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7] 우리말) 억지/떼/앙탈

조회 수 3459 추천 수 0 2017.01.19 10:36:30

'억지'는 "잘 안될 일을 무리하게 기어이 해내려는 고집."입니다.
그 억지가 모질거나 드셀 때 '어거지'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신문에는 특별검사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최 아무개 씨가 자기는 아무 잘못이 없다고 어거지를 쓰고 있나 봅니다.

'억지'는 "잘 안될 일을 무리하게 기어이 해내려는 고집."입니다.
그 억지가 모질거나 드셀 때 '어거지'라고 합니다.

'떼'도 억지와 뜻은 비슷하지만 말맛이 조금 다릅니다.
맞지 않다 싶으면서도 밀고나가는, 곧, 부당한 요구나 청을 들어 달라고 고집하는 짓을 '떼'라고 합니다.

'앙탈'은
"생떼를 쓰고 고집을 부리거나 불평을 늘어놓는 짓."을 이릅니다.
억지를 부리면서 투덜거리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잘못했으면
그 잘못을 인정하고 뉘우친 뒤 그에 맞는 벌을 받으면 됩니다.

잘못을 했음에도
잘못이 없다고 어거지를 쓰거나 앙탈을 부리면 안 되지 않을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학부모와 학부형]

안녕하세요.

어제 제 딸이 초등학교에 들어갔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저도 이제 학부모가 되었다고 축하해 주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고맙습니다. ^^*

오늘은 학부모와 학부형의 다른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학부형은 학생의 아버지와 형을, 
학부모는 학생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뜻하는 말로 
둘 다 학생의 보호자를 이르기는 하지만 뜻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사실 예전에는 자식의 학교 일 등 바깥일은 아버지가 하거나 아버지가 안 계시면 형님이 했습니다.
여자인 어머니나 누나는 주로 집안일을 하고 남자가 바깥 일을 했던 것이죠.

그러나 요즘은
아마도 학교에서 학부모 모임을 한다면 아빠가 가는 일은 거의 없고,
거의 다 어머니가 가실 겁니다.

아시는 것처럼 과거에는 남성 중심의 사회였습니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면 할머니가 아닌 아들이 호주가 되고,
아들이 없다면, 손자가 호주가 됩니다.
이런 사회에서는 학생의 보호자는 마땅히 아버지이며,
아버지가 안 계신다면 형이 보호자가 됩니다.
또한, 예전에는 전쟁이나 어려운 삶으로 일찍 돌아가시는 분들이 많아 형이 아버지 노릇을 하는 때가 많았을 겁니다.
그래서 학부형이라는 말이 생겨났는지도 모릅니다.

어찌 보면 가슴 아픈 우리 역사를 담은 낱말이네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8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29
176 [2007/03/14] 우리말) 인기연예인과 유명연예인 id: moneyplan 2007-03-14 3782
175 [2007/03/13] 우리말) 숫자 읽기 id: moneyplan 2007-03-13 9113
174 [2007/03/12] 우리말) 써비스 쎈타는 서비스 센터로 id: moneyplan 2007-03-12 3875
173 [2007/03/09] 우리말) 가검물을 채취해... id: moneyplan 2007-03-09 4414
172 [2007/03/08] 우리말) 껄쩍지근한 CNN id: moneyplan 2007-03-09 3859
171 [2007/03/08] 우리말) 꽃샘추위가 물러갈 거라네요 id: moneyplan 2007-03-08 4251
170 [2007/03/07] 우리말) 반죽과 변죽 id: moneyplan 2007-03-07 4132
169 [2007/03/06] 우리말) 도세 시작했으니... id: moneyplan 2007-03-07 3891
168 [2007/03/05] 우리말) 노총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7-03-05 3845
167 [2007/03/02] 우리말) 딴죽 id: moneyplan 2007-03-05 4398
166 [2007/02/28] 우리말) 마디게 자라는 식물 id: moneyplan 2007-03-01 4321
165 [2007/02/27] 우리말) 불이 아니라 달러입니다 id: moneyplan 2007-02-27 3864
164 [2007/02/26] 우리말) '이력'은 순 우리말입니다 id: moneyplan 2007-02-27 5138
163 [2007/02/25] 우리말) 맞춤법이 엉망인 어머니 편지... 또... id: moneyplan 2007-02-27 3837
162 [2007/02/23] 우리말) 경위의 순 우리말은 맹문 id: moneyplan 2007-02-27 3940
161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100032
160 [2007/02/21] 우리말) 텔레비전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7-02-21 3799
159 [2007/02/20] 우리말) 척사대회 --> 윷놀이 id: moneyplan 2007-02-20 4884
158 [2007/02/16] 우리말) 겉은 누렇게 익었으나 씨가 여물지 않은 호박은? id: moneyplan 2007-02-20 3905
157 [2007/02/15] 우리말) 남동풍? 동남풍? id: moneyplan 2007-02-15 1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