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22] 우리말) 역시

조회 수 3504 추천 수 0 2017.02.22 10:08:24

.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ㄱㅎ 님이 보내주신 편지를 함께 보겠습니다.

성 선생님.

저는 이ㄱㅎ라고 합니다.
성 선생님의 우리말을 무척 기다리며 익히고 있습니다.

책을 보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
'역시' 가 순우리말로 알고 감탄사처럼, 많이 쓰고 있지만 '亦是'로 한자입니다.
우리말로는 상황에 따라 '그럼 그렇지', '또한', '마찬가지로'로 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날마다 우리말 내용을 찾으시는데 보탬이 될까하여 보내드립니다. ㅎㅎㅎ

고맙습니다.

예,
날마다 우리말 편지 꼭지 찾느라 애를 먹습니다.
이렇게 편지를 보내주시면 그날 하루 치 밥상이 됩니다. ^^*

'일용할 양식'을 보내주셔서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개나릿길]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하다 보니 오늘 편지가 좀 늦었네요.

아침에 출근길에 보니 개나리가 멋지게 피었네요.
오늘은 개나리가 핀 길을 알아보겠습니다.

개나릿길이 맞는지 개나리길이 맞는지... ^^*

사실 답은 둘 다 맞다 입니다.

개나리와 길을 합쳐 한 낱말로 쓸 때는 '개나릿길'로 쓰는 게 맞습니다.
소리는 [개나리낄]로 해야 합니다.
비록 사전에 올라간 낱말은 아니지만 한 낱말로 만들 때는 그래야 한다는 뜻입니다.

요즘 주소체계가 바뀌고 있습니다.
제 일터 주소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50번지에서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0번지로 바뀌었습니다.

골목길마다 주소를 둬서 무슨무슨길로 나타내고 있더군요.
바로 이런 때는,
사이시옷을 넣어 적지 않습니다.
그 까닭은
사이시옷을 넣어 적으면 고유 지명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보기를 들면
농촌진흥청으로 들어오는 길을 농촌진흥청길이라고 하면 문제가 없지만,
이화여대로 가는 길을 이화여댓길로 쓰면, 이화여대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개나리가 흐드러지게 핀 길을 주소로 쓴다면 이것은 '개나릿길'이 아니라 '개나리길'이 되어야 하는 겁니다.

등굣길도 그렇습니다.
학생이 학교로 가는 길을 뜻할 때는 '등굣길'이 맞지만,
주소로 쓸 때는 서울시 무슨구 무슨동 등교길로 써야 바릅니다.

좀 헷갈리시지만 그렇습니다. ^^*

오늘은 꽃을 좀 자주 보고 싶습니다.
마음이라도 향기로운 꽃을 닮고 싶어서...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78
1616 [2010/08/16] 우리말) 약오르다 moneybook 2010-08-16 3494
1615 [2010/08/17] 우리말) 흙감태기 moneybook 2010-08-17 3181
1614 [2010/08/18] 우리말) 언어예절 moneybook 2010-08-18 3073
1613 [2010/08/19] 우리말) 민얼굴과 맨얼굴 moneybook 2010-08-19 3178
1612 [2010/08/20] 우리말) 올림과 드림 moneybook 2010-08-20 11214
1611 [2010/08/23] 우리말) 댓글 두 개 moneybook 2010-08-23 3238
1610 [2010/08/24] 우리말) 아무게 => 아무개 moneybook 2010-08-24 3263
1609 [2010/08/25] 우리말) 산토끼의 반대말 moneybook 2010-08-25 3199
1608 [2010/08/30] 우리말) 선떡부스러기 moneybook 2010-08-30 3456
1607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3383
1606 [2010/09/01] 우리말) 해포 moneybook 2010-09-01 3334
1605 [2010/09/02] 우리말) 풍력계급 moneybook 2010-09-02 3401
1604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3020
1603 [2010/09/06] 우리말) 쉰둥이와 마흔둥이 moneybook 2010-09-06 3338
1602 [2010/09/07] 우리말) 속도 단위 moneybook 2010-09-07 3176
1601 [2010/09/08] 우리말) 비껴가다 moneybook 2010-09-08 3220
1600 [2010/09/09] 우리말) 히히덕거리다와 시시덕거리다 moneybook 2010-09-09 3278
1599 [2010/09/10] 우리말) 가르치다 moneybook 2010-09-10 3057
1598 [2010/09/13] 우리말) 하늬바람 moneybook 2010-09-13 3100
1597 [2010/09/14] 우리말) 머드러기와 도사리 moneybook 2010-09-14 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