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종일 봄을 찾아 다녀도 봄을 보지 못하고(盡日尋春不見春)/짚신이 다 닳도록 언덕 위의 구름 따라다녔네(芒鞋遍踏壟頭雲)/허탕치고 돌아와 우연히 매화나무 밑을 지나는데(歸來偶過梅花下)/봄은 이미 매화가지 위에 한껏 와 있었네(春在枝頭已十分).’-송 나라 비구니 스님

3월22일 오늘은 세계 물의 날. 1992년 제47차 유엔총회에서 물 문제의 심각성, 물관리의 중요성, 국가간 협력증진의 중요성 알리고 수자원보호 위해 제정. 우리나라는 1990년에 7월 1일을 '물의 날'로 정했다가 1995년부터 세계 물의 날 행사에 본격적으로 참여 2014년의 슬로건은 물과 에너지(Water & Energy)
-- 유엔 지원을 받는 세계수자원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하루 5천명 이상(15초마다 한 명)의 어린이가 물 부족으로 죽어감. 해마다 600만 명이 트라코마로 시각장애인이 되며 1200만 명이 장티푸스 걸림. 오염된 물을 마셔서 걸리는 병은 설사 콜레라 장티푸스 소아마비 A형 간염 등
-- 현재 지구표면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8,600만㎦, 97.5%가 바닷물, 인간이 쓸 수 있는 물은 2.5%. 쓸 수 있는 물의 68.9%가 빙하나 만년설 29.9%가 지하수, 0.3%가 담수호 및 하천, 0.9%가 흙 속에 포함되어 있음
-- 1993년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는 국토해양부가 주장하는 유엔산하기관 아닌 사설연구소. PAI가 우리나라를 물부족국가로 분류한 기준도 근거가 없음
-- 우리나라 연간강수량은 1,267억톤. 570억톤(45%)은 공기중으로 증발. 396억톤(31%)은 바다로 흘러듬. 쓸 수 있는 물은 301억톤(24%) 하천172억톤(14%) 댐저장수103억톤(8%) 지하수26억톤(2%) 생활용수(62억톤) 농업용수(149억톤) 공업용수(26억톤) 하천유지용수(64억톤)
-- 하루에 쓰는 물의 양은 미국 378리터, 우리나라 178.2리터, 에티오피아 5리터

1229(고려 고종 16) 삼사(三司)의 문장고(文帳庫) 불에 탐

1624(조선 인조 2) 이괄, 부하인 기익헌 등의 배신으로 죽음

1897(대한제국 광무 1) 미국인 모스 인천 우각현에서 경인선 건설 시작
-- 자금난으로 중단되었다가 일본이 다시 공사 시작해 1898년에 완공

1946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열림
1947 남로당 지도 아래 남한 일대 24시간 총파업

1961 2대 악법(반공법 데모규제법) 반대 서울시민궐기대회 대규모시위
1962 윤보선 대통령 정치정화법에 불만 표시하고 사임
1965 단일변동환율제 실시

1967 북한 조선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판문점 통해 귀순
-- 1969년 중앙정보부는 위장귀순이라고 발표, 이수근은 재판을 받고 1969.7.2 사형집행. 2007년 1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이수근 사건이 중앙정보부 조작이라 결론

1967 금강대교 기공식
1968 울산에 석유화학계열 공업단지 기공
1969 서울 3.1고가도로 개통

1973 남해대교 개통,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부근 고분 발굴 착수
1975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 벽골제 발견, 한승헌 변호사 반공법 위반혐의로 구속
1977 사학자 김상기 세상 떠남

1980 여자 핸드볼 첫 올림픽 출전권 획득

1990 한국-체코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1991 서울-평양-연길-바로아(소련) 4개 도시 친선축구대회 개최 결정
1993 한-미-일 3국 북한핵문제 관련 뉴욕 실무회의, 김영삼 정부 ‘신경제 100일 계획’ 확정 발표
1995 홍천 내촌면 5개 초등학교 화상수업 시작
1996 한국동성애자인권운동협의회 발족

