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꼬리는 말고 꽁지는 빠지고]
온 국민이 정부에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늘리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너무 성급한 정책은 자칫하면 국민의 뜻과는 반대로 갈 수도 있다. 이때, ‘반대로 갈 수도 있다’는 말을 ‘거꾸로 갈 수도 있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반대로’와 ‘거꾸로’는 그 차이를 정확하게 구별해서 쓰기가 어려운 낱말들이다.

국어사전에서 ‘거꾸로’를 찾아보면, “방향이나 차례가 반대로 되게”라고 풀이해 놓았고, ‘반대로’라는 말은 “두 사물의 방향이나 차례가 서로 등지거나 맞섬으로”라고 좀 더 구체적으로 풀어 놓았다.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두 낱말은 결국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에서 말했던 “반대로 갈 수도 있다”와 “거꾸로 갈 수도 있다”는 둘 다 같은 뜻으로 쓰인 것이다. “옷을 거꾸로 입다”와 “옷을 반대로 입다”는 똑같은 말이다. 다만, ‘반대로’라는 말에는 “무엇에 맞서서 거스르다”는 뜻이 한 가지 더 있다. 가령 “해당 공무원들의 반대로 진통이 예상된다.”고 할 때가 그런 경우이다. 이때에는 ‘거꾸로’라고 쓸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뜻 차이가 불분명하게 느껴지는 말 가운데, ‘꽁지’와 ‘꼬리’라는 말이 있다. “꽁지가 빠지게 도망가다”고 하기도 하고, “꼬리를 말고 도망가다”고 하기도 한다. 언뜻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두 가지 표현에는 조금 차이가 있다. ‘꽁지가 빠지게’와 ‘꼬리를 말고’에서 알 수 있듯이, 꽁지는 빠지는 것이고 꼬리는 마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와 같은 길짐승의 꼬리는 마는 것이지 빠지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새의 꽁무니에 달린 깃은 빠지는 것이지 말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날짐승에게는 꽁지라 하고, 길짐승에게는 꼬리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틀린 자막 몇 개]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1.

어제저녁 KBS2 1박2일에서 '야식 쟁탈 레이스'를 하며 '우동'을 먹는 것을 방송했습니다.

'야식'은 국립국어원에서 '밤참'으로 다듬은 지 한참 되었습니다.

'쟁탈 레이스'보다는 '뺏기 내기'나 '뺏기 겨룸'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저라면

'야식 쟁탈 레이스'라고 안 쓰고,

'밤참 내기'나 '밤참 겨루기'라고 쓰겠습니다.



일본말 うどん[우동]은 우리말로 다듬으면 '가락국수'입니다.

'우동'이 바로 일본식 가락국수입니다.

왜 이런 좋은 말을 두고 '우동'이라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방송에서...



청룡포에 있는 관음송을 소개하는 자막에서는 

높이가 30M라고 나왔습니다.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미터는 대문자 M이 아니라 소문자 m입니다.

대문자 M은 백만을 뜻합니다.



2.

어제저녁 7:44분에 MBC에서 '대한민국 스타 랭킹'이라는 방송을 내 보내면서 '따놓은 당상'이라는 자막을 내 보냈습니다.

감나무에서 감을 따듯 뭔가를 따 놓은 게 아니라,

당상 자리를 따로 떼어 놨다고 해서 '떼어 놓은 당상'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3.

오늘 아침 6:51분에 KBS1 뉴스에서 '많이 춥다'고 했습니다.

더위나 추위를 나타낼 때는 많이를 쓰지 않고 '꽤나 무척'을 씁니다.

오늘 아침 무척 춥고, 내일도 꽤 추울 거라고 합니다.



이번 주도 늘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저는 이번 주까지 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감사...

늘 감사하며 사는 게 좋은데 저는 왜 이리 '감사'가 지겹고 싫은지 모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0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29
156 [2007/02/14] 우리말) 우리말이 어렵다고 하는 분들께 id: moneyplan 2007-02-14 4208
155 [2007/02/13] 우리말) 야코죽지 말고 힘내! id: moneyplan 2007-02-14 4122
154 [2007/02/12] 우리말) 동서남북? 새한마높! id: moneyplan 2007-02-12 4228
153 [2007/02/11] 우리말) 조류인플루엔자 살처분? id: moneyplan 2007-02-12 4504
152 [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id: moneyplan 2007-02-12 4606
151 [2007/02/09] 우리말) 이르다와 빠르다고 모르는 국정홍보처 id: moneyplan 2007-02-12 4032
150 [2007/02/09] 우리말) 개조식/서술식 id: moneyplan 2007-02-09 10037
149 [2007/02/08] 우리말) 아빠, 똥 드세요. id: moneyplan 2007-02-08 3858
148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533
147 [2007/02/06] 우리말) 내 사랑 현아 씨! id: moneyplan 2007-02-07 4614
146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64
145 [2007/02/03] 우리말) 기상 예보의 정밀도? 정확도? id: moneyplan 2007-02-05 4004
144 [2007/02/02] 우리말) 터줏대감 id: moneyplan 2007-02-05 3953
143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804
142 [2007/01/31] 우리말) 회의자료 지참 --> 회의자료를 가지고 id: moneyplan 2007-01-31 6554
141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248
140 [2007/01/28] 우리말) 떨거지/결찌 id: moneyplan 2007-01-29 4848
139 [2007/01/26] 우리말) 족치다 id: moneyplan 2007-01-28 5537
138 [2007/01/24] 우리말) 햇빛, 햇볕, 햇살 id: moneyplan 2007-01-25 3770
137 [2007/01/24] 우리말) 고주망태 id: moneyplan 2007-01-24 3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