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대기'는 일본말 'tata[叩]ki)'에서 왔으므로 '다짐' 또는 '다진 양념'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곧 점심 시간입니다. 
칼국수나 설렁탕 등을 먹을 때 칼칼한 맛을 돋우고자 넣는 양념을 뭐라고 하시나요?

다대기라고 하시나요?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다대기'는 일본말 'tata[叩]ki)'에서 왔으므로 '다짐' 또는 '다진 양념'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다지기'가 더 좋다고 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다지기'를 찾아보면 "파, 고추, 마늘 따위를 함께 섞어 다진 양념의 하나."라고 나오거든요.

'다진 양념'이라 하건 '다지기'를 쓰건 '다대기'만 안 쓰면 되지 않을까요? ^^*
어제 점심때 한 식당에서 '다대기'라고 쓴 것을 보고 제가 제 카카오스토리에 쓴 글을 공유합니다.

https://story.kakao.com/urimal123/gJUZJhx0CA0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신기록 경신]



안녕하세요.

날씨가 무척 춥습니다.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박태환 선수가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쓸고 있네요. 좋은 소식입니다.
어제는 자기가 세운 아시아 신기록을 갈아치우면서 금메달을 땄다고 합니다.

오늘은 신기록 경신과 갱신을 알아보겠습니다.

'경신'과 '갱신'은 모두 한자로 更新입니다.
같은 한자를 어떻게 읽는가에 따라 뜻이 달라집니다.
更 자는 '다시 갱'과 '고칠 경'으로 읽는데, 
更 자를 '다시 갱'으로 읽어
'경신'이라고 하면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운동 경기의 기록을 '경신'한다고 하는 게 바릅니다.

更 자를 '고칠 갱'으로 읽어
'갱신'이라고 하면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과
"기존의 내용을 변동된 사실에 따라 변경˙추가˙삭제하는 일"을 말합니다.
계약 갱신, 비자 갱신, 면허 갱신, 시스템의 갱신 따위로 씁니다.

정리하면,
'경신'은 내용을 새로 바꾸는, 한 단계 올라가는, 신기록 경신에 쓰이고,
'갱신'은 계약 기간을 연장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데 쓴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경신'은 '고침'으로
'갱신'은 '새로 고침'으로 바꿔 쓰자고 권했습니다.

박태환 선수가 아시아 신기록을 고치듯이,
다른 선수들도 신기록을 고치는 일이 자주 일어나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4
1176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629
1175 [2013/10/3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10-31 3629
1174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629
1173 [2007/11/08] 우리말) 영어 교육 id: moneyplan 2007-11-08 3630
1172 [2008/10/09] 우리말) 한글날 기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9 3630
1171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30
1170 [2013/12/10] 우리말) 책거리 머니북 2013-12-10 3631
1169 [2012/03/19]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머니북 2012-03-19 3631
1168 [2012/02/21] 우리말) 쑥스럽다 머니북 2012-02-21 3632
1167 [2016/08/16] 우리말) 모처럼/어쩌다 머니북 2016-08-17 3633
1166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634
1165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634
1164 [2014/01/14] 우리말) 예수남은 머니북 2014-01-14 3634
1163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634
1162 [2008/09/30] 우리말) 멀다랗다와 머다랗다 id: moneyplan 2008-09-30 3635
1161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636
1160 [2012/02/15] 우리말) 노름마치 머니북 2012-02-15 3636
1159 [2008/10/07] 우리말) 염치와 얌치 id: moneyplan 2008-10-07 3637
1158 [2012/05/16] 우리말) 우리말 바로쓰기 머니북 2012-05-16 3637
1157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