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24] 우리말) '대로' 띄어쓰기

조회 수 3497 추천 수 0 2016.08.29 08:54:52

이름씨(명사) 뒤에 '대로'를 쓸 때는 붙이고, 
움직씨(동사)나 그림씨(형용사) 뒤에 쓸 때는 띄웁니다.

안녕하세요.

모기 입도 삐뚤어졌다는데, 더위는 아직도 가시지 않고 있네요. ^^*

'약속대로' 날마다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만,
제가 아는 게 별로 없기에 '아는 대로' 쓰다 보니 가끔은 버거울 때가 있습니다.

우리말에서 띄어쓰기가 무척 어려운데요.
'대로'도 어려운 것 가운데 하나입니다.

먼저,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라는 뜻의 의존명사로 쓸 때는 띄어 씁니다.
'본 대로, 느낀 대로, 들은 대로 이야기하다, 시키는 대로 하다, 아는 대로 설명하다'처럼 띄어 씁니다.

조사로 쓸 때는 앞말에 붙여 씁니다.
앞에 오는 말에 근거하거나 달라짐이 없음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쓸 때는 
'처벌하려면 법대로 해라.'처럼 붙여 쓰는 거죠.
따로따로 구별됨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쓸 때도 
'큰 것은 큰 것대로, 너는 너대로 나는 나대로 서로 상관 말고 살자.'처럼 붙여 씁니다.

헷갈리신가요?
그럼 이렇게 생각해보시죠.
이름씨(명사) 뒤에 '대로'를 쓸 때는 붙이고, 
움직씨(동사)나 그림씨(형용사) 뒤에 쓸 때는 띄우는 것으로... ^^*

제가 아는 대로 우리말 편지를 씁니다.
그러다 보니 글은 글대로, 문장은 문장대로 따로 놀 때가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책 소개(사쿠라 훈민정음)]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책을 한 권 소개하겠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지금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계시는 이윤옥 님이 쓰신 '사쿠라 훈민정음'이라는 책입니다.
글쓴이는 꾸준히 우리말 속에 남아 있는 일본말 찌꺼기를 걸러내는 작업을 하고 계십니다.
이 책도 그런 작업의 하나겠죠.
일본말을 제대로 공부하신 분이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일본말 찌꺼기를 시원하게 파헤쳐 드립니다.

책에 따르면,
'달인'이라는 말도 일본말에서 왔고,
심지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달인의 풀이가,
일본말 사전에 있는 풀이와 똑같다고 합니다.
참으로 창피한 일입니다.

그런 것을 조목조목 따져서
역사와 유래가 있는 일본말 찌꺼기, 일상생활 속의 일본말 찌꺼기 이렇게 두 개 장으로 나눠 책을 쓰셨네요.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저에게 참으로 도움이 많이 되는 책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1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13
1436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519
1435 [2009/06/04] 우리말) 피로야 제발 가라... id: moneyplan 2009-06-04 3519
1434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18
1433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518
1432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518
1431 [2007/08/14] 우리말) '벼리'와 비슷한 뜻의 낱말 id: moneyplan 2007-08-14 3518
1430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518
1429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517
1428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517
1427 [2013/01/29] 우리말) 왔다리갔다리 머니북 2013-01-29 3517
1426 [2011/08/18] 우리말) '열과'가 뭔지 아세요? 머니북 2011-08-18 3517
1425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17
1424 [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id: moneyplan 2007-05-02 3517
1423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516
1422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516
1421 [2011/04/26] 우리말) 야식은 밤참으로 ^^* moneybook 2011-04-26 3516
1420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516
1419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14
1418 [2011/01/28] 우리말) 행안부와 까도남의 다른점 moneybook 2011-01-28 3514
1417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