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10] 우리말) 청탁금지법

조회 수 4027 추천 수 0 2016.08.10 09:50:44

흔히 우리가 말하는 '김영란법'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인데요.
이 법률의 명칭을 줄이면 '김영란법'이 아니라 '청탁금지법'입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수요일입니다. 이틀만 더 견디면(^^) 또 쉴 수 있습니다.
오늘도 무더울 거라고 하네요. 

우리 사회에는 4,000개가 넘는 법이 있다고 합니다.
그 가운데 법 이름이 10개 음절이 넘는 법률이 705개라고 합니다.
그런 법률의 약칭을 법제처에서 발표했습니다.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810012007

1. 흔히 우리가 말하는 '김영란법'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인데요.
이 법률의 명칭을 줄이면 '김영란법'이 아니라 '청탁금지법'입니다.

2. '청탁금지법'은 남에게 얻어먹지 말고 자기가 먹은 밥값은 자기가 내도록 하고 있습니다. 
시쳇말로 '더치페이'인데요. 이의 바른 영어 표현은 '고잉 더치'(going Dutch)입니다.
밥 먹고 나서, 우리 각자 내자라는 말을 하려면, '렛츠 고 더치'(Let’s go Dutch)라고 하면 될 겁니다.
(네덜란드 사람이나 언어를 뜻하는 '더치'가 왜 들어갔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영어에서는 밥값을 참석자 수로 나눠서 낼 때 '스플리팅 더 빌'(splitting the bill)이라고 합니다.

3. 각자 나눠내는 것을 일본말로 분배(分配, ぶんぱい[분빠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제가 알기로 일본 사람들은 별별(別別, べつべつ[베츠베츠])이라고 합니다.

4. '더치페이'를 국립국어원에서 '각자 내기'로 다듬었습니다.

나름대로 사정은 있겠지만,
내가 먹은 것은 내가 내는 게 맘이 편하고 떳떳하지 않을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해'와 '한 해']


안녕하세요.

어제도 말씀드렸듯이 한해가 벌써 저물어 갑니다. 

위 월(문장)에서 띄어쓰기가 틀린 곳을 찾아보세요.

띄어쓰기가 꽤 어렵긴 합니다만, 그래도 몇 가지 원칙만 알면 거의 다 풀 수 있습니다.
오늘은 단위 띄어쓰기를 알아볼게요.

단위는 띄어 씁니다.
한 개, 두 개, 일 년, 이 년, 한 잔, 두 잔... 이렇게 띄어 씁니다.
따라서 위에 있는 월에서 틀린 곳은 '한해'입니다.
'한해'가 저물어 간다고 하면 
가뭄 때문에 입은 재해(旱害)인 가뭄 피해가 거의 없어져 간다는 뜻과,
추위로 입는 피해(寒害)가 거의 복구되었다는 뜻이 됩니다.
그러나
'한 해'가 저물어 간다고 하면 
올 1년이 다 되어 간다는 뜻이 됩니다.

이렇게 띄어쓰기에 따라 뜻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가 가끔 보기를 든,
'한잔'과 '한 잔'도 그렇습니다.
'한 잔'은 딱 한 번 마시는 것이고,
'한잔'은 가볍게 한 차례 마시는 술입니다.

'한 해'가 저물어가다 보니 술자리가 많으실 겁니다.
'한 잔'만 하시고 일찍 집에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8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3
1616 [2012/12/26 우리말) 년월일 쓰기 머니북 2012-12-26 3890
1615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3855
1614 [2012/12/20] 우리말) 제국 머니북 2012-12-20 3219
1613 [2012/12/18] 우리말) 카랑카랑한 날씨 머니북 2012-12-18 3719
1612 [2012/12/17] 우리말) 허우룩하다 머니북 2012-12-17 3473
1611 [2012/12/14] 우리말) 가시버시 머니북 2012-12-14 3194
1610 [2012/12/13] 우리말) 연인이란? 머니북 2012-12-14 3898
1609 [2012/12/12] 우리말) 박물관과 미술관에 있는 엉터리 한글 머니북 2012-12-12 3199
1608 [2012/12/11] 우리말) 영어 교육3 머니북 2012-12-11 3180
1607 [2012/12/10] 우리말) 영어 교육2 머니북 2012-12-10 3731
1606 [2012/12/07] 우리말) 영어 교육 머니북 2012-12-10 3681
1605 [2012/12/06] 우리말) 이면도로 머니북 2012-12-06 3433
1604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676
1603 [2012/12/04] 우리말) 안치다(2) 머니북 2012-12-04 3266
1602 [2012/12/03] 우리말) 안치다 머니북 2012-12-03 3231
1601 [2012/11/30]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2-11-30 3502
1600 [2012/11/29] 우리말) 지르신다 머니북 2012-11-29 3421
1599 [2012/11/28] 우리말) 현찰 박치기 머니북 2012-11-28 3371
1598 [2012/11/27] 우리말) 차가 밀리다와 길이 막히다 머니북 2012-11-27 4445
1597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