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17] 우리말) 분식회계

조회 수 3042 추천 수 0 2016.06.17 18:54:00

분식회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안녕하세요.

대우해양조선에서 분식회계를 해서 회사가 돈을 많이 번 것처럼 속이고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많이 나눠줬다고 합니다.
'분식회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분식'은 여러 가지 뜻이 있는데,
粉飾에서 온 뜻은 "실제보다 좋게 보이려고 사실을 숨기고 거짓으로 꾸밈."입니다.
얼굴에 분을 발라 예쁘게 꾸밀 때 쓰는 바로 그 분(粉)입니다.

따라서, 분식회계는
회사에 돈이 들어가고 나가는 것을 손해가 보이지 않도록 사실을 숨기고 셈을 한 것 정도가 될겁니다.
'분식회계'가 회계에서는 자루 쓰는 전문용어인지는 모르지만,
많은 사람이 알 수 있게 쉬운 낱말로 바꿔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어느와 어떤]

안녕하세요.

오늘은 갑자기 국회로 출장 갈 일이 생겨 좀 일찍 나왔습니다.
이것저것 자료를 좀 챙겨야 하거든요.

요즘 날씨가 추워지니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넥타이를 매고 나옵니다.
그러면 좀 덜 춥거든요.
아침에 아들에게 넥타이를 골라달라고 하고, 하나를 골라주면 왜 그걸 골랐냐고 물어봅니다.
그럼 나름대로 뭐라고 하더군요. 그러면서 아들과 이야기하고... ^^*
사실 아침에만 잠시 넥타이를 매기 때문에 아들이 어느 것을 골라주건 저는 별로 신경 쓰지 않습니다.

오늘은 '어느'와 '어떤'을 갈라볼게요.
먼저
'어느'는 여럿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나
여럿 가운데 똑똑히 모르거나 꼭 집어 말할 필요가 없는 막연한 사람이나 사물을 이를 때 쓰는 말입니다.
어느 것이 맞는 답입니까?, 산과 바다 가운데 어느 곳을 더 좋아하느냐?, 비가 내리던 어느 가을 저녁이었다처럼 씁니다.

'어떤'은 
'어떠한'의 준말로
사람이나 사물의 특성, 내용, 상태, 성격이 무엇인지 물을 때나
주어진 여러 사물 중 대상으로 삼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 쓰는 말입니다.
주로 의문문에 쓰이죠.
그는 어떤 사람이니?, 너는 이 둘 중에서 어떤 옷이 더 마음에 드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나요처럼 씁니다.

좀 헷갈리시죠?
더 나가
여럿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을 때는 '어느'와 '어떤'을 같이 쓰일 수 있습니다.
"어떤 방법으로든 일을 성사시켜야 한다",
"어느 방법으로든 일을 성사시켜야 한다",
"어떤 부모라도 그렇게 했을 것이다",
"어느 부모라도 그렇게 했을 것이다"와 같이 
관련되는 대상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때도 두 낱말은 비슷한 뜻으로 씁니다.

오늘은 제가 국어 문법을 잘 모른다는 게 실감나네요.
제가 문법을 잘 알면
어느와 어떤을 쉽게 가를 텐데, 제가 잘 모르니 설명도 잘 안되네요. ^^*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참,
오늘 수능 시험보는 날입니다.
모든 분에게 행운이 있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3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4
2616 [2017/07/12] 우리말) 오늘 자, 오늘 치 머니북 2017-07-13 4417
2615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884
2614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4105
2613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531
2612 [2017/07/06] 우리말) 희귀병 머니북 2017-07-07 3916
2611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4029
2610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3896
2609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3541
2608 [2017/06/30] 우리말) 7월에 놀러가기 좋은 곳 머니북 2017-06-30 3288
2607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887
2606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843
2605 [2017/06/23] 우리말) 천장인가 천정인가 머니북 2017-06-24 3943
2604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3767
2603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3410
2602 [2017/06/20] 우리말)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 머니북 2017-06-22 3943
2601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5295
2600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836
2599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3315
2598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709
2597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