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09] 우리말) 반죽. 변죽, 딴죽

조회 수 3500 추천 수 0 2016.09.16 14:51:00

'다대기'는 일본말 'tata[叩]ki)'에서 왔으므로 '다짐' 또는 '다진 양념'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가운 금요일입니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반죽. 변죽, 딴죽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운영위원

우리말에 ‘반죽이 좋다’란 표현이 있다. ‘반죽’은 “쌀가루나 밀가루에 물을 부어 이겨 놓은 것”이다. 이 반죽이 잘 되면 뜻하는 음식을 만들기가 쉽기 때문에, 마음먹은 대로 원하는 물건에 쓸 수 있는 상태를 ‘반죽이 좋다’고 말한다. 이 뜻이 변해서 오늘날에는 “쉽사리 노여움이나 부끄러움을 타지 않을 때”에도 ‘반죽이 좋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런 경우의 ‘반죽이 좋다’를 흔히 ‘변죽이 좋다’고 혼동해서 쓰는 경우가 있다. ‘반죽’과 ‘변죽’의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경우이다. ‘변죽’은 “그릇이나 과녁의 가장자리”를 뜻하는 말이다. 한가운데가 아니라 가장자리이다. 여기에서 나온 말이 ‘변죽을 울리다’인데, “바로 집어 말을 하지 않고 둘러서 말을 하다.” 곧 ‘남이 눈치를 챌 수 있을 정도로만’ 말하는 것을 뜻한다. 가령, “재개발이 변죽만 울리며 몇 년째 시행되지 않고 있다.”는 말은, 재개발을 할 것처럼 주변에서 말들이 오갈 뿐 몇 년 동안 시행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 된다. ‘변죽’과 ‘반죽’은 서로 전혀 다른 말이므로 잘 구별해서 써야 한다.

변죽, 반죽과 형태가 비슷한 ‘딴죽’이란 말도 있다. 씨름이나 태껸 같은 데서 발로 상대자의 다리를 옆으로 쳐서 쓰러뜨리는 재주를 ‘딴죽’이라고 하는데, 발로 상대자의 다리를 걸어 당기는 동작을 “딴죽 걸다”라고 한다. 그리고 발로 남의 다리를 후려치는 동작은 “딴죽(을) 치다”라고 한다. 이 말은 “서로 약은 체를 하고 딴죽을 걸고 있다.”와 같이, “서로 동의했던 일을 어기고 딴청만 부릴 때”에도 비유적으로 쓰는 표현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내로라하다]


안녕하세요.

오늘 G20 정상회의가 우리나라에서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내로라하는 분들이 많이 오셨네요.

1. 
흔히 어떤 분야를 대표할만한 사람을 두고
'내노라 하는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떳떳하게 앞에 내 놓는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말씀하시는지 모르지만,

어떤 분야를 대표할 만하다는 뜻의 움직씨(동사)는 '내로라하다'이고 이의 말뿌리가 '내로라'입니다.
따라서 
'내로라하는 사람들은 그 회의에 모두 참석했습니다.'
'내로라 우쭐거린다고 알아줄 사람은 없습니다.'처럼 쓰는 게 바릅니다.

2.
며칠 전부터 뉴스에서 회담을 갖는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회담을 제의하고, 회담을 열고, 회담을 하는 것이지,
갖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영어 번역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3.
이번 G20정상회담의 승패는 어디에 달렸을까요?

답은...
어디에도 달리지 않았다는 겁니다. ^^*
승패(勝敗)는,
승리와 패배, 곧, '이기고 짐'을 말합니다.
회담에서 이기고 지는 게 어딨어요.
그때는 승패가 아니라 성패라고 해야 바릅니다.
성패(成敗)는,
성공과 실패, 곧 '잘 되고 안 되고'를 말합니다.
이번 G20정상회담의 성패는 어디에 달렸을까요? ^^*
회담이 잘 되어 우리나라 발전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87
1256 [2011/06/09] 우리말) 하릴없이 놀며 세월만 허비하는 짓 머니북 2011-06-09 3710
1255 [2011/06/08] 우리말) '찢어발기다'와 '까발리다' 머니북 2011-06-09 4182
1254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713
1253 [2011/06/03] 우리말) 야로와 야코죽다 moneybook 2011-06-07 4174
1252 [2011/06/02] 우리말) 하루이틀 moneybook 2011-06-02 3742
1251 [2011/06/01] 우리말) 흐리멍덩하다 moneybook 2011-06-01 3474
1250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744
1249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46
1248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459
1247 [2011/05/26] 우리말) 햇빛, 햇살, 햇볕 moneybook 2011-05-26 3701
1246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935
1245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586
1244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376
1243 [2011/05/20] 우리말) 실수와 잘못 moneybook 2011-05-20 3812
1242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48
1241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63
1240 [2011/05/17] 우리말) 뜬금없다 moneybook 2011-05-17 3731
1239 [2011/05/16] 우리말) 내로라하는 가수 moneybook 2011-05-16 3547
1238 [2011/05/13] 우리말) 안전띠 moneybook 2011-05-14 3661
1237 [2011/05/12] 우리말) 달뜨다와 주니 moneybook 2011-05-12 3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