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03] 우리말) 조류포비아

조회 수 3547 추천 수 0 2017.02.03 18:01:06

언론에서 이상한 말을 만들면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꽤 포근해진 것 같지 않나요? ^^*

오늘 자 어떤 신문에 보니
'새만 보면 덜덜… 번지는 조류포비아'라는 제목을 단 기사가 있네요.
http://news.donga.com/3/all/20170202/82694409/1
'조류포비아'... 마땅히 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포비아'는 영어 phobia로 병적 공포나 공포증을 뜻합니다.
요즘 조류독감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서 새만 보면 벌벌 떨게 된다는 것을 두고 그런 제목을 뽑았나 봅니다.

기사 제목이
'새만 보면 덜덜… 번지는 조류포비아'인데,
뒤에 오는 '번지는 조류포비아'를 빼도 멋진 제목이 됩니다.
굳이 이상한 '조류포비아'를 쓰지 않아도 되는 거죠.

언론에서 이상한 말을 만들면 안 됩니다.
좋은 우리말을 더 자주 쓰도록 앞장서야 할 언론에서
이상한 말을 만들어서 우리말을 괴롭히고 비틀면 안 되죠.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등쌀과 눈쌀]
안녕하세요.

요즘 제 일터에는
어떤 일 한 가지 때문에 여러모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왜 이리 세상을 힘들게 사는지...

남을 몹시 귀찮게 구는 짓을 '등쌀'이라고 합니다.
탐관오리의 등쌀에 시달리는 백성, 그의 등쌀에 못 이겨 떠났다처럼 씁니다.

관용구로 '등쌀을 대다'고 하면,
남을 지겹도록 몹시 귀찮게 하다는 뜻이 됩니다.
자꾸 등쌀을 대는 바람에 힘들다, 감사관이 하도 등쌀을 대는 통에 죽을 맛이다처럼 씁니다.
'등살'이 아니라 '등쌀'입니다.

눈에 독기를 띠며 쏘아보는 시선을 '눈총'이라고 하고, 이를 눈살이라고도 합니다.
눈살이 따갑다, 날카로운 눈살을 던졌다처럼 씁니다.
'눈살'의 소리가 [눈쌀]이라서 '눈살'을 '눈쌀'로 쓰시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등쌀과 눈살... 잘 기억합시다. ^^*

비록 누군가 나를 괴롭히는 등쌀에 삶이 버겁더라도 눈살 찌푸리지 말고 재밌게 삽시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26
996 [2011/12/22] 우리말) 댕돌같다 머니북 2011-12-22 3782
995 [2012/08/21] 우리말) 간식과 새참 머니북 2012-08-21 3783
994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3784
993 [2012/09/06] 우리말) 재킷과 카디건 머니북 2012-09-06 3784
992 [2012/12/31] 우리말) 운김 머니북 2013-01-02 3784
991 [2007/04/26] 우리말) 싱싱하다 id: moneyplan 2007-04-26 3785
990 [2008/01/23] 우리말) 곰팡스럽다 id: moneyplan 2008-01-23 3785
989 [2010/12/29] 우리말) 따듯하다 moneybook 2010-12-29 3785
988 [2012/01/05] 우리말) 쇠고기 머니북 2012-01-05 3785
987 [2013/06/03] 우리말) 띠다와 띠우다 머니북 2013-06-04 3785
986 [2008/04/30] 우리말) 팽개치다 id: moneyplan 2008-04-30 3786
985 [2012/06/22] 우리말) 암호같은 복지 용어 머니북 2012-06-22 3786
984 [2012/09/05] 우리말) 돈 이야기 머니북 2012-09-05 3786
983 [2013/03/08] 우리말) 감장하다 머니북 2013-03-08 3787
982 [2013/03/27] 우리말) 독도에 '한국 땅' 새긴다 머니북 2013-03-27 3787
981 [2007/06/25] 우리말) 제 아들이 ㄴㄱ네요 id: moneyplan 2007-06-25 3788
980 [2008/04/25] 우리말) 가르치다의 말뿌리 id: moneyplan 2008-04-27 3788
979 [2008/11/01] 우리말)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 id: moneyplan 2008-11-03 3788
978 [2012/07/18] 우리말) '다대기'와 '다지기' 머니북 2012-07-18 3788
977 [2013/04/11] 우리말) '야식'은 '밤참'으로 머니북 2013-04-11 3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