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조회 수 3418 추천 수 0 2017.05.31 13:35:56

.

안녕하세요.

어제 뉴스에서 보니 경찰이 '무고한 시민을 폭행'했다고 나오네요.
마땅히 그러면 안 되죠.

'무고한 시민 폭행'은
'무고한'은 '죄 없는, 엉뚱한, 애먼'으로 바꾸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폭행'도 '때려'라고 하면 더 좋굥.

무고하다(無辜--)는 "아무런 잘못이나 허물이 없다."는 뜻을 지닌 그림씨(형용사)입니다.
'무고하게 죽다, 무고한 백성을 괴롭히다, 피의자는 끝까지 자신은 무고하다고 주장했다.'처럼 씁니다.

여기저기 한자 말을 붙여 써서 
무고한 우리말 괴롭히지 말고,
깨끗한 우리말을 씁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바 띄어쓰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띄어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공문서에 자주 쓰는 '바' 띄어쓰기입니다.

'바'는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잦습니다.
앞에서 말한 내용 그 자체나 일 따위를 나타내는 말로
평소에 느낀 바를 말해라, 각자 맡은 바 책임을 다하라, 나라의 발전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처럼 씁니다.
일의 방법이나 방도를 나타낼 때도
어찌할 바를 모르다, 나아갈 바를 밝히다, 눈 둘 바를 모르다처럼 
앞말과 띄어 씁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품사는 하나의 낱말로 봐서 띄어 쓰되, 조사는 붙여 씁니다.

'바'가 어미로 쓰일 때는 앞말과 붙여 씁니다.
이때는 
뒤 절에서 어떤 사실을 말하기 위하여 그 사실이 있게 된 것과 관련된 과거의 어떤 상황을 미리 제시하는 데 쓰는 연결 어미입니다.
서류를 검토한바 몇 가지 미비한 사항이 발견되었다, 우리의 나아갈 바는 이미 정해진바 우리는 이제 그에 따를 뿐이다처럼 씁니다.

좀 헷갈리신가요?
바를 앞말과 붙여 쓸 때는 
'바'가 
'―ㄴ데', '―니' 따위에 가까운 뜻을 나타내고
앞 절의 상황이 이미 이루어졌음을 나타냅니다.

서류를 검토했더니, 서류를 검토했는데, 미비한 사항이 발견되었다.
나아갈 방향이 이미 정해졌으니 우리는 이제 그에 따른다처럼
'바'앞에 있는 상황이 이미 이루어졌고, '바' 뒤에는 앞의 상황에 따른 일이 온다고 보면 됩니다.

쓰면서도 좀 헷갈리네요.

이렇게
공문서를 쓰면서 자주 틀리는 말을 국립국어원에서 정리하여 파일로 올려놨네요.
국립국어원 누리집에 가셔서 자료실-기타 공개 자료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고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384
1116 [2008/02/14] 우리말) 꼴등과 꽃등 id: moneyplan 2008-02-14 3425
1115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3424
1114 [2010/04/13] 우리말) 발자욱과 발자국 id: moneyplan 2010-04-13 3424
1113 [2009/11/05] 우리말) 터줏대감 id: moneyplan 2009-11-05 3424
1112 [2009/10/05] 우리말) 얼토당토않다 id: moneyplan 2009-10-06 3424
1111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3422
1110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422
1109 [2016/01/11] 우리말) 굼적/꿈적/꿈쩍 머니북 2016-01-11 3421
1108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3421
1107 [2007/04/19] 우리말) 외톨이 id: moneyplan 2007-04-19 3421
1106 [2015/08/19] 우리말) 농업용어도 광복을 맞이해야 한다 머니북 2015-08-19 3420
»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3418
1104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419
1103 [2007/09/19] 우리말) 포도와 클러스터 id: moneyplan 2007-09-19 3419
1102 [2017/04/13] 우리말) 사전 이야기 머니북 2017-04-13 3418
1101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3418
1100 [2011/01/26] 우리말) 설과 구정 moneybook 2011-01-26 3418
1099 [2008/01/25] 우리말) 뇌꼴스럽다 id: moneyplan 2008-01-25 3418
1098 [2007/06/13] 우리말)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418
1097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