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29] 우리말) 눈바래다

조회 수 3156 추천 수 0 2016.06.29 08:59:59

우리말에 '눈바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눈으로 배웅하다."는 뜻으로 
'취사원이 사라지는 쪽을 눈바래며 자기도 천천히 걸음을 옮겼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새벽에 비가 왔었나 봅니다. 오늘도 비가 온다고 하고요. 
바야흐로 장마가 시작되었나 봅니다. ^^*

올 초에 일터를 옮겼는데요. 이곳은 제가 있는 일터에 일 보러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꼭 저를 만나러 온 것이 아니더라도 같이 인사는 나누게 되는데요.
그렇게 인사를 나눈 분들이 돌아가실 때는 되도록 사무실 밖에까지 나가서 인사를 드립니다.
제가 8층에 있는데, 1층까지는 못 가더라도 엘리베이터 앞에까지는 배웅합니다.
그러나 정 바쁠 때는 일어나지도 못하고 그냥 눈인사만 하거나 손만 흔들때도 있기는 합니다. ^^*

우리말에 '눈바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눈으로 배웅하다."는 뜻으로 
'취사원이 사라지는 쪽을 눈바래며 자기도 천천히 걸음을 옮겼다.'처럼 씁니다.

오늘도 손님이 몇 분 오실 것 같습니다.
되도록 눈바래지 않고 밖에까지 나가서 인사드리고자 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신장]

안녕하세요.

어제는 오랜만에 구두를 닦았습니다.
제 일터에는 구두 닦는 분이 가끔 오시거든요. 

우리는
땅을 딛고 서거나 걸을 때 발에 신는 물건을 통틀어 '신'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신'보다는 '신발'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신발은 발과 발을 감싼 신을 한꺼번에 이르는 말일 텐데 '신'과 '신발'을 같은 뜻으로 씁니다.
사전에도 같이 올라 있는 복수표준어입니다.

학생들이 가지고 다니는 신발을 넣는 주머니는 '신발 주머니'라고도 하고 '신 주머니'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조금 낯설긴 하지만,
신발을 넣어두는 장을 '신발장'이라고도 하고 '신장'이라고도 합니다.

신장... 
신장을 사전에서 찾아보니 그 뜻이 열 개나 되네요.
키도 신장이고, 세력이나 권리 따위가 늘어나는 것도 신장이고... ^^*

깨끗하게 닦인 구두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 '신'과 '신발' 어떤 낱말이 먼저 생겼고, 지금은 어떤 게 더 많이 쓰일까? ^^*
- 신장이라는 낱말에는 17가지 뜻이 있는데, 모두 한자다. 잘 쓰지도 않는 한자 낱말을 이렇게 몽땅 올려놓고 우리말의 70%가 한자라고 한다. 그 말이 맞을까?

아침부터 별생각을 다 합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2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96
256 [2006/11/06] 우리말) 군포시, 고맙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7 4937
255 [2006/11/30] 우리말) '개사료'가 아니라 '개 먹이'나 '개밥' id: moneyplan 2006-11-30 4938
254 [2011/08/25] 우리말) '일부러'와 '부러' 머니북 2011-08-25 4938
253 [2010/01/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10-01-22 4941
252 [2007/04/02] 우리말) 애먼 사람 잡지 않길...... id: moneyplan 2007-04-02 4950
251 [2007/01/04]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01-04 4951
250 [2008/08/05] 우리말) 리더쉽과 리더십 id: moneyplan 2008-08-05 4956
249 [2007/01/03] 우리말) 어제 시무식에서 들은 말 id: moneyplan 2007-01-03 4961
248 [2012/11/23] 우리말) 시럽다 -> 시리다 머니북 2012-11-23 4968
247 [2006/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농민의 날! id: moneyplan 2006-11-13 4975
246 [2013/03/13] 우리말) 사달과 오두방정 머니북 2013-03-13 4991
245 [2017/11/14] 우리말) 시 감상 머니북 2017-11-16 4997
244 [2011/09/15] 우리말) ~길래와 ~기에 머니북 2011-09-15 4998
243 [2013/09/16] 우리말) 시키다 머니북 2013-09-16 5006
242 [2006/11/08] 우리말) 인상/인하는 값 오름/값 내림으로 id: moneyplan 2006-11-08 5009
241 [2006/10/31] 우리말) 시월의 마지막 밤 id: moneyplan 2006-11-01 5039
240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5041
239 [2006/09/29] 우리말) 이걸 처먹으라고? id: moneyplan 2006-09-29 5046
238 [2006/12/02] 우리말) 윤슬이라는 낱말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6-12-04 5050
237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5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