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도쿠리, 도꾸리, 도꼬마리

옛날에는 치과병원도 흔치 않았을뿐더러 치료비 또한 서민들이 감당키 어려울 정도였다. 그래서 우리 어버이 세대에서는 틀니 따위를 ‘야매’로 끼우는 일이 흔했다. 이 말은 정확히 표현하면 ‘야매’가 아니라 ‘야미’이다. ‘야미(暗)’는 “정당하지 못한 거래”를 뜻하는 일본말인데, 국립국어원에서 우리말 ‘뒷거래’로 순화했다. ‘야미’는 일본말이지만 ‘야매’는 우리식 한자말이다. 보통 ‘야매하다’라고 하면 “촌스럽고 어리석다”는 뜻인데, “그 곳 원주민의 생활은 아직도 곤궁하고 야매한 모양이었다.”처럼 사용한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기지’와 ‘기장’이 있다. 흔히 양복 옷감으로 만든 펄렁펄렁한 바지를 ‘기지바지’라고 하는데, 이때의 ‘기지(きじ)’는 “옷감”을 뜻하는 일본말이다. 우리 국어사전에서는 이 ‘기지’를 ‘천’으로 순화하였다. 그러나 “바지 기장을 줄인다.”고 말할 때의 ‘기장’은 (일본말이 아니라) “옷의 길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이 말은 ‘옷기장’과 동의어로서만 쓰일 뿐, 머리 기장이니 허리 기장이니 하는 것처럼 신체의 길이를 나타내는 말로 쓰지는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일본말과 우리말이 비슷하게 발음되는 사례 가운데 ‘도쿠리’와 ‘도꾸리’가 있다. 우리 어버이 세대에서는 목까지 올라오도록 털실로 짠 옷을 흔히 ‘도쿠리’라고 했는데, 이 말은 일본말 잔재이다. 그런데 우리말에도 이 ‘도쿠리’와 비슷한 말인 ‘도꾸리’가 있다. ‘도꾸리’는 ‘도토리’를 가리키는 경기도 방언이다. 또 이와 발음이 비슷한 말 가운데 ‘도꼬마리’란 한해살이풀도 있다. 시골 들길을 걷다 보면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바지에 달라붙는데, 이것이 도꼬마리이다. 도꼬마리도 순 우리말이다.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따듯하다]

안녕하세요.

이제 올해가 이틀 남았네요.

저는 이렇게 따뜻한 곳에서 컴퓨터 자판을 두들기지만, 지금 밖에서 추위에 떨고 계시는 분도 계실 겁니다.
밖에서 일하시느라 그러시기도 할 것이고,
돈이 없어 난방을 못하시는 분도 계실 것이고,
아예 집이 없어 밖에서 떠시는 분도 계실 것입니다.
제가 그분들을 따뜻하게 해 드릴 힘은 없지만,
마음으로나마 따듯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따뜻하다'는 "덥지 않을 정도로 온도가 알맞게 높다"는 뜻과
"감정, 태도, 분위기 따위가 정답고 포근하다."는 뜻을 지닌 그림씨(형용사)입니다.
이 '따뜻하다'보다 조금 여린 느낌의 그림씨가 '따듯하다'입니다.
저는 '따땃하다'고도 하는데, 이는 사투리입니다.

많은 사람이 따뜻한 곳에서 마음이 따듯하게 지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7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10
1976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354
1975 [2016/03/23] 우리말) 손목시계 머니북 2016-03-23 3354
1974 [2008/05/10]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05-10 3355
1973 [2013/04/18] 우리말) 지며리 머니북 2013-04-18 3355
1972 [2016/06/29] 우리말) 눈바래다 머니북 2016-06-29 3355
1971 [2007/10/12] 우리말) 짬짜미 id: moneyplan 2007-10-13 3356
1970 [2014/10/210] 우리말) 비가 그치겠죠? 머니북 2014-10-21 3356
1969 [2008/01/18] 우리말) 섟 id: moneyplan 2008-01-18 3357
1968 [2009/08/15] 우리말) 광복절 맞아 김영조 소장님의 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08-17 3357
1967 [2016/11/24] 우리말) 너나들이 머니북 2016-11-25 3357
1966 [2012/01/06] 우리말) 차례 상 차리기 머니북 2012-01-06 3358
1965 [2012/01/09] 우리말) 오수와 우수 머니북 2012-01-09 3358
1964 [2016/04/27] 우리말) 에누리와 차별 머니북 2016-04-29 3358
1963 [2010/06/23] 우리말) 도가니 moneybook 2010-06-23 3359
1962 [2012/10/29] 우리말) 가마리 머니북 2012-10-29 3359
1961 [2015/11/13] 우리말) 컬러와 칼라 머니북 2015-11-13 3360
1960 [2016/07/18] 우리말) 구슬르다 -> 구슬리다 머니북 2016-07-19 3360
1959 [2010/05/13] 우리말) 삐끼 id: moneyplan 2010-05-13 3361
1958 [2012/04/03] 우리말) 꽃샘잎샘 머니북 2012-04-03 3361
1957 [2017/02/08] 우리말) 분수와 푼수 머니북 2017-02-09 3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