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조회 수 3512 추천 수 0 2017.01.13 18:35:07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옥의 티

신문이나 방송에서 자주 보고 듣는 말 가운데, ‘옥에 티’란 말이 있다. 이 말을 쓸 때에 많은 사람들이 ‘옥에 티’와 ‘옥의 티’ 가운데 어느 것이 바른 말인지 궁금해 한다. 그러면서도 실제 쓸 때에는 아무래도 귀에 익숙하고 발음하기도 편한 ‘옥에 티’를 선택한다. 그렇다면 ‘옥에 티’는 어법에 맞는 표현일까?

‘어디에 무엇이 있다’는 식으로 표현할 때에는 ‘옥에 티가 있다’라고 하면 된다. 그런데 ‘이것은 무엇이다’는 식으로 말할 때에는 ‘이것은 옥에 티다’, ‘이것은 옥의 티다’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지 망설여진다. 현재 국어사전에는 ‘옥에티’나 ‘옥의티’란 말이 한 낱말로 실려 있지 않다. 그러므로 ‘옥에’와 ‘티’, ‘옥의’와 ‘티’는 띄어 써야 하며, 따라서 이 말은 하나의 낱말이 아니라 명사구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만일 ‘옥에 티’가 명사구라면 ‘옥에 있는 티’가 줄어든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말을 줄여 쓰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 명사구로 본다면 ‘나의 소원’처럼 ‘옥의 티’라고 해야 어법에 맞는 표현이 된다. 곧 ‘옥에 티가 있다’, ‘이것은 옥의 티다’처럼 ‘에’와 ‘의’를 구별하여 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동요 가운데 <고향의 봄> 첫 소절은 “나의 살던 고향은”으로 시작된다. 이 경우는 ‘나의 소원’, ‘옥의 티’와는 다르다. ‘나의 고향’은 옳지만 ‘나의 살던 고향’은 어법에 맞지 않다. 이 구절은 “내가 살던 고향은”으로 바로잡아야 비로소 올바로 선 우리말이 된다. 아이들이 꿈을 키워 나가는 동요 가사에서부터 우리말이 비뚤어진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큰소리와 큰 소리]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목이 좋지 않아 병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벌써 두 달이 넘었는데도 아직 좋아지지 않고 있네요.
앞으로 저는 노래방은 잊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식구와 같이 음악회에 갔는데, 테너와 소프라노가 어찌 그리 부럽던지요.
예전에는 저도 목소리 좋다는 소릴 들었는데...

가끔은 큰 소리도 치고 그랬는데 이제는 목소리를 높일 수 없으니 큰 소리도 못 내게 되었고,
노래방 가서 엽전 열닷냥도 맘껏 불렀는데, 이제는...

오늘은 '큰소리'와 '큰 소리'를 갈라 보겠습니다.

먼저
'큰 소리'는 말 그대로 크게 내지르는 소리입니다.
저는 이제 노래방 가서 큰 소리를 내지 못합니다. ^^*

'큰소리'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목청을 돋워 가며 야단치는 소리.
2. 남 앞에서 잘난 체하며 뱃심 좋게 장담하거나 사실 이상으로 과장하여 하는 말
3. 남한테 고분고분하지 않고 당당히 대하여 하는 말
입니다.


저는 앞으로
'큰소리'는 칠 수 있을지언정
'큰 소리'는 못 치게 생겼네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9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92
1476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640
1475 [2011/03/15] 우리말) 꽃샘과 꽃샘추위 moneybook 2011-03-15 3247
1474 [2011/03/16] 우리말) 잎샘 moneybook 2011-03-16 3032
1473 [2011/03/17] 우리말) 방사선과 방사능 moneybook 2011-03-17 3163
1472 [2011/03/18] 우리말) 난임과 불임 moneybook 2011-03-18 3165
1471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3584
1470 [2011/03/22] 우리말) 뭘로와 뭐로 moneybook 2011-03-22 3144
1469 [2011/03/23] 우리말) 댓글 moneybook 2011-03-23 3075
1468 [2011/03/24] 우리말) 여우비 moneybook 2011-03-24 3577
1467 [2011/03/25] 우리말) 비릊다 moneybook 2011-03-25 3210
1466 [2011/04/04] 우리말) 조비비다 moneybook 2011-04-04 3733
1465 [2011/04/05] 우리말) 기름값 인하 moneybook 2011-04-05 3349
1464 [2011/04/05-2] 우리말) 잔불과 뒷불 moneybook 2011-04-05 3328
1463 [2011/04/06] 우리말) 자글거리다 moneybook 2011-04-06 3746
1462 [2011/04/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4-07 3142
1461 [2011/04/08] 우리말) 파근하다 moneybook 2011-04-08 3916
1460 [2011/04/09]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moneybook 2011-04-09 3696
1459 [2011/04/11] 우리말) 너스레 moneybook 2011-04-12 3247
1458 [2011/04/12] 우리말) 예부터 moneybook 2011-04-12 3592
1457 [2011/04/13]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moneybook 2011-04-13 3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