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25] 우리말) 물, 말

조회 수 3062 추천 수 0 2016.08.29 08:56:00

.

안녕하세요.

주말이면 이 더위도 풀린다고 하죠?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물, 말]
긴 더위로 그 어느 때보다도 물 소비량이 많은 요즘이다. 경험해보지 못했던 폭염에 이런저런 말들도 많다. 물과 말은 여러 가지 면에서 닮아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것임에도 그 소중함을 잊고 사는 점이나, 한번 쏟으면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는 점도 닮았다. 또, 맑은 물을 마셔야 몸이 건강해지는 것처럼, 깨끗하고 바른 말을 쓰면 정신이 건강해진다는 점, 한번 오염되면 다시 맑게 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 들이 모두 물과 말의 공통점이다. 
‘물’은 입을 나타내는 ‘ㅁ’ 자 아래에 ‘ㅜ’ 자가 식도처럼 내려가 있고, 그 아래에 대장의 모양과 비슷한 ‘ㄹ’ 자가 받치고 있다. 이것은 물이 사람의 몸에 들어가서 온 몸 안에 흐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물’과 ‘말’ 두 글자가 다른 곳이라곤 ‘ㅁ’과 ‘ㄹ’ 사이에 있는 모음글자뿐이다. ‘말’은 입을 나타내는 ‘ㅁ’ 다음의 모음글자가 아래로 향해 있지 않고, 오른쪽에 놓여서 확성기처럼 입을 밖으로 내몰고 있는 꼴이다. 자기 자신을 입을 통하여 밖으로 알리는 것이 바로 말인 것이다. 그래서 깨끗한 말을 쓰는 사람을 보면 그 사람 자체가 깨끗해 보이고, 거친 말을 쓰면 그 사람이 거칠어 보이게 된다.
날이 더워지면 몸 안의 열기도 함께 올라가서, 작은 일에도 쉽게 열을 받게 된다. 그렇게 뻗친 열이 입을 통하여 거친 말로 쏟아질 수도 있는데, 이것은 결국 자신의 격을 낮추는 결과만 가져온다. 더운 여름에는 자주 물을 마셔서 몸 안을 식히고, 좋은 말들을 많이 들어서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이 슬기로운 생활 자세이리라 생각한다. 좋은 말은 반드시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남이 써놓은 글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책을 많이 읽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두껍다/두텁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12월 1일. 올 한해 달력도 이제 한 장밖에 안 남았네요.

아침에 안개가 짙게 끼었더군요. 별 탈 없이 일터에 잘 나오셨죠? ^^*

안개는 짙거나 옅다고 합니다.
그러나 구름은 두께보다는 주로 색으로 나타냅니다. 진한 먹구름, 흰 뭉게구름처럼요.

오늘은 두껍다와 두텁다를 갈라보겠습니다.
이런 겨울 날씨에 옷을 두껍게 입어야 하는지, 두텁게 입어야 하는지...

두껍다와 두텁다를 가르는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에는 '두껍다'를 쓰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는 '두텁다'를 쓰시면 됩니다.

곧, '두텁다'는
"신의, 믿음, 관계, 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는 뜻으로
두터운 은혜, 친분이 두텁다, 정이 두텁다처럼 씁니다.

'두껍다'는
"두께가 보통의 정도보다 크다."는 뜻으로
두꺼운 이불, 두꺼운 책, 두꺼운 입술, 추워서 옷을 두껍게 입었다처럼 씁니다.

가르기 쉽죠?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3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53
2576 [2011/12/14]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1-12-14 6831
2575 [2006/12/05] 우리말) 어제 점심때 [달글]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05 6757
2574 [2007/04/04] 우리말) 코사지, 꽃사지, 코르사주, 가슴꽃 id: moneyplan 2007-04-04 6746
2573 [2013/03/04] 우리말) 아파트를 쓸 때 @로 쓰시나요? 머니북 2013-03-04 6737
2572 [2013/09/11] 우리말) 바른말 표어 공모 머니북 2013-09-11 6709
2571 [2016/08/02] 우리말) 자처하다/자초하다 머니북 2016-08-10 6684
2570 [2006/09/18] 우리말) 즐거운 비명 id: moneyplan 2006-09-18 6656
2569 [2006/11/24]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06-11-24 6639
2568 [2014/08/11] 우리말) "찻잔 속의 태풍"은 바른 말일까? 머니북 2014-08-11 6618
2567 [2006/11/20] 우리말) 사바사바? 짬짜미! id: moneyplan 2006-11-20 6584
2566 [2006/11/14] 우리말) 바람떡/개피떡 id: moneyplan 2006-11-14 6575
2565 [2013/09/13] 우리말) 고객관리 머니북 2013-09-13 6559
2564 [2007/01/31] 우리말) 회의자료 지참 --> 회의자료를 가지고 id: moneyplan 2007-01-31 6555
2563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545
2562 [2006/12/06] 우리말) 우리나라 비단 자랑 id: moneyplan 2006-12-07 6494
2561 [2006/09/05] 우리말) 과일과 과실 id: moneyplan 2006-09-05 6469
2560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6439
2559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6411
2558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6334
2557 [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머니북 2012-10-09 6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