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17] 우리말) 분식회계

조회 수 2901 추천 수 0 2016.06.17 18:54:00

분식회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안녕하세요.

대우해양조선에서 분식회계를 해서 회사가 돈을 많이 번 것처럼 속이고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많이 나눠줬다고 합니다.
'분식회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분식'은 여러 가지 뜻이 있는데,
粉飾에서 온 뜻은 "실제보다 좋게 보이려고 사실을 숨기고 거짓으로 꾸밈."입니다.
얼굴에 분을 발라 예쁘게 꾸밀 때 쓰는 바로 그 분(粉)입니다.

따라서, 분식회계는
회사에 돈이 들어가고 나가는 것을 손해가 보이지 않도록 사실을 숨기고 셈을 한 것 정도가 될겁니다.
'분식회계'가 회계에서는 자루 쓰는 전문용어인지는 모르지만,
많은 사람이 알 수 있게 쉬운 낱말로 바꿔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어느와 어떤]

안녕하세요.

오늘은 갑자기 국회로 출장 갈 일이 생겨 좀 일찍 나왔습니다.
이것저것 자료를 좀 챙겨야 하거든요.

요즘 날씨가 추워지니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넥타이를 매고 나옵니다.
그러면 좀 덜 춥거든요.
아침에 아들에게 넥타이를 골라달라고 하고, 하나를 골라주면 왜 그걸 골랐냐고 물어봅니다.
그럼 나름대로 뭐라고 하더군요. 그러면서 아들과 이야기하고... ^^*
사실 아침에만 잠시 넥타이를 매기 때문에 아들이 어느 것을 골라주건 저는 별로 신경 쓰지 않습니다.

오늘은 '어느'와 '어떤'을 갈라볼게요.
먼저
'어느'는 여럿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나
여럿 가운데 똑똑히 모르거나 꼭 집어 말할 필요가 없는 막연한 사람이나 사물을 이를 때 쓰는 말입니다.
어느 것이 맞는 답입니까?, 산과 바다 가운데 어느 곳을 더 좋아하느냐?, 비가 내리던 어느 가을 저녁이었다처럼 씁니다.

'어떤'은 
'어떠한'의 준말로
사람이나 사물의 특성, 내용, 상태, 성격이 무엇인지 물을 때나
주어진 여러 사물 중 대상으로 삼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 쓰는 말입니다.
주로 의문문에 쓰이죠.
그는 어떤 사람이니?, 너는 이 둘 중에서 어떤 옷이 더 마음에 드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나요처럼 씁니다.

좀 헷갈리시죠?
더 나가
여럿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을 때는 '어느'와 '어떤'을 같이 쓰일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으로든 일을 성사시켜야 한다",
"어느 방법으로든 일을 성사시켜야 한다",
"어떤 부모라도 그렇게 했을 것이다",
"어느 부모라도 그렇게 했을 것이다"와 같이 
관련되는 대상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때도 두 낱말은 비슷한 뜻으로 씁니다.

오늘은 제가 국어 문법을 잘 모른다는 게 실감나네요.
제가 문법을 잘 알면
어느와 어떤을 쉽게 가를 텐데, 제가 잘 모르니 설명도 잘 안되네요. ^^*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참,
오늘 수능 시험보는 날입니다.
모든 분에게 행운이 있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380
156 [2017/01/20] 우리말) 제설/이면도로 머니북 2017-01-20 4448
155 [2017/01/23] 우리말) 빼닮다, 빼쏘다 머니북 2017-01-24 3774
154 [2017/01/24] 우리말) 서덜/서더리 머니북 2017-01-24 3464
153 [2017/01/25] 우리말) 공회전 머니북 2017-01-25 3116
152 [2017/01/26] 우리말) 두꺼운 옷, 두터운 정 머니북 2017-01-27 3719
151 [2017/01/31] 우리말) 벼슬과 볏 머니북 2017-01-31 3397
150 [2017/02/01] 우리말) 햇귀 머니북 2017-02-01 3784
149 [2017/02/02] 우리말) 오지/깊은 산골 머니북 2017-02-03 3869
148 [2017/02/03] 우리말) 조류포비아 머니북 2017-02-03 3371
147 [2017/02/06] 우리말) 바둑에서 온 낱말 머니북 2017-02-07 3427
146 [2017/02/07] 우리말) 에듀푸어 머니북 2017-02-07 3740
145 [2017/02/08] 우리말) 분수와 푼수 머니북 2017-02-09 3269
144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35
143 [2017/02/10] 우리말) 비면식관계란? 머니북 2017-02-10 3894
142 [2017/02/13] 우리말) 화가 나면? 머니북 2017-02-13 3195
141 [2017/02/14]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02-14 3095
140 [2017/02/15] 우리말) 딸내미/딸따니 머니북 2017-02-16 3399
139 [2017/02/16] 우리말) 어섯 머니북 2017-02-16 3453
138 [2017/02/17] 우리말) 모, 알, 톨, 매, 벌, 손, 뭇, 코... 머니북 2017-02-17 3404
137 [2017/02/20] 우리말) 지표식물 머니북 2017-02-20 3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