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조회 수 4011 추천 수 0 2016.11.01 21:53:33

그 우렁이의 안쪽으로 들어가려면 빙빙 돌아서 속으로 들어가야 할 겁니다.
그래서 나온 말이 '우렁잇속'이라는 낱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과 낮의 온도 차이가 크네요.
늘 건강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우렁이 이야기입니다. 우렁이가 뭔지는 다 아시죠?
진한 녹색의 원뿔꼴 껍질을 가지고 있는, 논이나 웅덩이에 사는 녀석입니다.
흔히 고둥이라고도 하죠.

그 우렁이의 안쪽으로 들어가려면 빙빙 돌아서 속으로 들어가야 할 겁니다.
그래서 나온 말이 '우렁잇속'이라는 낱말입니다.
내용이 복잡하여 헤아리기 어려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기도 하고,
품은 생각을 모두 털어놓지 아니하는 의뭉스러운 속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기도 합니다.

요즘 뉴스를 보면서 그 낱말이 떠올랐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비껴가다]

안녕하세요.

어제 태풍 말로가 지나갔습니다.
말로가 말로만 요란하게 지나간 것 같아 다행입니다. ^^*

태풍이 우리나라를 비켜 갔을까요, 비껴갔을 까요? 
'비끼다'는
"비스듬히 놓이거나 늘어지다."
"얼굴에 어떤 표정이 잠깐 드러나다."
"비스듬히 놓거나 차거나 하다." 라는 뜻입니다.

'비키다'는,
"무엇을 피하여 있던 곳에서 한쪽으로 자리를 조금 옮기다.",
"방해가 되는 것을 한쪽으로 조금 옮겨 놓다.",
"무엇을 피하여 방향을 조금 바꾸다."라는 뜻으로 
길에서 놀던 아이가 자동차 소리에 깜짝 놀라 옆으로 비켰다.
통로에 놓였던 쌀독을 옆으로 비켜 놓았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강타할 것으로 예상했던 태풍이 
다행스럽게도 우리나라를 피해 방향을 바꾸어 지나간 경우라면 '비켜 가다'를, 
태풍이 잠깐 옆으로 스친 듯 지나간 경우라면 '비껴가다'를 쓰면 됩니다.

혹시 시험에서
'비켜가다'가 맞는지 '비껴가다'가 맞는지를 묻는다면,
'비껴가다'가 맞습니다.
왜냐하면,
사전에 '비껴가다'는 낱말은 있어도,
'비켜가다'는 낱말은 없거든요.
그래서 앞에서 '비켜 가다'라고 띄어서 쓴 겁니다. 

오늘이 백로입니다.
아직 늦더위가 남아 있지만,
곡식을 더 여물게 하는 더위라 생각하시고 고마운 더위 잘 즐기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35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83
1036 [2008/07/07] 우리말) 인제와 이제 id: moneyplan 2008-07-07 3763
1035 [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id: moneyplan 2009-12-08 3763
1034 [2012/12/10] 우리말) 영어 교육2 머니북 2012-12-10 3763
1033 [2014/07/03] 우리말) 동고동락 머니북 2014-07-04 3763
1032 [2013/10/22] 우리말) 인사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머니북 2013-10-22 3765
1031 [2015/05/19] 우리말) 생광스럽다 머니북 2015-05-19 3766
1030 [2007/01/24] 우리말) 햇빛, 햇볕, 햇살 id: moneyplan 2007-01-25 3767
1029 [2011/08/18] 우리말) '열과'가 뭔지 아세요? 머니북 2011-08-18 3767
1028 [2014/02/28] 우리말) 날탕과 생무지 머니북 2014-02-28 3768
1027 [2015/03/24] 우리말) 꽃샘과 잎샘 머니북 2015-03-24 3768
1026 [2016/07/11] 우리말) 겨땀 -> 곁땀 머니북 2016-07-11 3768
1025 [2007/08/03] 우리말) '역활'이 아니라 '역할', '역할'이 아니라 '할 일' id: moneyplan 2007-08-03 3769
1024 [2009/11/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11-16 3769
1023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769
1022 [2008/10/20] 우리말) 하고하다와 허구하다 id: moneyplan 2008-10-20 3770
1021 [2017/09/01] 우리말) 머드러기와 부스러기 머니북 2017-09-07 3770
1020 [2010/05/06] 우리말) 등살과 등쌀 id: moneyplan 2010-05-06 3771
1019 [2011/07/04] 우리말) 설뚱하다 머니북 2011-07-04 3771
1018 [2012/07/17] 우리말) '애당초'와 '애시당초' 머니북 2012-07-17 3771
1017 [2015/11/10] 우리말) 개비/피우다 머니북 2015-11-10 3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