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조회 수 2760 추천 수 0 2016.08.10 09:43:38

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을 흔히 '벼슬'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볏'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중복이라고 하네요.
사람 욕심으로, 어제와 오늘 얼마나 많은 닭이 죽어 나갔을까요?
저는 올해 들어 아직 삼계탕을 먹지 않았습니다.
세상에 태어나 고작 40일을 살다 인간을 위해 죽어가야 하는 생명체에 대한 미안함이랄까...

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을 흔히 '벼슬'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볏'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벼슬'은 "관아에 나가서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를 이릅니다. '벼슬아치'할 때 그 '벼슬'이죠.

닭이나 새의 이마 위에 돋아난 살을 '볏'이 아니라 '벼슬'이라 쓰는 것을 두고,
예전에는 수탉의 볏이 벼슬과 관직을 상징한다고 여겼기에 그 상징성이 말에 녹아든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오늘 점심을 위해 얼마나 많은 볏이 잘려나갈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참모습]


안녕하세요.

요즘 저녁에 술자리 많으시죠?
저는 별로 없습니다만... ^^*

우리는 왜 그리 죽자사자 퍼마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다음날 일어날 때 지장이 없을 정도로 적당히 마시면 좋으련만...

사람들은 술에 취했을 때 그 사람의 진면목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평소에 얌전하던 사람도 취하면 이상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면목(面目)'은 얼굴의 생김새, 낯, 사람이나 사물의 겉모습이라는 뜻입니다.
무슨 면목으로 세상을 대하고사나처럼 쓸 수 있죠.
이 앞에 진(眞)을 붙이면 '진면목'으로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뜻하고
판소리의 진면목을 볼 수 있다, 고향에 돌아와서야 그의 진면목을 새삼스레 발견했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쓰는 한자 진면목을 깨끗한 우리말인 '참모습'으로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거짓이나 꾸밈이 없는 모습"이라는 뜻으로 사전에 올라있는 낱말입니다.

술 취해서 진면목을 보여주고, 참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지만,
저는 술 마시지 않고 그냥 집에 일찍 들어가는 게 더 좋습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9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81
2596 [2013/09/10] 우리말) 부나비 머니북 2013-09-10 7816
2595 [2012/08/06] 우리말) 넓다랗다와 널따랗다 머니북 2012-08-06 7742
2594 [2009/02/06] 우리말) 쌈빡하다와 삼박하다 id: moneyplan 2009-02-06 7686
2593 [2009/04/13] 우리말) 헛으로와 허투루 id: moneyplan 2009-04-13 7666
2592 [2006/09/03] 우리말)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id: moneyplan 2006-09-04 7628
2591 [2012/10/26] 우리말) 바래다와 바래지다 머니북 2012-10-26 7607
2590 [2007/08/24] 우리말) 허니문베이비의 순 우리말은? [1] id: moneyplan 2007-08-24 7605
2589 [2012/09/27] 우리말) 부저와 단추 머니북 2012-09-27 7568
2588 [2013/02/20] 우리말) 봄꿈 머니북 2013-02-20 7511
2587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7475
2586 그 동안 연재하던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을 종료 합니다. 머니북 2017-11-28 7309
2585 [2013/09/12] 우리말) 슬다 머니북 2013-09-12 7253
2584 [2014/01/23] 우리말)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머니북 2014-01-23 7147
2583 [2012/09/26] 우리말) 햅쌀과 오려쌀 머니북 2012-09-26 7140
2582 [2012/03/22]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2-03-22 7135
2581 [2006/09/18] 우리말) 숟가락을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6-09-18 6946
2580 [2006/09/02] 우리말) 저는 떠버리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4 6812
2579 [2013/09/09]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3-09-09 6811
2578 [2010/01/11] 우리말) 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1-11 6796
2577 [2006/09/25] 우리말) 모듬과 모둠 id: moneyplan 2006-09-25 6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