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06] 우리말) 우리말샘

조회 수 3258 추천 수 0 2016.11.01 21:43:02

국립국어원에서 '우리말샘'이라는 온라인 사전을 만들었습니다.
자주 쓰긴 하지만, 국어사전에 없는 낱말을 이제는 '우리말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립국어원에서 '우리말샘'이라는 온라인 사전을 만들었습니다.
http://opendict.korean.go.kr 
자주 쓰긴 하지만, 국어사전에 없는 낱말을 이제는 '우리말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꽃중년, 힐링하다 따위가 그 사전에 올라있습니다.
또, 누구나 낱말 풀이를 더하거나 고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이처럼 집단지성의 힘을 빌린 참여형 국어사전의 등장으로 시대가 급변하며 쏟아지는 신조어와 외래어, 전문단어를 대폭 수용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도 있네요.
검토와 조율을 거치지 않은 단어가 단지 우리말샘에 올랐다는 이유로 표준어처럼 취급될 수 있다는 것이죠.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71&newsid=01285766612809640&DCD=A407&OutLnkChk=Y

우리말샘이 좋은 사전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조찬]

안녕하세요.

아침에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오면서
오늘은 무슨 내용으로 우리말 편지 밥상을 차릴지 생각하다가 아들 녀석이 넘어지는 것도 못 봤네요. ^^*
일터에 다 와 가는데도 마땅한 찬거리가 생각나지 않았는데,
고맙게도 길에서 만난 선배님이 도와주시네요.

"성 박사, 오랜만이네, 어부인 잘 계시지?"
"예, 오랜만입니다."
"이렇게 일찍 아들과 같이 일터에 나가려면 조찬이나 드시고 나오셨는가?"
"예, 애들과 같이 아침을 꼭 챙겨 먹습니다."

짧은 몇 마디 주고받았는데 걸리는 낱말이 있네요.
'어부인'은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다른 사람의 아내를 말할 때는 '부인'이라고 해야 하고,
남 앞에서 자기 아내를 소개할 때는 '처'나 '아내'라고 말해야 합니다.
'부인'은 높임말입니다. 남에게 자기 아내를 소개하면서 '부인'이라는 호칭을 쓰면 안 됩니다.

조찬은 
손님을 초대하여 함께 먹는 아침 식사(朝餐)
검소하게 차린 식사(粗餐)
변변하지 않은 반찬(粗饌)
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아침'에는 날이 새는 동안이라는 뜻도 있지만 '아침밥'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조찬 드셨는가?'보다는 '아침은 들었는가?'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날씨가 참 좋을 것 같습니다.
날씨만큼 환하고 기쁜 일 많이 만드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4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74
2256 [2014/09/26] 우리말) 목이 두꺼운 처자 머니북 2014-09-26 3225
2255 [2015/10/27] 우리말) 한자보다는 우리말 머니북 2015-10-27 3225
2254 [2015/11/03] 우리말) 새살거리다/상글상글 머니북 2015-11-03 3225
2253 [2010/05/12] 우리말) 청서와 철설모/책갈피와 갈피표 id: moneyplan 2010-05-12 3226
2252 [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머니북 2013-12-31 3226
2251 [2016/10/14] 우리말) 미망인 머니북 2016-11-01 3226
2250 [2014/12/19] 우리말) 말뿌리 몇 가지 머니북 2014-12-19 3227
2249 [2008/07/28] 우리말) 미덥다와 구덥다 id: moneyplan 2008-07-29 3228
2248 [2009/07/02] 우리말) 핑크빛과 핑크ㅅ빛 id: moneyplan 2009-07-02 3228
2247 [2009/07/07] 우리말) 붓날다와 새롱거리다 id: moneyplan 2009-07-07 3228
2246 [2016/09/05] 우리말) 자웅 머니북 2016-09-07 3228
2245 [2016/10/25] 우리말) 머드러기와 도사리 머니북 2016-11-01 3228
2244 [2014/12/23] 우리말) 수동형과 능동형 머니북 2014-12-23 3229
2243 [2010/06/07] 우리말) 엿먹다 moneybook 2010-06-07 3230
2242 [2010/06/14] 우리말) 소개 moneybook 2010-06-14 3230
2241 [2012/04/13] 우리말) 투표하러 갔다가 황당한(?) 문구를 봤어요 머니북 2012-04-13 3230
2240 [2015/03/18] 우리말) 향년 머니북 2015-03-18 3230
2239 [2016/02/11] 우리말) 귀성과 귀경 머니북 2016-02-11 3230
2238 [2009/07/14] 우리말) 세뇌 id: moneyplan 2009-07-14 3231
2237 [2014/09/01] 우리말) 싸다와 쌓다 머니북 2014-09-01 3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