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조회 수 3555 추천 수 0 2017.01.13 18:35:07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옥의 티

신문이나 방송에서 자주 보고 듣는 말 가운데, ‘옥에 티’란 말이 있다. 이 말을 쓸 때에 많은 사람들이 ‘옥에 티’와 ‘옥의 티’ 가운데 어느 것이 바른 말인지 궁금해 한다. 그러면서도 실제 쓸 때에는 아무래도 귀에 익숙하고 발음하기도 편한 ‘옥에 티’를 선택한다. 그렇다면 ‘옥에 티’는 어법에 맞는 표현일까?

‘어디에 무엇이 있다’는 식으로 표현할 때에는 ‘옥에 티가 있다’라고 하면 된다. 그런데 ‘이것은 무엇이다’는 식으로 말할 때에는 ‘이것은 옥에 티다’, ‘이것은 옥의 티다’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지 망설여진다. 현재 국어사전에는 ‘옥에티’나 ‘옥의티’란 말이 한 낱말로 실려 있지 않다. 그러므로 ‘옥에’와 ‘티’, ‘옥의’와 ‘티’는 띄어 써야 하며, 따라서 이 말은 하나의 낱말이 아니라 명사구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만일 ‘옥에 티’가 명사구라면 ‘옥에 있는 티’가 줄어든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말을 줄여 쓰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 명사구로 본다면 ‘나의 소원’처럼 ‘옥의 티’라고 해야 어법에 맞는 표현이 된다. 곧 ‘옥에 티가 있다’, ‘이것은 옥의 티다’처럼 ‘에’와 ‘의’를 구별하여 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동요 가운데 <고향의 봄> 첫 소절은 “나의 살던 고향은”으로 시작된다. 이 경우는 ‘나의 소원’, ‘옥의 티’와는 다르다. ‘나의 고향’은 옳지만 ‘나의 살던 고향’은 어법에 맞지 않다. 이 구절은 “내가 살던 고향은”으로 바로잡아야 비로소 올바로 선 우리말이 된다. 아이들이 꿈을 키워 나가는 동요 가사에서부터 우리말이 비뚤어진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큰소리와 큰 소리]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목이 좋지 않아 병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벌써 두 달이 넘었는데도 아직 좋아지지 않고 있네요.
앞으로 저는 노래방은 잊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식구와 같이 음악회에 갔는데, 테너와 소프라노가 어찌 그리 부럽던지요.
예전에는 저도 목소리 좋다는 소릴 들었는데...

가끔은 큰 소리도 치고 그랬는데 이제는 목소리를 높일 수 없으니 큰 소리도 못 내게 되었고,
노래방 가서 엽전 열닷냥도 맘껏 불렀는데, 이제는...

오늘은 '큰소리'와 '큰 소리'를 갈라 보겠습니다.

먼저
'큰 소리'는 말 그대로 크게 내지르는 소리입니다.
저는 이제 노래방 가서 큰 소리를 내지 못합니다. ^^*

'큰소리'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목청을 돋워 가며 야단치는 소리.
2. 남 앞에서 잘난 체하며 뱃심 좋게 장담하거나 사실 이상으로 과장하여 하는 말
3. 남한테 고분고분하지 않고 당당히 대하여 하는 말
입니다.


저는 앞으로
'큰소리'는 칠 수 있을지언정
'큰 소리'는 못 치게 생겼네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60
1276 [2008/04/07]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08-04-07 3589
1275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89
1274 [2016/10/21] 우리말) 받침소리의 혼란 머니북 2016-11-01 3589
1273 [2008/07/22] 우리말) 나지막하다 id: moneyplan 2008-07-22 3590
1272 [2008/10/01] 우리말) '안되다'와 '안 되다' id: moneyplan 2008-10-01 3590
1271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590
1270 [2007/07/25] 우리말) 공멸은 피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7-25 3591
1269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591
1268 [2014/11/12] 우리말) 핏줄 쓰이다 머니북 2014-11-12 3591
1267 [2013/11/13] 우리말) '계란 껍질' 머니북 2013-11-13 3592
1266 [2007/07/31] 우리말) 탈레반, 정말 밉네요 id: moneyplan 2007-07-31 3593
1265 [2008/06/30]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8-06-30 3593
1264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593
1263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593
1262 [2008/12/24] 우리말) 내년과 이듬해 id: moneyplan 2008-12-24 3594
1261 [2011/12/29]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머니북 2011-12-29 3594
1260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94
1259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595
1258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595
1257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