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는 저녁을/마당에서 먹는다/초저녁에도/환한 달빛//마당 위에는 멍석/멍석 위에는/환한 달빛//달빛을 깔고/저녁을 먹는다//마을도/달빛에 잠기고/밥상도/달빛에 잠기고...밥그릇 안에까지/가득 차는 달빛//아! 달빛을 먹는다/초저녁에도/환한 달빛”-오규원 ‘여름에는 저녁을’
 
“나는 거짓과 모든 형태의 폭력을 증오합니다. 내게 가장 신성한 것은 진실입니다.”-안톤 체호프(1904년 오늘 세상 떠난 러시아극작가 44세)
 
1900 서울-인천 최초로 전화개통

1915 대한광복단 광복회로 개칭
1925 태풍 2560호(-7.18) 516명 사망 실종
1933 서울-도쿄 직통전화 개시

1947 환금은행 개설 대외무역 개시

1950 한국전쟁중 국군통수권을 유엔사령관에게 이양
1951 서울-부산 급행열차 운행 개시
1953 창경원 일반에 공개

1966 관상대 해상기상방송 실시, 중부지방 큰 비 77명 사망 21명 실종 79명 부상 이재민 105,413명 침수가옥 22,907채
1968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1973 경주 155호 고분서 신라시대 금제 관식 2점 등 유물 출토
1976 서울 한강 잠수교 개통

1982 잠실종합운동장 야구장 준공

1985 판문점에서 제1차 남북적십자 실무대표 접촉
-- 남북한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 9월중 교환방문 합의

1987 태풍 셀마 남해안 일대 강풍과 폭우로 강타 118명 사망 215명 실종 선박 2,829척 침몰 및 파손 재산피해 4,962억원
1988 김영식 문교부장관 남북학생교류 제의
1989 환경청 팔당과 대청호 주변지역을 상수원보호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

1994 조문발언 파동
-- 민주당 이부영 의원이 국회 정보위에서 화해와 신뢰구축의 방편으로 정부가 김일성 주석 조문단 파견할 의향이 없는지 질의하자 민자당과 보수인사들이 김일성 죽음을 애도하는 것으로 공격
-- 이부영 의원은 미-일-러-중 등이 김정일 체제에 영향력 행사하는 교두보 만들려 열중하는 데 우리만 대북 영향력 확보에 뒤지면 안 된다고 생각해 조문외교의 필요성 제기한 것이라고 해명

1995 남북한 제2차 쌀 회담(-7.19 베이징)
1997 기아 그룹 15개 계열사 부도유예협약 대상업체 지정

2008 차세대초전도핵융합 연구장치(KSTAR) 첫 플라스마 발생

2012 가수 싸이(본명 박재상) '강남스타일'(앨범 '싸이 6갑' 수록) 발표
-- 유튜브 통해 세계적 히트곡 됨(12.22 세계최초 유튜브 조회수 10억 건 돌파, 2014.5.31. 20억 뷰 돌파) 영국 싱글 차트 1위, 미국 빌보드 핫100(싱글 차트) 7주 연속 2위, 세계 30여개국 아이튠즈 음원 차트 1위 차지. 세계 최다 페이스북 '좋아요(like)' 기록(약 214만 건)
-- 2012 MTV EMA(유럽 뮤직 어워즈) 베스트 비디오상, 2012 AMA(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뉴미디어상, 2012 MAMA(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 4관왕(올해의 노래상/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솔로상/인터내셔널 아티스트상/베스트 뮤직비디오상). 빌보드 연말 결산 차트에서 '최고의 신인' 7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옥관훈장 수상
-- 구글 집계 검색어 차트 2위, 중국 웨이보 선정 올해의 인물 1위. 미국 빌보드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사건 2위, 타임지는 2013년을 `강남스타일의 해`라고 평가. 유튜브 선정 '올해의 가장 주목받은 영상', 미국 MTV 선정 '올해의 바이럴 센세이션(Viral Sensation Of The Year)’

2013 노량진 지하공사장 수몰사고 7명 사망



 622 마호메트 수많은 추종자 이끌고 메다니로 망명(회교 기원 원년 1월 1일) 이슬람역사 시작. “If the hill will not come to Mahomet, Mahomet will go to the hill.”-예언자라면 기적을 보이라는 사람들에게 산을 움직여 자기에게 오게 할 수 있다고 말하여 수많은 군중을 모이게 한 마호메트가 끝내 산이 움직이지 않자 한 말

