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조회 수 3556 추천 수 0 2017.01.13 18:35:07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옥의 티

신문이나 방송에서 자주 보고 듣는 말 가운데, ‘옥에 티’란 말이 있다. 이 말을 쓸 때에 많은 사람들이 ‘옥에 티’와 ‘옥의 티’ 가운데 어느 것이 바른 말인지 궁금해 한다. 그러면서도 실제 쓸 때에는 아무래도 귀에 익숙하고 발음하기도 편한 ‘옥에 티’를 선택한다. 그렇다면 ‘옥에 티’는 어법에 맞는 표현일까?

‘어디에 무엇이 있다’는 식으로 표현할 때에는 ‘옥에 티가 있다’라고 하면 된다. 그런데 ‘이것은 무엇이다’는 식으로 말할 때에는 ‘이것은 옥에 티다’, ‘이것은 옥의 티다’ 가운데 어느 것을 써야 할지 망설여진다. 현재 국어사전에는 ‘옥에티’나 ‘옥의티’란 말이 한 낱말로 실려 있지 않다. 그러므로 ‘옥에’와 ‘티’, ‘옥의’와 ‘티’는 띄어 써야 하며, 따라서 이 말은 하나의 낱말이 아니라 명사구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만일 ‘옥에 티’가 명사구라면 ‘옥에 있는 티’가 줄어든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말을 줄여 쓰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 명사구로 본다면 ‘나의 소원’처럼 ‘옥의 티’라고 해야 어법에 맞는 표현이 된다. 곧 ‘옥에 티가 있다’, ‘이것은 옥의 티다’처럼 ‘에’와 ‘의’를 구별하여 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동요 가운데 <고향의 봄> 첫 소절은 “나의 살던 고향은”으로 시작된다. 이 경우는 ‘나의 소원’, ‘옥의 티’와는 다르다. ‘나의 고향’은 옳지만 ‘나의 살던 고향’은 어법에 맞지 않다. 이 구절은 “내가 살던 고향은”으로 바로잡아야 비로소 올바로 선 우리말이 된다. 아이들이 꿈을 키워 나가는 동요 가사에서부터 우리말이 비뚤어진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큰소리와 큰 소리]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목이 좋지 않아 병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벌써 두 달이 넘었는데도 아직 좋아지지 않고 있네요.
앞으로 저는 노래방은 잊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식구와 같이 음악회에 갔는데, 테너와 소프라노가 어찌 그리 부럽던지요.
예전에는 저도 목소리 좋다는 소릴 들었는데...

가끔은 큰 소리도 치고 그랬는데 이제는 목소리를 높일 수 없으니 큰 소리도 못 내게 되었고,
노래방 가서 엽전 열닷냥도 맘껏 불렀는데, 이제는...

오늘은 '큰소리'와 '큰 소리'를 갈라 보겠습니다.

먼저
'큰 소리'는 말 그대로 크게 내지르는 소리입니다.
저는 이제 노래방 가서 큰 소리를 내지 못합니다. ^^*

'큰소리'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목청을 돋워 가며 야단치는 소리.
2. 남 앞에서 잘난 체하며 뱃심 좋게 장담하거나 사실 이상으로 과장하여 하는 말
3. 남한테 고분고분하지 않고 당당히 대하여 하는 말
입니다.


저는 앞으로
'큰소리'는 칠 수 있을지언정
'큰 소리'는 못 치게 생겼네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66
1256 [2009/10/05] 우리말) 얼토당토않다 id: moneyplan 2009-10-06 3530
1255 [2012/06/19] 우리말) 수키와 머니북 2012-06-19 3529
1254 [2008/12/17] 우리말) 땅보탬 id: moneyplan 2008-12-17 3528
1253 [2008/05/30] 우리말) 무색 치마 id: moneyplan 2008-06-03 3528
1252 [2016/06/02] 우리말) 바다로 나간 우리말 머니북 2016-06-07 3527
1251 [2009/05/15] 우리말) 프로와 아마추어 id: moneyplan 2009-05-15 3527
1250 [2016/12/29] 우리말) 올 한 해 읽은 책을 정리했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526
1249 [2014/06/30] 우리말) 등쌀과 등살 머니북 2014-06-30 3526
1248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26
1247 [2008/08/11] 우리말) 애오라지 id: moneyplan 2008-08-13 3526
1246 [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3-31 3526
1245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525
1244 [2011/01/17] 우리말) 많이와 꽤 moneybook 2011-01-17 3525
1243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524
1242 [2013/08/08] 우리말) '우편 번호' 띄어쓰기 머니북 2013-08-08 3524
1241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524
1240 [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id: moneyplan 2010-03-17 3523
1239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523
1238 [2013/09/02] 우리말) 가슬가슬과 고슬고슬 머니북 2013-09-02 3522
1237 [2010/06/08] 우리말) 새퉁이 moneybook 2010-06-08 3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