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편지 드립니다. ^^*
어제까지 휴가였고, 오늘 새벽에 서울에 다녀오느라 이제야 일터에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한글학회에서 편치는 시민강좌 하나 소개합니다.

9.22.(목)부터 10.27.(목)까지 매주 목요일 저녁에 열리는 '우리말, 우리글의 힘'이라는 강좌입니다.
9.12.(월)까지 urisarang@hanmail.net으로 메일을 보내시면 누구나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누구나 참석할 수 있게 문을 열어 뒀다고 해서 강좌가 허접스러운 게 아닙니다.
첫 주에는 권재일 서울대학교 교수님의 '세계 속에 빛나는 우리말과 우리글'이라는 강좌가 있고,
둘째 주에는 상명대학교 구현정 교수님의 '소통, 불통, 먹통,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셋째 주에는 김슬옹 한글학회 연구위원의 '세종 르네상스와 한글의 꿈'
넷째 주에는 춘천교육대학교 리의도 교수님의 '한글 맞춤법의 속살'
다섯째 주에는 서울대학교 김주원 교수님의 '언어의 다양성, 사라져 가는 언어를 지켜라'
마지막 주에는 이관규 고려대학교 교수님의 '말과 글은 과연 국가와 민족에게 무엇인가'를 주제로 
멋진 강좌를 펼칩니다.

자주 오는 기회가 아닙니다.
많은 분이 함께하셔서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는 기운을 마련해주시길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추스르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6:47에 SBS뉴스에서 기자가 '안간힘'을 [안간힘]이라고 소리 냈습니다.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서 몹시 애쓰는 힘."을 이르는 이름씨는 '안간힘'이고, 소리는 [안깐힘]이라고 내는 게 바릅니다.

오늘이 대설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몹시 춥네요.
벌써 12월 7일입니다.
이제 올 한해도 마무리해야 할 때입니다.
올해도 정신없이 달려왔습니다.
한 해가 가기 전에 조용히 생각을 추슬러 마무리 잘하도록 합시다.

어제저녁에 우리말겨루기에서 '추스르다'가 나왔습니다.
추스르다, 추스리다, 추슬르다 가운데 어떤 게 맞을까요?

안타깝게도 출연자는 추슬르다를 골라 떨어졌습니다.
추어올려 다루다, 몸을 가누어 움직이다, 일이나 생각 따위를 수습하여 처리하다는 뜻으로 우리말 움직씨(동사)는
'추스르다'입니다.
추슬러, 추스르니로 씁니다.

혹시라도 편찮으셔서 누워계시는 분들은 몸 잘 추스르시고,
연말을 잘 추슬러 좋은 성과 거두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오늘 아침 MBC뉴스에 재밌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서울시가 가임기 여성 6백여 명을 상대로 '주량'의 뜻을 묻는 조사를 한 결과
75%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주량'은 "술을 마신 다음 날, 평소처럼 일어날 수 있는 정도"를 뜻하지만, 
응답자의 33%는 "알딸딸해질 때까지", 
22%는 "정신을 잃을 때까지", 
15%는 "토하기 전까지"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1.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주량'은 "마시고 견딜 정도의 술의 분량"이라는 뜻입니다.
2. 저는 '주량'을 "기분이 좋을 때까지"라고 정의하고 싶습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33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959
1656 [2009/07/21] 우리말) 체면치레 id: moneyplan 2009-07-21 3366
1655 [2010/12/13] 우리말) 희소병 moneybook 2010-12-13 3366
1654 [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moneybook 2010-12-22 3366
1653 [2012/01/19] 우리말) 알뜰 주유소 머니북 2012-01-19 3366
1652 [2008/06/03] 우리말) 떠나는 순자 씨가 아쉬워서...... id: moneyplan 2008-06-05 3367
1651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367
1650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3368
1649 [2010/12/07] 우리말) 추스르다 moneybook 2010-12-07 3368
1648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368
1647 [2008/04/23] 우리말) 꽃잎이 떨어지더라도 아쉬워 말자 id: moneyplan 2008-04-23 3369
1646 [2008/07/01] 우리말) 리터당과 리터에... id: moneyplan 2008-07-02 3369
1645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369
1644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369
1643 [2011/12/27] 우리말) 짬 머니북 2011-12-27 3369
1642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369
1641 [2012/11/09] 우리말) 내년부터 한글날 쉽니다(2) 머니북 2012-11-09 3369
1640 [2014/03/10] 우리말) 붚대다 머니북 2014-03-10 3369
1639 [2014/11/07]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7 3369
1638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370
1637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