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29] 우리말) 눈바래다

조회 수 3388 추천 수 0 2016.06.29 08:59:59

우리말에 '눈바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눈으로 배웅하다."는 뜻으로 
'취사원이 사라지는 쪽을 눈바래며 자기도 천천히 걸음을 옮겼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새벽에 비가 왔었나 봅니다. 오늘도 비가 온다고 하고요. 
바야흐로 장마가 시작되었나 봅니다. ^^*

올 초에 일터를 옮겼는데요. 이곳은 제가 있는 일터에 일 보러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꼭 저를 만나러 온 것이 아니더라도 같이 인사는 나누게 되는데요.
그렇게 인사를 나눈 분들이 돌아가실 때는 되도록 사무실 밖에까지 나가서 인사를 드립니다.
제가 8층에 있는데, 1층까지는 못 가더라도 엘리베이터 앞에까지는 배웅합니다.
그러나 정 바쁠 때는 일어나지도 못하고 그냥 눈인사만 하거나 손만 흔들때도 있기는 합니다. ^^*

우리말에 '눈바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눈으로 배웅하다."는 뜻으로 
'취사원이 사라지는 쪽을 눈바래며 자기도 천천히 걸음을 옮겼다.'처럼 씁니다.

오늘도 손님이 몇 분 오실 것 같습니다.
되도록 눈바래지 않고 밖에까지 나가서 인사드리고자 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신장]

안녕하세요.

어제는 오랜만에 구두를 닦았습니다.
제 일터에는 구두 닦는 분이 가끔 오시거든요. 

우리는
땅을 딛고 서거나 걸을 때 발에 신는 물건을 통틀어 '신'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신'보다는 '신발'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신발은 발과 발을 감싼 신을 한꺼번에 이르는 말일 텐데 '신'과 '신발'을 같은 뜻으로 씁니다.
사전에도 같이 올라 있는 복수표준어입니다.

학생들이 가지고 다니는 신발을 넣는 주머니는 '신발 주머니'라고도 하고 '신 주머니'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조금 낯설긴 하지만,
신발을 넣어두는 장을 '신발장'이라고도 하고 '신장'이라고도 합니다.

신장... 
신장을 사전에서 찾아보니 그 뜻이 열 개나 되네요.
키도 신장이고, 세력이나 권리 따위가 늘어나는 것도 신장이고... ^^*

깨끗하게 닦인 구두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 '신'과 '신발' 어떤 낱말이 먼저 생겼고, 지금은 어떤 게 더 많이 쓰일까? ^^*
- 신장이라는 낱말에는 17가지 뜻이 있는데, 모두 한자다. 잘 쓰지도 않는 한자 낱말을 이렇게 몽땅 올려놓고 우리말의 70%가 한자라고 한다. 그 말이 맞을까?

아침부터 별생각을 다 합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8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10
716 [2016/03/23] 우리말) 손목시계 머니북 2016-03-23 3391
715 [2012/10/29] 우리말) 가마리 머니북 2012-10-29 3391
714 [2010/11/12] 우리말) 내로라하다 moneybook 2010-11-13 3390
713 [2010/05/13] 우리말) 삐끼 id: moneyplan 2010-05-13 3390
712 [2016/07/18] 우리말) 구슬르다 -> 구슬리다 머니북 2016-07-19 3389
» [2016/06/29] 우리말) 눈바래다 머니북 2016-06-29 3388
710 [2015/08/27]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머니북 2015-08-31 3389
709 [2010/10/07] 우리말) 아침과 아침밥 moneybook 2010-10-07 3389
708 [2007/10/12] 우리말) 짬짜미 id: moneyplan 2007-10-13 3389
707 [2013/06/17]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2) 머니북 2013-06-17 3388
706 [2014/11/03] 우리말) '자랑차다'와 '가열차다' 머니북 2014-11-03 3387
705 [2014/06/24] 우리말) 체신과 채신 머니북 2014-06-24 3387
704 [2009/08/15] 우리말) 광복절 맞아 김영조 소장님의 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08-17 3387
703 [2007/11/14] 우리말) 커닝 종이쪽지 id: moneyplan 2007-11-14 3387
702 [2016/11/07] 우리말) 기분 좋은 전자메일 머니북 2016-11-12 3386
701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386
700 [2013/04/25] 우리말) 우리말 편지 다듬기 머니북 2013-04-25 3386
699 [2008/01/02] 우리말) 산소리 id: moneyplan 2008-01-02 3386
698 [2012/05/22] 우리말) 군에서 따까리, 시다바리 따위 말 안 쓴다 머니북 2012-05-22 3385
697 [2012/04/03] 우리말) 꽃샘잎샘 머니북 2012-04-03 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