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23] 우리말) 빼닮다, 빼쏘다

조회 수 3811 추천 수 0 2017.01.24 09:38:21

.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빼닮다, 빼쏘다]
누가 가족 가운데 한 사람을 꼭 닮았을 경우에 흔히 ‘빼다 박았다’ 또는 ‘빼박았다’고 말한다. 게다가 실제 말을 할 때에는 ‘쏙 빼다 박았다’고 강조해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말은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치에 맞지 않은 것을 눈치 챌 수 있다. “빼다 박았다.”나 “빼박았다.”고 하면, 땅에 박혀 있는 물건을 빼내서 다른 곳으로 옮겨 박았다는 뜻이 된다. 그러므로 사람 모습을 보고 ‘빼다 박았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쓰는 우리말이 바로 ‘빼닮다’와 ‘빼쏘다’이다. ‘빼닮다’는 많이들 쓰고 있는 말이지만, ‘빼쏘다’는 조금 낯설게 느끼는 이들이 있을 것이다. ‘빼닮다’는 “생김새나 성품 따위를 그대로 닮다.”는 뜻으로, 흔히 ‘빼다 박았다’고 하는 말을 ‘빼닮았다’로 고쳐서 쓰면 된다. “생김새나 하는 짓이 아버지를 쏙 빼닮은 아들”처럼 쓴다. ‘빼쏘다’도 ‘빼닮다’와 같은 말인데, 굳이 차이를 둔다면 전체 생김새나 성품은 비교하지 않고, “얼굴이 어머니를 빼쏜 딸”처럼 얼굴 부분이 꼭 닮았을 경우에는 주로 “빼쏘았다.”고 말해 왔다. 그러나 지금은 이 두 말을 구분하지 않고 동의어처럼 쓰면 된다.

부부간의 사랑이 지극할수록 자녀가 그 어버이의 모습을 빼닮는다고 한다. 이를 좀 더 확대 응용하면 섬기던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지극할수록 그 주인을 빼닮는다고도 할 수 있다. 유신 정권 때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 실무 책임자였던 분이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내며 ‘반정부 세력 척결’을 위해 권력의 칼을 마구 휘두른 사실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그 주인을 빼닮았으니 충신이라고 할까, 시대 변화를 읽지 못하는 옹고집쟁이라고 할까.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Yuna와 Yun-a]
안녕하세요.

지난 동계올림픽에서 김연아 선수가 경기하는 모습을 보셨나요?
정말로 멋지더군요. ^^*

올림픽 끝나고 겨우 하루 쉬고 또 다른 경기를 치르고자 나갔다고 하네요.
이번에도 좋은 성적 거두시길 빕니다.

지난 동계올림픽 때
김연아 선수의 움직임 뒤로 보이는 관중석에서 'KIM YU-NA'라고 쓴 펼침막이 가끔 보였습니다.
'연아'를 왜  YU-NA라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로마자 표기법 제3장 제4항에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김연아는 'Kim Yuna'라고 써야 바릅니다.
그러나 Yuna를 '유나'라고 읽을 수가 있으므로, 이런 때는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Yun-a라고 쓰시면 됩니다. 그러면 [연아]라고 제재로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하나 더 짚고 싶은 게
김연아를 'Kim Yuna'라고 쓰는 것은 영어 이름이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말 이름 김연아를 '로마자'로 'Kim Yun-a'라고 쓰는 것이지 이게 결코 영어 이름은 아닙니다.
김연아 선수의 영어 이름이 있는지, 있다면 뭔지 저는 모르지만,
영어 이름은 글로리아 라든가 마거릿 같은 게 영어 이름입니다.
'Kim Yun-a'는 김연아 선수의 영어 이름이 아니라 우리말 이름을 로마자로 적은 겁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1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38
1896 [2011/08/24] 우리말) 잘코사니 머니북 2011-08-24 3854
1895 [2007/02/27] 우리말) 불이 아니라 달러입니다 id: moneyplan 2007-02-27 3854
1894 [2013/06/04] 우리말) 후순위와 차순위 머니북 2013-06-04 3852
1893 [2012/09/10] 우리말) 차칸남자 머니북 2012-09-10 3851
1892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850
1891 [2016/02/15] 우리말) 으름장/어름장 머니북 2016-02-15 3850
1890 [2007/03/08] 우리말) 껄쩍지근한 CNN id: moneyplan 2007-03-09 3849
1889 [2013/02/27] 우리말) 진돗개와 진도견 머니북 2013-02-27 3848
1888 [2013/01/22] 우리말) 사거리와 네거리 머니북 2013-01-22 3848
1887 [2009/03/11] 우리말) 노란자와 노른자 id: moneyplan 2009-03-11 3847
1886 [2014/01/24] 우리말) 사람을 제대로 높일 때 나도 존중받습니다 머니북 2014-01-24 3846
1885 [2008/12/31] 우리말) 중동무이 id: moneyplan 2008-12-31 3846
1884 [2007/07/28] 우리말) 가위표와 가새표 id: moneyplan 2007-07-31 3846
1883 [2008/06/09] 우리말) 능놀다 id: moneyplan 2008-06-09 3845
1882 [2017/10/26] 우리말) 제비 머니북 2017-11-06 3844
1881 [2012/08/20] 우리말) 자빡 머니북 2012-08-20 3844
1880 [2008/09/01] 우리말) 선탠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9-01 3844
1879 [2007/02/08] 우리말) 아빠, 똥 드세요. id: moneyplan 2007-02-08 3843
1878 [2007/03/05] 우리말) 노총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7-03-05 3840
1877 [2007/04/11] 우리말) 비빔밥을 버무리다 id: moneyplan 2007-04-11 3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