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17] 우리말) 오늘 하루도 즐겁게

조회 수 2963 추천 수 0 2016.11.01 21:46:04

'Have a nice day.'는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나 '재밌게 보내세요.' 정도로 바꿔 쓰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 아침입니다.
이번 주도 좋은 일이 자주 일어나길 빕니다. ^^*

흔히, 
좋은 하루 되세요, 즐거운 일주일 되세요라는 인사를 합니다.
그건 아마도 'Have a nice day.'를 번역한 말일 겁니다.
그러나 그 말을 듣는 사람이 '좋은 하루'가 될 수 없기에 문법을 따지면 잘못된 말입니다.
'되다'에는 시간이나 세월이 지나가게 하다는 뜻이 없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나 '재밌게 보내세요.' 정도로 바꿔 쓰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일이 자주 일어나서 웃는 게 아니라,
자주 웃으면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합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시면서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2010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벼 향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아들 녀석과 같이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왔습니다.
제가 전생에 무슨 착한 일을 해서 이런 복을 누리는지 모르겠습니다. ^^*

이렇게 날씨가 덥지 않으니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오기 참 좋네요.
지난주 목요일이 추분이었습니다.
추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인데요.
김영조 님이 쓰신 얼레빗에 보내 재밌는 내용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추분의 들녘에 서면 벼가 익어가는데 그 냄새를 한자말로 향(香)이라고 합니다. 벼 화(禾) 자와 날 일(日) 자가 합해진 글자이지요. 한여름 뜨거운 해의 사랑을 받으며 자란 벼는 그 안에 진한 향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처럼 사람도 내면에 치열한 내공을 쌓아갈 때 저 내면 깊이엔 향기가 진동하지 않을까요? 
또 들판의 익어가는 수수와 조, 벼들은 강렬한 햇볕, 천둥과 폭우의 나날을 견뎌 저마다 겸손의 고개를 숙입니다. 내공을 쌓은 사람이 머리가 무거워져 고개를 숙이는 것과 벼가 수많은 비바람의 세월을 견뎌 머리가 수그러드는 것은 같은 이치가 아닐까요? 이렇게 추분은 중용과 내면의 향기와 겸손을 생각하게 하는 아름다운 때입니다.

김영조 님은 우리 문화와 관련하여 아침마다 이런 멋진 편지를 보내주십시오.
koyakonin@gmail.com 으로 신청하시면 누구든지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66
2516 [2015/04/01] 우리말) 누룽지튀각과 눌은밥튀각 머니북 2015-04-01 2964
» [2016/10/17] 우리말) 오늘 하루도 즐겁게 머니북 2016-11-01 2963
2514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966
2513 [2016/05/03] 우리말) 밖에 없다/뿐이다 머니북 2016-05-03 2966
2512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967
2511 [2016/08/19] 우리말) 경기에 이겼을까, 경기를 이겼을까? 머니북 2016-08-24 2968
2510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2970
2509 [2014/04/11] 우리말)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머니북 2014-04-11 2970
2508 [2015/07/16]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머니북 2015-07-16 2971
2507 [2016/04/01] 우리말) 갖다 -> 열다 머니북 2016-04-02 2971
2506 [2009/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4-16 2974
2505 [2010/07/30] 우리말) 스리와 쓰리 moneybook 2010-07-30 2974
2504 [2014/01/08] 우리말) 옴짝달싹 머니북 2014-01-08 2974
2503 [2015/08/11] 우리말) 입때껏 머니북 2015-08-11 2974
2502 [2015/01/05] 우리말) ‘어줍다’와 ‘어쭙잖다’ 머니북 2015-01-05 2976
2501 [2009/02/25] 우리말) 점심과 식사 id: moneyplan 2009-02-25 2977
2500 [2015/06/25] 우리말) 정종과 청주 머니북 2015-06-26 2977
2499 [2014/12/01] 우리말) 도 긴 개 긴 머니북 2014-12-01 2979
2498 [2008/12/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2-18 2981
2497 [2014/09/19]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머니북 2014-09-19 2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