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23] 우리말) 설거지 시키다

조회 수 4042 추천 수 0 2016.06.26 10:29:35

.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영희 님이 보내주신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아래 띄어쓰기 내용은 두 달 전쯤 질문했던 내용입니다. 
당시는 연휴여서 급한 마음에 질문했는데 답변이 없어서 결국 연휴 끝나고 국립국어원에 질문했었습니다. 그런데 ‘설거지시키다’로 붙여 써야 한다고 합니다. 도무지 이해가 안 가서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질문의 취지를 자세히 설명하고 다시 질문했는데도 답변이 이해가 안 되어 재차 질문, 그래도 해결이 안 되어 다시 전화하여 궁금증을 해결하였습니다. 
자세한 과정은 생략하고 제가 알게 된 결론을 중심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점선 아래 내용에 오류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제 이름 밝히고 공유해도 좋습니다.  
띄어쓰기가 참 어렵습니다. 문제, '못된 시어머니 며느리만 설거지 시키다'와 '못된 시어머니 며느리만 설거지시키다' 어느 것이 맞을까요?  
이 답을 말하기 전에 비슷한 예를 볼까요? ‘교육시키다’, ‘오염시키다’의 경우 '목적어'를 '교육되게 하다' 또는 '오염되게 하다'의 뜻으로 ‘시키다’를 붙여 씁니다. 여기서 '시키다'는 ‘접사’로서 파생어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시키다’는 그 앞에 (직접) 목적어가 와서 대상이 그 행동의 영향을 받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설거지시키다’로 붙여 써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설거지시키다’로 붙여 쓰면 ‘그릇을 설거지시키다’처럼 ‘설거지되게 하다’의 뜻이 됩니다. ‘학생을 교육시키다’는 ‘학생이 교육되게 하다’의 뜻이고, ‘강을 오염시키다’는 ‘강이 오염되게 하다’의 뜻이 되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렇게 보면, 위에서 '설거지시키다'라고 붙이면 '며느리가 설거지되게 하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현실 맥락을 보면 며느리가 그릇이 아닌데 설거지되게 할 수는 없고, 더군다나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설거지되게 한다는 것은 좀 이상하지요.  
이렇게 단순히 ‘시키다’를 접사라고만 생각해서 ‘설거지시키다’로 붙여 써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며느리가 설거지하게 하다’의 의미로 쓰려면  ‘설거지 시키다’라고 띄어 써야 합니다.  
그래서 위 문제에서 ‘며느리만’이라고 하여 ‘를’인지 ‘에게’인지 불분명하지만, ‘를’이 아니라 ‘에게’가 생략되었다고 보고 ‘못된 시어머니 며느리만 설거지 시키다’ 이렇게 띄어 써야 맞는 말이 될 것입니다.  
위의 ‘시키다’와 ‘-시키다’를 구분하기 위해 두 가지 사례를 비교하다보니 ‘되게 하다’라는 어색한 표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평소 ‘그릇을 설거지시키다’라는 말을 쓸 일은 없겠지요. 그냥 ‘설거지하다’라고 쓸 것입니다.  
‘시키다’를 구분하다 보니,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생각나는 단어가 있습니다. ‘소개시키다’라는 단어인데요. 우리가 보통 ‘소개시켜 줘’라는 말은 틀렸다고 하고 ‘소개해 줘’가 바른 말이라고 하는데, 이건 좀 따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나를 그 남자(여자)에게 소개시켜 줘’는 내가 상대에게 소개되게 해달라는 뜻이 되니 틀렸다고만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대신 목적어를 정확하게 써야 하겠지요. ‘나 좀 소개시켜 줘’를 ‘나를 소개시켜 줘’의 의미로 썼다면 맞겠지요. 그러나 ‘나에게 소개시켜 줘’ 하면 어색한 표현이 될 겁니다. 
  정리하면, ‘나를 소개시켜 줘’와 ‘나에게 소개해 줘’ 둘 다 맞는 말이 되겠지요. 그런데 ‘나 좀 소개시켜 줘’라고만 하면 조사가 생략되어 있으니 맞는지 틀리는지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나에게’의 의미로 쓰는 경우가 많을 테니, ‘소개해 줘’가 맞는 경우가 많기는 하겠지요.  

고맙습니다. 

앞에 쓴 글이 길어,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이지 않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2
1096 [2007/12/18] 우리말) 찰랑찰랑 id: moneyplan 2007-12-18 3662
1095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663
1094 [2007/08/07] 우리말) '노지'가 아니라 '밖', '한데' id: moneyplan 2007-08-07 3663
1093 [2008/07/04] 우리말) 어느와 여느 id: moneyplan 2008-07-07 3663
1092 [2013/04/17] 우리말) 텍스트와 코너 머니북 2013-04-17 3663
1091 [2007/12/20] 우리말)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께 별명을 지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7-12-20 3664
1090 [2013/11/11] 우리말) 영상 머니북 2013-11-11 3664
1089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64
1088 [2008/09/03] 우리말) 옥생각과 한글날 id: moneyplan 2008-09-03 3665
1087 [2009/10/22] 우리말) 활개 치다와 활개 펴다 id: moneyplan 2009-10-22 3665
1086 [2016/07/12] 우리말) 수근거리다 -> 수군거리다 머니북 2016-07-13 3666
1085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667
1084 [2013/02/04] 우리말) 목도리 친친 머니북 2013-02-04 3667
1083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67
1082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667
1081 [2011/04/12] 우리말) 예부터 moneybook 2011-04-12 3668
1080 [2011/08/08] 우리말) 토씨(조사) '의' 쓰임 머니북 2011-08-08 3669
1079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70
1078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670
1077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