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 동아일보에 나온 기사를 함께 보겠습니다.

고은 시인이 지난 26일 재외 한국어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학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하면서 하신 말씀을 다룬 기사입니다.


고은 시인 “세종은 나의 神, 한글은 나의 종교”
http://news.donga.com/3/all/20160727/79419696/1

“아! 세종. 세종은 나에게 ‘아!’란 감탄사와 느낌표 없이는 부를 수 없는 이름이에요. 세종은 나의 신이고 한글은 나의 종교이기 때문입니다.” 
고은 시인(83)이 26일 한국 문학과 한국어의 미래를 논하며 “나라가 있어 조국이라 하고 말이 있어 모(母)국어라 한다”며 “태중(胎中)에서부터 듣는 한국어는 곧 어머니의 말이자, 우리 존재의 시작부터 끝까지 동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 시인은 이날 서울 마포구 베스트웨스턴 서울가든호텔에서 열린 ‘제14회 재외 한국어 교육자 국제학술대회’의 기조강연자로 나섰다. 그는 우선 70여 명의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자에게 “바다를 건너 조국을 싣고 고국을 인식시켜 주고 있는 여러분께 참 감사하다”며 “대한민국, 북한의 우리 동포와 더불어 해외 동포 여러분이야말로 우리 민족을 구성하는 삼위일체”라고 높였다. 
고은 시인은 “7500만의 화자(話者)를 가진 한국어는 화자 기준 상위 15개어 중 12위의 언어”라며 “닭이 우는 소리, 바람 소리, 천둥번개 소리 등 사물의 소리를 가장 바르게 전달하는 것 또한 한글”이라고 말했다. 또 “이 같은 ‘정음(正音)’의 ‘나랏말쌈’으로서 한글은 정말 멋진 언어”라고 말했다. 
그는 “한글은 태생 직후부터 업신여김을 받으면서도 막강했던 중국어, 몽골어 사이에서도 죽지 않은 목숨이 질긴 언어”라며 “근대에 와서는 일제에 의해 망가지는 수난을 당한 기구한 팔자의 언어이다. 그 속에 우리 민족의 피와 눈물, 한이 다 들어있다”고 했다. 고은 시인은 “그런 면에서 언어는 인간 정신의 핵심이자 혼의 기호”라며 “언어가 있어서 기억하고, 또 기억이 있어서 언어가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고은 시인은 한국어를 계승하기 위해 북한과 함께 ‘우리 겨레말 사전 남북 공동편찬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핵이며 사드며 북한과의 사이가 좋지 않아 어려움이 많지만 나는 기어이 해낼 것”이라며 “이런 갈등은 일시적인 것이고 우리가 죽은 뒤에는 이런 일들은 다 지나고 남북은 하나로 살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 시인은 “문학이라는 것은 모국어의 공간에서 모국어의 시간을 찾아내는 언어 행위”라며 “단테가 라틴어를 거부하고 토스카나어로 신곡을 써 이탈리아어를 세계 수준에 올려놓았듯 한국 문학 또한 한국어를 세계의 언어로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 시인은 이날 팔순을 넘긴 나이가 무색하게 2시간에 걸쳐 재치 있는 농담을 곁들인 열띤 강연을 펼쳤다. 그는 자리에 모인 해외 동포들을 위한 시를 골라 세 편이나 직접 낭송하기도 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못 잊다]


안녕하세요.

제가 할 일이 너무 많아 헉헉대는 것도 아닌데 왜 이리 일이 많은지 모르겠습니다.
이제야 자리에 좀 앉아 봅니다.

오늘이 22일에 동지입니다.
가는 해를 '못잊어' 괴로워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세월이 가는 것은 왠지 좀 슬프네요. ^^*

'못잊어'는 '못 잊어'라고 써야 바릅니다.
'못'과 합칠 수 있는 낱말 가운데 못살다, 못되다, 못쓰다는 합성어로 보지만 '못잊다'는 합성어로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못과 잊다는 떼어 써야 바릅니다.

소리도
'못 잊어'는 [모디저]라고 내야 합니다.
합성어로 보고 '못잊어'라고 쓰면 [몬니저]라고 소리내도 되지만,
합성어가 아니므로 '못 잊어'라고 쓰고 [모디저]라고 소리내야 합니다. 

올해 한 일을 못 잊으시나요?[모디즈시나요]
너무 괴로워 마시고 보낼 때는 보내주는 게 어떨까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1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28
1416 [2016/03/02] 우리말) 삼일절 머니북 2016-03-09 3604
1415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3605
1414 [2010/04/01] 우리말) 박차 id: moneyplan 2010-04-01 3605
1413 [2011/01/17] 우리말) 많이와 꽤 moneybook 2011-01-17 3605
1412 [2016/07/13] 우리말) 간데족족 머니북 2016-07-13 3606
1411 [2007/08/09] 우리말) 임용되다와 임용하다 id: moneyplan 2007-08-09 3607
1410 [2009/02/08] 우리말) 월파와 달물결 id: moneyplan 2009-02-09 3607
1409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607
1408 [2009/10/28] 우리말) 동서남북 id: moneyplan 2009-10-28 3607
1407 [2012/09/03] 우리말) 악매 머니북 2012-09-03 3607
1406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608
1405 [2017/01/02] 우리말) 끄트머리와 실마리 머니북 2017-01-02 3608
1404 [2017/01/11] 우리말) 우리말 사랑 머니북 2017-01-13 3608
1403 [2007/06/20] 우리말) 벼룩시장 id: moneyplan 2007-06-20 3609
1402 [2007/12/01] 우리말) 날아놓다 id: moneyplan 2007-12-01 3609
1401 [2009/06/18] 우리말) 걸판지다와 거방지다 id: moneyplan 2009-06-19 3609
1400 [2013/01/08] 우리말) 휴마트 머니북 2013-01-08 3609
1399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609
1398 [2007/12/21] 우리말) 할 말이 없구먼... id: moneyplan 2007-12-21 3610
1397 [2008/11/25] 우리말) 늙은호박과 청둥호박 id: moneyplan 2008-11-25 3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