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조회 수 2641 추천 수 0 2016.08.10 09:43:38

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을 흔히 '벼슬'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볏'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중복이라고 하네요.
사람 욕심으로, 어제와 오늘 얼마나 많은 닭이 죽어 나갔을까요?
저는 올해 들어 아직 삼계탕을 먹지 않았습니다.
세상에 태어나 고작 40일을 살다 인간을 위해 죽어가야 하는 생명체에 대한 미안함이랄까...

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을 흔히 '벼슬'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볏'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벼슬'은 "관아에 나가서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를 이릅니다. '벼슬아치'할 때 그 '벼슬'이죠.

닭이나 새의 이마 위에 돋아난 살을 '볏'이 아니라 '벼슬'이라 쓰는 것을 두고,
예전에는 수탉의 볏이 벼슬과 관직을 상징한다고 여겼기에 그 상징성이 말에 녹아든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오늘 점심을 위해 얼마나 많은 볏이 잘려나갈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참모습]


안녕하세요.

요즘 저녁에 술자리 많으시죠?
저는 별로 없습니다만... ^^*

우리는 왜 그리 죽자사자 퍼마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다음날 일어날 때 지장이 없을 정도로 적당히 마시면 좋으련만...

사람들은 술에 취했을 때 그 사람의 진면목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평소에 얌전하던 사람도 취하면 이상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면목(面目)'은 얼굴의 생김새, 낯, 사람이나 사물의 겉모습이라는 뜻입니다.
무슨 면목으로 세상을 대하고사나처럼 쓸 수 있죠.
이 앞에 진(眞)을 붙이면 '진면목'으로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뜻하고
판소리의 진면목을 볼 수 있다, 고향에 돌아와서야 그의 진면목을 새삼스레 발견했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쓰는 한자 진면목을 깨끗한 우리말인 '참모습'으로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거짓이나 꾸밈이 없는 모습"이라는 뜻으로 사전에 올라있는 낱말입니다.

술 취해서 진면목을 보여주고, 참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지만,
저는 술 마시지 않고 그냥 집에 일찍 들어가는 게 더 좋습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93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4971
136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5919
135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5921
134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5932
133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5941
132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5952
131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5970
130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5970
129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5981
128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5995
127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007
126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6014
125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018
124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028
123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044
122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057
121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068
120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077
119 [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머니북 2012-10-09 6123
118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6270
117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6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