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조회 수 3547 추천 수 0 2017.04.29 11:42:48

.

안녕하세요.

날씨가 참 좋네요.
이렇게 좋은 날씨에 저는 골골대고 있습니다.
며칠 전부터 으슬으슬 춥더니 급기야 아침에는 콧물이 줄줄 흐르네요.
어제는 이 교정한다고 생이를 하나 뺐고,
오늘 외부 손님께 업무 설명하고 안내도 해야 하고, 
내일은 가족 모두 강원도로 놀러 가기로 했는데...
몸이 영 협조를 안 하네요.
지금도 겨울 잠바를 꺼내서 입고 있습니다. 추워서요.

'아슬아슬'은 추운 느낌을 가리키는 낱말입니다.
추운 느낌에서 두려움이나 걱정을 나타내는 데로 쓰임이 넓어진 겁니다.
그래서 '으슬으슬'은 '아슬아슬'보다 큰말입니다.
비슷한 낱말로 '오슬오슬' '오삭오삭', '오싹오싹'이 있습니다.

아침마다 셋째와 자전거를 타고 일터에 나오다 보니 찬 바람에 아슬아슬하더니
(아슬아슬 : 소름이 끼칠 정도로 약간 차가운 느낌이 잇따라 드는 모양.)
제가 곧 감기에 걸릴 것 같이 아슬아슬합니다. ^^*
(아슬아슬 : 일 따위가 잘 안될까 봐 두려워서 소름이 끼칠 정도로 마음이 약간 위태롭거나 조마조마한 모양.)

주말 잘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16강은 떼 논 당상]


안녕하세요.

어제 아침에 편지를 써 놓고 
'보내기'를 하지 않았네요. 방금 알았습니다...
이제라도 보냅니다.



오늘 아침 6:41, SBS에서 신문 기사를 소개하면서
'행복한 비명'이라고 했습니다.
비명은
슬플 비(悲) 자에 울 명(鳴) 자를 써서,
"슬피 욺, 또는 그런 울음소리, 일이 매우 위급하거나 몹시 두려움을 느낄 때 지르는 외마디 소리."라는 뜻입니다.
놀라거나 슬플 때 지르는 소리지
기뻐서 지르는 소리가 아닙니다.
기뻐서 지르는 소리는,
환성이나 환호성입니다.
환성이 기뻐할 환(歡) 자에 소리 성(歡) 자를 쓰잖아요.

'행복한 비명'은 
'행복하다'와 '비명'이 어울리지 않아서 틀린 말이고,
'행복한 환호성'이라고 해도,
행복하다와 환호성의 뜻이 겹쳐서 틀린 말입니다.

그냥 '환호성을 지른다'고 하면 됩니다.
괜히 글을 쓰면서 비비 꼬고 멋을 부리려고 하다 보니 
'행복한 비명'이 나온 것 같습니다.


저는 평소에 운동을 별로 하지 않습니다.
고작 한다는 게 숨쉬기 운동과 컴퓨터 자판 두드리면서 하는 손가락 운동,
그리고 저녁에 목을 축이면서 하는 손목운동과 목운동이 전부입니다.
그렇다고 운동을 딱히 좋아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래도 월드컵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응원을 하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

지난 토요일 저녁에도 축구를 참 잘했지만,
이번 목요일 저녁에도 잘 싸워서 꼭 이겨주길 빕니다.
지난 토요일처럼만 하면 이번 월드컵에서 16강은 물론 8강도 떼어 논 당상일 겁니다.

어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없이 진행될 것이란 의미로
'떼어 놓은 당상'이나, '따 논 당상'이라는 말을 합니다.

'당상'은,
조선시대의 높은 벼슬인데,
어떤 사람을 위해, 꼭 어떤 사람에게만 주려고,
따로 떼어 놓은 당상 자리라는 뜻이,
'(따로)떼어 놓은 당상'입니다.
곧, '맡아 놓은 일, 확실한 일'이죠.
따라서, '떼어 놓은 당상'이나, '떼 논 당상'이라고 써야지,
'따 논 당상'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따다'는,
붙어 있는 것을 잡아떼다, 
노름, 내기, 경기 따위에서 이겨 돈이나 상품 따위를 얻다,
꽉 봉한 것을 뜯다. 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떼다'는,
붙어 있거나 잇닿은 것을 떨어지게 하다,
전체에서 한 부분을 덜어내다,
함께 있던 것을 홀로 남기다,
걸음을 옮기어 놓다. 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사과 따듯 나무에 걸린 당상 벼슬을 따거나,
고스톱 쳐서 벼슬을 따거나,
봉투 속에 든 벼슬을 꺼낸 게 아니니,
마땅히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떼어 논 당상'이라고 써야 합니다. 

"떼어 둔 당상 좀 먹으랴."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이번에도 16강에 들어가는 것은 떼어놓은 당상이니,
우리는 아무 걱정 말고 응원이나 열심히 하자고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1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66
1376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569
1375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569
1374 [2015/11/10] 우리말) 개비/피우다 머니북 2015-11-10 3568
1373 [2015/05/19] 우리말) 생광스럽다 머니북 2015-05-19 3568
1372 [2014/09/02] 우리말) 씽크홀 머니북 2014-09-02 3568
1371 [2014/08/12] 우리말) 비로소/비로서 머니북 2014-08-12 3568
1370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568
1369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3567
1368 [2008/11/12] 우리말) 한철과 제철 id: moneyplan 2008-11-12 3567
1367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567
1366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566
1365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66
1364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566
1363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566
1362 [2017/08/30] 우리말) 뜻밖에 머니북 2017-08-31 3564
1361 [2015/04/02] 우리말) 누도와 눈물길 머니북 2015-04-02 3564
1360 [2009/12/02] 우리말) 단출과 단촐 id: moneyplan 2009-12-02 3564
1359 [2008/11/25] 우리말) 늙은호박과 청둥호박 id: moneyplan 2008-11-25 3564
1358 [2013/05/14] 우리말) 새끼낮 머니북 2013-05-14 3563
1357 [2009/12/23] 우리말) 슬겁다 id: moneyplan 2009-12-23 3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