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28] 우리말) 야단법석

조회 수 3401 추천 수 0 2017.08.02 11:00:09

.

안녕하세요.

휴가는 다녀오셨나요?
저는 다음주 휴가 갑니다.
모든 일 다 잊고 그저 푹 쉬려고 합니다.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야단법석   성기지 운영위원

‘야단법석’이란 말이 있다. 이 말은 본디 “야외에서 크게 베푸는 설법의 자리”라는 뜻을 지닌 불교 용어라고 한다. ‘야단’은 ‘야외 강단’의 준말이고 ‘법석’은 ‘설법의 자리’라는 뜻이다. 이 말이 우리 생활 속에 들어와서, “많은 사람이 모여들어 떠들썩하고 부산스럽게 구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야단법석’이 널리 쓰이다 보니까 ‘난리 법석’이라든지 ‘요란 법석’이란 말들이 생겨났다. 야외 강단인 ‘야단’ 자리에 “소란하고 질서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난리’를 바꿔 넣어서 ‘난리 법석’이라 하고, “시끄럽고 떠들썩하다”는 우리말 ‘요란’을 넣어서 ‘요란 법석’이라 쓰고 있다. 이 말들은 모두 “떠들썩하고 부산스럽게 구는 모양”을 표현하는 말들이다. 다만, ‘야단법석’은 사전 올림말인 데 비해, ‘난리 법석’과 ‘요란 법석’은 아직 한 낱말로 굳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난리’와 ‘법석’, ‘요란’과 ‘법석’을 모두 띄어 써야 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야단법석’처럼 ‘아귀다툼’이라든지 ‘아비규환’ 같은 말들도 모두 불교 용어에서 비롯된 말들이다. 불교에서는 “계율을 어기거나 탐욕을 부려 아귀도에 떨어진 귀신”을 ‘아귀’라고 하는데, 굶주린 아귀들이 먹을 것을 두고 다투는 모습을 빗대어 ‘아귀다툼’이라 표현한다. 또 불교에서 말하는 ‘아비지옥’과 ‘규환지옥’을 합하여 ‘아비규환’이라고 하면 “여러 사람이 비참한 지경에 빠져 울부짖는 참상”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1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우연찮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를 보시고 축하도 많이 해 주셨지만, 꾸중도 많이 해 주셨습니다.
첫째 꾸중은 '우연찮게'라는 낱말을 썼다는 꾸중이셨습니다.
'우연찮다'는 사전에 "꼭 우연한 것은 아니나 뜻하지도 아니하다."는 뜻으로 올라 있습니다.
따라서, 신성한 애를 두고 그런 낱말을 골라 썼다는 꾸중이셨고, 또,'우연찮다'는 '우연하지 않다'의 준말이므로 '우연히 셋째가 들어서서...'로 써야 바르다는 말씀이셨습니다.
앞에서 썼듯이 표준국어대사전에 '우연찮다'를 "꼭 우연한 것은 아니나 뜻하지도 아니하다."라고 올라 있으므로'우연히 셋째가 들어서...'와 '우연찮게 셋째가 들어서...'는 같은 뜻입니다.
또 ‘우연찮다’는 제가 말하고자 하는 뜻을 잘 나타내는 낱말이기도 합니다.
다만,'우연찮다'가 최근에 사전에 오른 낱말이고,뜻이 부정 표현과 긍정 표현을 오가는 낱말이라 비록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기는 해도 헷갈리는 것은 사실입니다.
사전 풀이를 "우연이 아니라 뜻하지 않은 사정때문에..."정도로 풀면 덜 헷갈릴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둘째 꾸중은 '돌팔이 의사'를 썼다는 꾸중이셨습니다.
애의 성별을 못 맞혔다고 해서 돌팔이는 아니라는 거죠.
제 생각과는 달리 언짢게 받아들이시는 분들이 계셨다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6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75
1376 [2008/01/22] 우리말) 마다하다와 마다다 id: moneyplan 2008-01-22 3471
1375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471
1374 [2008/05/30] 우리말) 무색 치마 id: moneyplan 2008-06-03 3472
1373 [2014/04/02] 우리말) 다좆치다 머니북 2014-04-02 3472
1372 [2009/02/16] 우리말) 나름대로... id: moneyplan 2009-02-16 3473
1371 [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id: moneyplan 2010-02-25 3473
1370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473
1369 [2007/07/31] 우리말) 탈레반, 정말 밉네요 id: moneyplan 2007-07-31 3474
1368 [2011/01/17] 우리말) 많이와 꽤 moneybook 2011-01-17 3474
1367 [2012/12/07] 우리말) 영어 교육 머니북 2012-12-10 3475
1366 [2014/11/04] 우리말) 늘키다 머니북 2014-11-04 3475
1365 [2016/12/29] 우리말) 올 한 해 읽은 책을 정리했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475
1364 [2010/10/06] 우리말) 조찬 moneybook 2010-10-06 3476
1363 [2016/01/06] 우리말) 사과나무 머니북 2016-01-06 3476
1362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477
1361 [2011/01/27] 우리말) 빨간색과 빨강색 moneybook 2011-01-27 3477
1360 [2007/12/13] 우리말) 신 김치와 쉰 김치 id: moneyplan 2007-12-13 3478
1359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478
1358 [2009/10/01] 우리말) 기쁨과 행복이 가득한 한가위로 보내시길 빕니다 id: moneyplan 2009-10-01 3480
1357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