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21] 우리말) 받침소리의 혼란

조회 수 3705 추천 수 0 2016.11.01 21:48:28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받침소리의 혼란

요즘 들어 ‘햇빛이’, ‘햇빛을’과 같은 말들을 [해삐시], [해삐슬]로 발음하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졌다. ‘꽃이 피었다’를 [꼬시 피어따], ‘꽃을 꺾다’를 [꼬슬 꺽따]로 발음하는 것도 마찬가지인데, 모두 받침소리에 유의하지 않고 무심코 발음하다가 버릇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표기를 잘 살펴서 [해삐치], [해삐츨], [꼬치], [꼬츨]과 같이 올바르게 발음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거꾸로, “손을 [깨끄치](깨끗이) 씻어라.”, “지우개로 [깨끄치](깨끗이) 지운다.”처럼 말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는 [깨끄치]가 아니라 [깨끄시]가 표준 발음이다. 따라서 표기할 때에도 시옷받침을 적어야 하는 것이다. 쉬운 말인데도 받침소리를 잘못 발음하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비슷한 사례로 흔히 “[비슬](빚을) 갚았다.”라고 하는 말을 들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비슬]이 아니라 “[비즐] 갚았다.”로 말해야 한다. 또, “[끄츨](끝을) 보고야 말겠다.”라는 말도 “[끄틀] 보고야 말겠다.”가 표준 발음이다. “끝”이나 “밭”, “볕”과 같은 경우처럼 티읕받침으로 끝나는 말은, [끄틀/바틀](끝을/밭을), [끄테서/바테서](끝에서/밭에서), [해뼈틀/해뼈테](햇볕을/햇볕에)로 발음한다. 하지만, 뒤에 ‘이’ 자가 붙을 때는 [티]가 아니라 [치]로 소리가 달라진다. 가령 “[끄티](끝이) 좋지 않다.”가 아니라 “[끄치] 좋지 않다.”인데, 이렇게 어미 ‘이’가 붙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받침소리를 잘 살펴서 발음해야 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한가위를 맞아 넉넉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안녕하세요.

고향 가는 길에 비가 오네요.
아침 뉴스에서 들으니 벌써 사고소식이 있네요.
아무쪼록 고향에 잘 다녀오시길 빕니다.

이틀 뒤면 한가위입니다.
한가위는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쳐진 낱말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입니다.

한가위를 가배, 충추절이라고도 합니다.
'가배'가 신라 때의 길쌈놀이(베 짜기)인 '가배(嘉俳)'에서 왔다고도 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분들도 많으십니다.
어쨌든 표준국어사전에 '가위'를 "추석"으로 풀어놨습니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仲秋), 종추(終秋)로 나눈 데 그 뿌리가 있습니다.

'추석'은
예기의 조춘일 추석월(朝春日 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과
중국의 중추, 추중, 칠석, 월석 가운데에 
'중추'의 '추(秋)'와 '월석'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고 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가배건 중추절이건 추석이건,
저는 한가위가 가장 맘에 듭니다.
왠지 넉넉한 기분이 들지 않나요?

한가위는 대자연에게 감사하는 날이요,
조상님의 은덕과 은공을 가슴에 새기는 날이요,
내 존재의 뿌리를 생각해보게 하는 날이라고 합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20
1416 [2008/06/30]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6-30 3675
1415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3674
1414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674
1413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74
1412 [2010/12/17] 우리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답장 moneybook 2010-12-18 3674
1411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674
1410 [2015/04/06] 우리말) 여미다 머니북 2015-04-06 3670
1409 [2014/09/02] 우리말) 씽크홀 머니북 2014-09-02 3670
1408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670
1407 [2009/09/11] 우리말) 책 한 권 권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09-11 3670
1406 [2008/08/06] 우리말) 메밀꽃 id: moneyplan 2008-08-06 3670
1405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670
1404 [2011/06/10] 우리말) 단초와 실마리 머니북 2011-06-13 3669
1403 [2007/08/08] 우리말) '각각'은 '따로따로' id: moneyplan 2007-08-08 3668
1402 [2013/11/13] 우리말) '계란 껍질' 머니북 2013-11-13 3667
1401 [2008/12/10] 우리말)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나, 새우 싸움에 고래 등 터지나? id: moneyplan 2008-12-10 3667
1400 [2007/06/30] 우리말) 계란보다는 달걀을... id: moneyplan 2007-07-02 3667
1399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666
1398 [2011/08/19] 우리말) 공공언어 이대로 둘것인가 2 머니북 2011-08-19 3666
1397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