2004 국회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13 정부조직법 공포안 국무회의 의결 17부3처17청으로 개편



1384 명나라 과거 제도 공포

1832 독일 문학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 세상 떠남
1868 노벨상(1923년) 수상자인 미국 물리학자 밀리컨 태어남
1895 파리에서 최초의 무성영화 상영

1945 아랍연맹 결성

1972 미국 상원 남녀평등 인정하는 헌법수정안 가결

2001 만화영화 ‘톰과 제리’ 제작자 윌리엄 해너 세상 떠남
2008 타이완 총통선거 야당 국민당의 마잉주(馬英九) 후보 당선

2016 벨기에 브뤼셀 공항과 지하철 역에서 IS 연쇄폭탄테러 34명 숨짐 230여 명 다침, 버락 오바마 미국대통령 현직 대통령으론 88년 만에 쿠바 방문


[출처] 2017년 3월 22일 수요일|작성자 열린누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696 [역사 속 오늘] 11/26(2001) 국가인권위원회 출범 머니북 2012-11-26 2343
1695 [역사 속 오늘] 12/24(1598) 임진왜란 끝남 머니북 2012-12-24 2343
1694 [역사 속 오늘] 03/23(1992) ‘서태지와 아이들’ 데뷔, 제1집 음반 발매 머니북 2015-03-23 2343
1693 [역사 속 오늘] 2018(4351). 3. 4(일) 음력 1.17 을미 머니북 2018-03-02 2343
1692 [역사 속 오늘] 2021(4354). 9. 28(화) 음력 8.22 기묘 서울수복기념일 세계 광견병의 날 알 권리의 날 머니북 2021-09-28 2343
1691 [역사 속 오늘] 10/13(1990) 노태우 대통령 ‘범죄와의 전쟁’ 선포 머니북 2015-10-13 2344
1690 [역사 속 오늘] 12/05(1955) 미국 몽고메리의 흑인들 버스안타기 운동 벌임 머니북 2015-12-07 2344
1689 [역사 속 오늘] 2022(4355) 3. 6(일) 음력 2.4 무오 머니북 2022-03-07 2344
1688 [역사 속 오늘] 2022(4355). 7.10(일) 음력 6.12 갑자 머니북 2022-07-11 2344
1687 [역사 속 오늘] 07/09(660) 계백 장군, 황산벌 격전 머니북 2013-07-09 2345
1686 [역사 속 오늘] 06/28(1977) 울릉도 첫 교통사고 머니북 2013-06-28 2346
1685 [역사 속 오늘] 11/10(1939) 일제, 창씨개명공포 1940.2.11 시행 머니북 2015-11-10 2346
1684 [역사 속 오늘] 09/16(2008) 검은 화요일=세계증시 9.11테러 이후 최대폭락. 머니북 2016-09-16 2346
1683 [역사 속 오늘] 2019(4352).11. 8(금) 음력 10.12 기유 입동 머니북 2019-11-08 2346
1682 [역사 속 오늘] 2022(4355). 6.28(화) 음력 5.30 임자 철도의 날 머니북 2022-06-28 2347
1681 [역사 속 오늘] 2022(4355). 7.11(월) 음력 6.13 을축 세계인구의 날 머니북 2022-07-11 2347
1680 [역사 속 오늘] 10/25(1915)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이론 발표 머니북 2013-10-25 2348
1679 [역사 속 오늘] 01/04(1991) 과학기술처, ‘IR52 장영실 상’ 제정 머니북 2013-01-04 2348
1678 [역사 속 오늘] 11/29(1987) 대한항공(보잉707)기 버마 랑군 상공에서 공중폭발 탑승객 115명 모두 목숨 잃음 머니북 2015-11-29 2348
1677 [역사 속 오늘] 01/30(1948) 인도의 간디 힌두사원에서 반 이슬람 광신자의 총에 암살당함 머니북 2016-02-01 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