 모르지만,
행복한 삶을 위해서 돈이 꼭 많아야 하는 것은 아닐 겁니다.

지나친 욕심은 화를 부른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을 보면 
참으로 가엽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군자삼변]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자 이야기를 좀 해 볼게요.

1.
어제 회사 내부통신에 부고가 떴는데 '승중상'이라고 나오더군요.
뜻을 몰라 사전을 찾아봤더니
승중-상(承重喪) : 아버지를 여읜 맏아들이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돌아가셔서 치르게 된 초상
이라고 나옵니다.
저는 처음 들어본 낱말입니다.

2.
오늘, 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입니다.
농업이 국민경제의 근간임을 국민에게 인식시키고, 
농업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입니다.
11을 한자로 쓰면 十一입니다. 一을 十 아래로 내리면 흙 토(土) 자가 됩니다. 
이렇게 흙이 두 번 나오는 날이라고 해서 1996년부터 11월 11일을 '농업인의 날'로 정했습니다.
우리가 먹는 거의 모든 것은 농업에서 나옵니다.
농업인 여러분 고맙습니다. 

3. 
아침에 KBS라디오에서 시사고전이라는 것을 들었습니다.
오늘은 군자삼변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무릇 군자에게는 세 가지 변화하는 모습이 있는데,
첫째는 멀리서 보면 근엄해 보이는 것이고,
둘째는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따뜻하며,
셋째는 그 말을 들으면 논리가 있다(바르고 엄숙하다)고 했습니다.
(子夏曰 君子 有三變하니 望之儼然하고 則之也溫하고 聽其言也려니라.)

저는 군자라는 소리를 듣고 싶은 생각은 없으나,
바르고 어질게는 살고 싶습니다.
군자의 세 가지 다른 모습 가운데 저에게 해당되는 게 있는지를 반성해 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3
1376 [2011/04/27] 우리말) 국어사전 moneybook 2011-04-27 3543
1375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43
1374 [2010/09/1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09-15 3544
1373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44
1372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546
1371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3546
1370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546
1369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46
1368 [2012/02/13] 우리말) 쏜살같다 머니북 2012-02-13 3547
1367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548
1366 [2013/07/12] 우리말) 마음눈 머니북 2013-07-15 3548
1365 [2015/10/29] 우리말) 으레/의례 머니북 2015-10-29 3548
1364 [2010/03/3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10-03-31 3549
1363 [2013/11/04] 우리말) 난임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3-11-04 3549
1362 [2015/04/22] 우리말) 혼인과 결혼 머니북 2015-04-22 3549
1361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549
1360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549
1359 [2017/08/07] 우리말) 블라인드 채용 머니북 2017-08-07 3549
1358 [2012/01/18] 우리말) 설빔과 세뱃돈 머니북 2012-01-18 3550
1357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