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16] 우리말) 엽다/가엾다

조회 수 3850 추천 수 0 2016.06.17 18:53:34

"마음이 아플 만큼 안되고 처연하다."는 뜻을 지닌 낱말은 '가엾다'입니다.
이를 '가엽다'로 써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에는 롯데 그룹에 대한 이야기와 대우조선해양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대우조선해양에서는 회사는 망해가는데 직원들은 성과급 잔치를 하고, 한 직원은 회삿돈 180억 원을 빼돌렸다고 합니다.
롯데 그룹도 검찰이 수사하는 중이기는 하지만, 뭔가 뒤가 좀 구린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무엇 때문에 그렇게 무리해서 일을 그르칠까요?
아마도 욕심 때문일 겁니다.
돈을 많이 벌겠다는 욕심이 눈을 멀게 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참으로 가엾습니다.

"마음이 아플 만큼 안되고 처연하다."는 뜻을 지닌 낱말은 '가엾다'입니다.
이를 '가엽다'로 써도 됩니다.
한꺼번에 부모와 형제를 모두 잃은 그 애가 가엾어 보인다, 소년 가장이 된 그 애가 보기에 너무 가엾었다.
그는 세상에 의지할 곳 없는 가여운 존재이다, 견딜 수 없이 그녀가 가엽게 여겨져 자신도 모르게 화가 풀려 버리는 것이었다처럼 씁니다.

사람은 누구나 빈손으로 와서 빈손으로 갑니다.
돈을 많이 가져 보지 못해서, 그게 얼마나 좋은지는 모르지만,
행복한 삶을 위해서 돈이 꼭 많아야 하는 것은 아닐 겁니다.

지나친 욕심은 화를 부른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을 보면 
참으로 가엽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군자삼변]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자 이야기를 좀 해 볼게요.

1.
어제 회사 내부통신에 부고가 떴는데 '승중상'이라고 나오더군요.
뜻을 몰라 사전을 찾아봤더니
승중-상(承重喪) : 아버지를 여읜 맏아들이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돌아가셔서 치르게 된 초상
이라고 나옵니다.
저는 처음 들어본 낱말입니다.

2.
오늘, 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입니다.
농업이 국민경제의 근간임을 국민에게 인식시키고, 
농업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입니다.
11을 한자로 쓰면 十一입니다. 一을 十 아래로 내리면 흙 토(土) 자가 됩니다. 
이렇게 흙이 두 번 나오는 날이라고 해서 1996년부터 11월 11일을 '농업인의 날'로 정했습니다.
우리가 먹는 거의 모든 것은 농업에서 나옵니다.
농업인 여러분 고맙습니다. 

3. 
아침에 KBS라디오에서 시사고전이라는 것을 들었습니다.
오늘은 군자삼변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무릇 군자에게는 세 가지 변화하는 모습이 있는데,
첫째는 멀리서 보면 근엄해 보이는 것이고,
둘째는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따뜻하며,
셋째는 그 말을 들으면 논리가 있다(바르고 엄숙하다)고 했습니다.
(子夏曰 君子 有三變하니 望之儼然하고 則之也溫하고 聽其言也려니라.)

저는 군자라는 소리를 듣고 싶은 생각은 없으나,
바르고 어질게는 살고 싶습니다.
군자의 세 가지 다른 모습 가운데 저에게 해당되는 게 있는지를 반성해 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98
1316 [2010/07/19]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moneybook 2010-07-19 3469
1315 [2013/07/08] 우리말) 블랙박스 머니북 2013-07-08 3469
1314 [2009/06/05] 우리말) 어부인이 아니라 그냥 부인입니다. id: moneyplan 2009-06-05 3470
1313 [2011/10/19] 우리말) 공부 말뿌리 머니북 2011-10-19 3470
1312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3470
1311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471
1310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471
1309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471
1308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472
1307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472
1306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473
1305 [2007/12/12] 우리말)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 id: moneyplan 2007-12-12 3473
1304 [2008/06/04] 우리말) 팔방미인과 두루치기 id: moneyplan 2008-06-05 3473
1303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473
1302 [2009/06/02] 우리말) 죽음과 서거 id: moneyplan 2009-06-02 3473
1301 [2014/09/02] 우리말) 씽크홀 머니북 2014-09-02 3473
1300 [2010/04/08] 우리말) 개나릿길 id: moneyplan 2010-04-08 3474
1299 [2011/01/28] 우리말) 행안부와 까도남의 다른점 moneybook 2011-01-28 3474
1298 [2007/08/20]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7-08-20 3475
1297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