1099 십자군 예루살렘 점령

1606 빛의 화가로 불리는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 태어남
-- 회화 650여점 동판화 200여점 데생 200여점 및 수백 점의 초상화 등 작품이 무려 천 수백점

1799 피에르 부샤르(나폴레옹의 이집트원정군 장교) 나일강 어귀 로제타 마을에서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 때 만들어진 검은색 비석 발견(로제타 석, 높이 114.4cm 너비 72.3cm 두께 27.9cm 무게 760 kg)

1892 독일 예술철학자 발터 베냐민 태어남 <독일 비극의 기원>

1974 사이프러스에 유혈 쿠데타 대통령에 니콜라스 삼프손 임명
1975 사상 최초로 미국(아폴로 18호)-소련(소유즈 19호) 도킹 공동우주탐사
1976 인도네시아 국회 티모르 합병 가결
1979 데사이 인도총리 각료들의 사임 및 의원 집단탈당에 반발하여 사임

1981 중국 인민공사 폐지

1990 고르바초프 소련대통령-콜 서독총리 정상회담. 통일독일의 NATO 잔류 합의

2006 컴퓨터 엔지니어 잭 도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트위터 서비스 시작

2010 태풍 꼰선 동남아 착륙 필리핀 102명 사망 46명 실종 베트남 7명 실종 중국 2명 사망
2013 파나마, 무기류 위장수송 북한선박 청천강호 억류
2016 터키 군부 쿠데타 6시간 만에 실패. 경찰 민간인 등 265명 숨짐, 이후 5만여 명 체포 축출 국가비상사태 선포(7.21)


[출처] 2017년 7월 15일 토요일|작성자 열린누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593 [역사 속 오늘] 07/17(1948) 대한민국 헌법 및 정부조직법 공포 머니북 2014-07-17 2012
2592 [역사 속 오늘] 2021(4354). 9. 8(수) 음력 8.2 기미 세계 문맹퇴치의 날 머니북 2021-09-08 2011
2591 [역사 속 오늘] 11/18(1906) 평민의병장 신돌석 세상 떠남 머니북 2014-11-18 2011
2590 [역사 속 오늘] 11/02(1950) 아일랜드 극작가 버나드 쇼 세상 떠남 머니북 2014-11-03 2011
2589 [역사 속 오늘] 03/17(1957) 필리핀 대통령 막사이사이 비행기사고로 세상 떠남 머니북 2014-03-17 2011
2588 [역사 속 오늘] 03/13(1986) 최은희-신상옥 부부, 홍콩에서 납북 8년만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탈출 머니북 2014-03-13 2011
2587 [역사 속 오늘] 10/15(1844) 독일 실존철학선구자 프리드리히 니체 태어남 머니북 2015-10-15 2010
2586 [역사 속 오늘] 04/30(1945) 독일독재자 히틀러, 애인 브라운과 함께 집무실에서 자살 머니북 2015-04-30 2010
2585 [역사 속 오늘] 08/12(1993) 금융실명제 전격실시 머니북 2014-08-12 2010
2584 [역사 속 오늘] 07/23(1954) 국제포경회의, 북극해에서 고래잡이금지 결정 머니북 2014-07-23 2010
2583 [역사 속 오늘] 2021(4354).11.2(화) 음력 9.28 갑인 머니북 2021-11-04 2009
2582 [역사 속 오늘] 2020(4353).10. 6(화) 음력 8.20 임오 머니북 2020-10-06 2009
2581 [역사 속 오늘] 2019(4352). 4.10(수) 음력 3.6 정축 전기의 날 머니북 2019-04-10 2009
2580 [역사 속 오늘] 12/18(1965) 한일협정발효 한일국교정상화 머니북 2013-12-18 2008
2579 [역사 속 오늘] 2018(4351). 9. 5(수) 음력 7.26 경자 머니북 2018-09-05 2007
2578 [역사 속 오늘] 03/15(1960) 3.15 부정선거 제4대 대통령/5대 부통령선거,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머니북 2016-03-15 2007
2577 [역사 속 오늘] 12/10(1996) 발명가 노벨 세상 떠남. 머니북 2014-12-10 2007
2576 [역사 속 오늘] 04/16(2014) 세월호(승객 476명) 진도 앞바다 침몰. 304명 목숨잃음 머니북 2016-04-16 2006
2575 [역사 속 오늘] 05/20(1975) 문교부, 학도호국단 창설안 발표 머니북 2014-05-20 2006
2574 [역사 속 오늘] 01/29(2006) 비디오아트의 거장 백남준 세상 떠남 머니북 2014-01-2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