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26] 우리말) 낫다/났다/낮다

조회 수 3446 추천 수 0 2016.08.29 08:56:31

'상처가 났다'고 하면 상처가 생긴 것이고,
'상처가 낫다(나았다)'고 하면 상처가 아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온도가 다르네요.
이제 더위가 한풀 꺾였나 봅니다. ^^*

조금 전에 롯데그룹 어떤 분이 검찰 조사를 앞두고 자살했다는 속보가 나오네요.
자살... 스스로 자기의 목숨을 끊는 겁니다.
오죽하면 이라는 말이 나올 수 있을지 모르지만,
저는 어떤 핑계를 대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하늘에서 주신 삶을 자기 스스로 마감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봅니다.
개똥밭에서 굴러도 이승이 낫다는데...

소리는 [낟따]로 같지만 뜻은 다른 낱말이 '낫다'와 '낮다'입니다.
'낫다'는 [낟ː따]로 소리내고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는 뜻이고,
'낮다'는 [낟따]로 읽고 "아래에서 위까지의 높이가 기준이 되는 대상이나 보통 정도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에 '났다'까지 오면 더 헷갈립니다.
'나다'의 과거형인 '났다'는 예전에 상처가 생긴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상처가 났다'고 하면 상처가 생긴 것이고,
'상처가 낫다(나았다)'고 하면 상처가 아문 것입니다.

자살...
어떠한 변명도 안 됩니다.
자기는 저승으로 도망갈지 모르지만,
남은 사람이 받을 고통은 그 어떤 상처보다 클겁니다.
무슨 일인지는 모르지만, 하루빨리 잘 마무리되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구제역]

안녕하세요.

점심 맛있게 잘 드셨나요? 

오늘 아침 7:36에 KBS2에서 진행자가 유자를 들고 "피로회복에 좋다"고 했고, 자막에는 '피로해소에 좋다'고 나왔습니다.
왜 '피로회복'이 입에 붙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피로해소, 원기회복이라는 바른말을 두고 말도 안 되는 '피로회복'을 못 버리는지요.
그놈의 '피로'는 '회복'해서 어디에 쓰시려고... ^^*

아침 뉴스에 보니 경북에서 구제역이 또 나타났군요.
걱정입니다. 
이번에도 아무것도 모른 채 많은 동물이 죽어나가겠네요.

뉴스에서 '살처분'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낱말은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그런데도 네이버 뉴스에서 살처분을 뒤져보니
13,006개의 기사가 나오네요.

이 '살처분'은
죽일 살(殺 ) 자와 "처리하여 치움"이라는 뜻의 처분을 합친 낱말입니다.
게다가 처분은 處分(しょぶん[쇼분])이라는 일본 낱말에서 왔습니다.
굳이 뜻풀이하자면 "죽여 없앰" 정도 되겠죠.

정부에서 먼저 썼는지 언론에서 먼저 썼는지는 모르지만
살처분은 좀 껄끄러운 낱말입니다.

중앙일보에서는 
'살처분'이란 말보다는 '도살 매립' '도살 소각' 따위로 풀어쓰는 게 좋겠다고 하고,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542383
농식품부에서는 '강제 폐기'로 바꾸자는 법안을 내놓은 상태라고 합니다.

그러나 저는 그것도 맘에 안 듭니다.
그냥 '죽여 없앰'이라고 쓰면 안 되나요?
살처분이나 도살 매립, 도살 소각, 강제 폐기...... 뭐가 다르죠?
꼭 이렇게 한자로 낱말을 만들어야 하나요?

바로 이럴 때,
우리말에 없는 낱말을 만들어야 하는 이런 경우에,
정부와 언론이 신중해야 합니다.
'노견' 대신 '어깨길'을 만들 생각을 하지 말고,
'갓길'을 찾는 데 더 힘을 써야 합니다.

학자들이 머리 맞대고 알맞은 낱말을 찾거나 만들어야겠지만,
저라면,
'묻어 없앰'이나 '죽여 없앰'을 쓰겠습니다.

좀 다른 말이지만,
대부분의 의대에는 동물 위령비가 있습니다.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기술을 만들면서 실험용으로 쓴 동물들의 넋을 위로하고자 만든 비입니다.
미안한 말이긴 하지만, 그렇게 죽어간 동물들은 인간을 위해 기술이라도 발전시켰죠.
이번에 구제역이 왔다고 그 둘레 몇 km 안에 산다는 까닭만으로 죽어간 소나 되지는......

저는 오늘 하루만이라도, 아니 편지를 쓰는 지금 이 순간만이라도 죄없이 죽어간 동물을 위해 기도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1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18
1316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492
1315 [2008/02/20] 우리말) 빚쟁이 id: moneyplan 2008-02-20 3494
1314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494
1313 [2010/08/16] 우리말) 약오르다 moneybook 2010-08-16 3494
1312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494
1311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495
1310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495
1309 [2015/04/22] 우리말) 혼인과 결혼 머니북 2015-04-22 3495
1308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496
1307 [2008/06/04] 우리말) 팔방미인과 두루치기 id: moneyplan 2008-06-05 3496
1306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496
1305 [2008/05/23] 우리말) 본데와 본때 id: moneyplan 2008-05-28 3497
1304 [2011/09/06] 우리말) 만날도 맞고 맨날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6 3497
1303 [2015/05/04] 우리말) '집안'과 '집 안' 머니북 2015-05-04 3497
1302 [2016/08/22] 우리말) 여튼, 여하튼, 여하간 머니북 2016-08-24 3497
1301 [2016/10/21] 우리말) 받침소리의 혼란 머니북 2016-11-01 3497
1300 [2017/08/30] 우리말) 뜻밖에 머니북 2017-08-31 3497
129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498
1298 [2010/03/18] 우리말) 낚지와 낙지 id: moneyplan 2010-03-19 3498
1297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