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15] 우리말) 딸내미/딸따니

조회 수 3448 추천 수 0 2017.02.16 13:06:55

'딸내미'는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입니다.
'딸따니'는 '어린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요일입니다.
제 일터에서는 수요일에는 늦게까지 일하지 말고 일찍 퇴근하라고 합니다.
그날만이라도 가족과 함께하라는 뜻이죠.

집에 가면 셋째 딸내미가 가장 먼저 반깁니다.
일단 뛰어와 안기고, 그다음에 업히고, 뽀뽀까지 해야 자리에 앉을 수 있습니다.
이런 맛에 딸을 키우나 봅니다. ^^*

잘 아시는 딸내미는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입니다.
'우리 딸내미가...'처럼 씁니다.

같은 뜻을 지닌 낱말에 '딸따니'가 있습니다.
'어린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로 
'우리 딸따니가 아빠를 기다렸구나'처럼 씁니다.

근데,
오늘은...
오랜만에 일찍 퇴근하는 날이니 같이 한잔하자네요.
'한잔'하자고 했으나 저는 '한 잔'만 하고 일찍 들어가서 딸따니와 함께해야겠네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박차]
안녕하세요.

많은 분이 실종자를 구조하기 위해 힘쓰고 있지만, 
아직 생존자를 구조했다는 뉴스는 없네요.
잠수요원들이 죽음과 싸우며 구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날씨가 좋지 않아 구조에 어려움이 많나 봅니다.

'박차'는
칠 박 자와 수레 차 자를 써서 拍車라고 씁니다.
말을 탈 때에 신는 구두의 뒤축에 달린 물건인데요,
톱니바퀴 모양으로 쇠로 만들어 말의 배를 차서 빨리 달리게 하는 데 씁니다.
잠수요원들이 구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곧 좋은 소식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누가 뭐래도 가장 힘드신 분은 실종자 가족이실 겁니다.
그 애끓고 애끊는 마음을 어찌 말로 다 나타내겠습니까.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듯하다."는 표현은,
'애끊다'입니다.
'애끊는 사모의 정, 애끊는 통곡'처럼 쓰죠.
창자를 끊으니 얼마나 아프겠어요.

소리가 비슷한 낱말로,
'애끓다'가 있습니다.
"몹시 답답하거나 안타까워 속이 끓는 듯하다."는 뜻으로,
'애끓는 하소연, 애끓는 이별'처럼 쓰죠.
이것은 창자를 끓이는 아픔입니다.

창자를 끊는 게 더 아픈지, 끓이는 게 더 아픈지는 모르지만,
애끓다나 애끊다 둘 다 큰 아픔을 표현하는 말인 것은 확실합니다.
둘 다 표준어입니다.

부디 하루빨리 실종자가 구조되기를 빕니다.
아래에 붙인 예전에 보낸 편지는 '애'를 골랐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4
1376 [2011/12/14]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1-12-14 6801
1375 [2011/12/12] 우리말) 절대절명 => 절체절명 머니북 2011-12-12 8592
1374 [2011/12/09] 우리말) 안전사고 머니북 2011-12-09 4222
1373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80
1372 [2011/12/07] 우리말) 질기둥이 머니북 2011-12-07 10782
1371 [2011/12/06] 우리말) 딸내미와 싸움 머니북 2011-12-06 3700
1370 [2011/12/05] 우리말) 땐깡과 지다위 그리고... 머니북 2011-12-05 13233
1369 [2011/12/02] 우리말) 한글의 우수성 머니북 2011-12-02 4968
1368 [2011/12/01] 우리말) 물때썰때 머니북 2011-12-01 3707
1367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791
1366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919
1365 [2011/11/28] 우리말) 이상과 이하 머니북 2011-11-28 3794
1364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728
1363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219
1362 [2011/11/23] 우리말) 백발 머니북 2011-11-23 3794
1361 [2011/11/22] 우리말) 아름되 머니북 2011-11-22 10142
1360 [2011/11/21] 우리말) 광어 -> 넙치 머니북 2011-11-21 3642
1359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53
1358 [2011/11/17] 우리말) 닭 벼슬과 닭 볏 머니북 2011-11-17 4161
1357 [2011/11/16] 우리말) 빼꼼과 빠끔 머니북 2011-11-16 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