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22] 우리말) 장마

조회 수 4183 추천 수 0 2016.06.26 10:27:30

.

안녕하세요.

어제 보낸 편지에서 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ㅇㅂㅌ 님이 바로잡아 주셨습니다.
그 편지를 그대로 붙입니다. 
'청룡포에 있는 관음송을 소개하는 자막에서는...'
여기서 청룡포, 관음송이란 단어를 볼 때 청룡포는
강원도 영월 남면에 있는 명승 제50호인 청령포(淸?浦)를 잘못 지칭한 것 같습니다.
간단히 붙임 하면,
청령포는 조선 제6대 임금 단종이 잠들어 있는 영월 영흥리 장릉에서 약 3km 떨어진 곳으로
숙부인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노산군으로 강봉, 유배되었던 슬픈 역사의 한 곳이죠.
동남 북 삼면이 서강으로 둘러싸여 있어 배를 이용하지 않으면 오갈 수 없는 천혜의 유배지로
단종 자신도 육지 고도(陸地孤島)라고 하였답니다.
이곳에는 천연기념물 349호인 관음송(觀音松)이 있습니다.
단종이 이 나무의 줄기에 걸터앉아 슬픈 마음을 달랠 때, 이 소나무가 단종의 모습을 지켜보았다 해서 
‘볼 관(觀)’ 자를 단종의 슬픈 말소리를 들었다 하여 ‘소리 음(音)’ 자를 붙여 관음송이라 한답니다.
제가 영월 쪽 태생이기도 하지만, 이런 역사적 사연을 안고 있는 지명을 바르게 알리고자 의견을 전합니다.
고맙습니다.


장마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장마는 '길다'는 뜻의 한자 '장(長)'과 물을 뜻하는 옛말 '마'를 합쳐서 만든 낱말입니다.
곧, 오랜 기간에 걸쳐 비가 이어지는 것이죠.

장마 대비 잘 합시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금슬과 금실]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제 실수가 있었네요.



1. 그제 보낸 편지에서, 

관음송 크기를 이야기하면서 '청룡포'라고 했는데, 영월에 있는 단종의 유배지는 '청령포'가 맞습니다.



2. 어제 보낸 편지에서,

'만류인력'이라고 했는데,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가 서로 잡아당기는 힘" '만유인력'이 맞습니다.





아래는 어제저녁에 잠깐 본 텔레비전에 나온 틀린 자막입니다.



1. KBS1, 7:48, '금슬'이라는 자막이 나왔는데,

한자 琴瑟을

부부간의 사랑을 이야기할 때는 '금실'이라고 읽고,

거문고와 비파를 아울러 이를 때는 '금슬'이라고 합니다.



2. 잠시 뒤, 7:53에,

출연자가 "우리 부인"이라고 했고, 자막에도 '우리 부인'이라고 나왔습니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이므로 나와 같이 사는 사람을 소개할 때는 '아내'나 '처'라고 해야 바릅니다.

또,

'우리'는

"말하는 이가 자기와 듣는 이, 또는 자기와 듣는 이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이므로

'우리 아내'라고 하는 것도 좀 이상합니다.

'제 아내'라고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이번 주가 빨리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84
2056 [2012/10/15] 우리말) 과일주와 과실주 머니북 2012-10-15 4012
2055 [2016/04/06] 우리말) 감치다(2) 머니북 2016-04-06 4010
2054 [2012/06/11] 우리말) 집념과 집착 머니북 2012-06-11 4009
2053 [2008/10/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22 4009
2052 [2012/07/27] 우리말) 화이팅/파이팅 머니북 2012-07-27 4003
2051 [2007/03/27] 우리말) 이자는 길미로... id: moneyplan 2007-03-27 4002
2050 [2015/03/09] 우리말) 봉오리와 봉우리 머니북 2015-03-09 4001
2049 [2013/05/03] 우리말) 신토불이 머니북 2013-05-03 4000
2048 [2008/05/31] 우리말) 가는 5월이 아쉬워...(핏줄 쓰이다) id: moneyplan 2008-06-03 3999
2047 [2014/08/22] 우리말) 빨간색/빨강색 머니북 2014-08-22 3997
2046 [2013/03/26] 우리말) 입찬말 머니북 2013-03-26 3996
2045 [2007/02/03] 우리말) 기상 예보의 정밀도? 정확도? id: moneyplan 2007-02-05 3996
2044 [2014/02/10] 우리말) 발자국 소리 머니북 2014-02-10 3994
2043 [2011/07/20] 우리말) 발자국과 발걸음 머니북 2011-07-20 3994
2042 [2009/12/04] 우리말) 밥버릇과 식습관 id: moneyplan 2009-12-04 3994
2041 [2017/07/26] 우리말) 어쭙잖다 머니북 2017-07-27 3993
2040 [2016/03/22] 우리말) 마라고/말라고 머니북 2016-03-22 3993
2039 [2007/09/13] 우리말) 노란 단풍 id: moneyplan 2007-09-13 3993
2038 [2011/09/16] 우리말) 괴발개발과 개발새발 머니북 2011-09-16 3991
2037 [2011/06/20] 우리말) 두루뭉술 머니북 2011-06-20 3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