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머드러기와 부스러기



사과나 배 같은 과일을 살 때 아무래도 크고 싱싱하고 빛깔이 선명한 것을 고르게 된다. 이처럼 과일 가운데서도 비교적 크고 좋은 것을 순 우리말로 ‘머드러기’라고 한다. 생선을 고를 때에도 마찬가지로 가장 굵고 싱싱한 것을 ‘머드러기’라고 하는데, 이를 사람에 비유해서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을 역시 ‘머드러기’라고 할 수 있다. 새 정부가 출범 100일을 지나면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인사 문제만큼은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하고 있다. 각 부처별로 그 분야의 머드러기를 잘 골라 뽑았는지는 앞으로 몇 년 간 지켜보면 밝혀질 것이다.

‘머드러기’와는 반대로, 쓸 만한 것을 골라내고 남은 물건을 잘 알다시피 ‘부스러기’라고 한다. 이 말 역시 사람에 비유해서, 아무 것에도 도움이 전혀 안 되는 하찮은 사람을 ‘부스러기’라 할 수 있다. 이 부스러기와 비슷한 뜻으로 여러 명사 앞에 붙여 쓰는 ‘군’이라는 우리말이 있다. ‘군-’은 ‘쓸데없는’ 또는 ‘가외로 덧붙은’이라는 뜻을 지닌 접두사다. 없어도 되는 쓸데없는 것을 ‘군것’이라 하는 것처럼, ‘군살, 군기침, 군말, 군식구’ 등 많은 파생어가 만들어져 쓰이고 있다. 특히, 필요 없는 사람을 ‘군사람’이라 한다.

군사람이 되지 않고 머드러기가 되려면 우선 말을 참되고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것을, 그동안 정부 각료나 정치인들의 처신을 통해 여러 차례 실감하였다. 지난해 있었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그랬고, 이번 새 정부에서 중책을 맡은 인사들에게서도 더러 느껴진다. “군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는 속담도 있다. 말이 많으면 실언이 많게 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달달하다]
안녕하세요.

시크릿가든이라는 드라마를 보셨나요?
저는 아내와 같이 재밌게 봤습니다. ^^*
심지어 가끔은 인터넷에 들어가서 게시판 글까지 읽어볼 정도로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 드라마에 워낙 관심이 많다 보니 새로운 유행도 많이 만들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달달하다'는 낱말입니다.
"달콤한 사랑"이라는 뜻으로 인터넷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전에서 '달달하다'를 찾아보면
"춥거나 무서워서 몸이 떨리다. 또는 몸을 떨다."
"작은 바퀴가 단단한 바닥을 구르며 흔들리는 소리가 잇따라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잇따라 내다."라는 뜻밖에 없습니다.
어디에도 달콤하다는 뜻은 없습니다.
다만,
꿀이나 설탕 맛과 같이 달다는 뜻으로 사투리로는 씁니다.

이렇게 예전부터 쓰이던 낱말에 새로운 뜻을 넣어 쓰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하죠?
낱말의 본뜻을 어지럽히니 쓰지 말아야 하나요?
아니면
우리말의 활용을 넓혔다고 봐야 하나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1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60
936 [2008/11/2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2-01 3792
935 [2016/03/08] 우리말) 비 맞벌이 -> 외벌이/홑벌이 머니북 2016-03-09 3792
934 [2008/09/29] 우리말) 억지 춘향과 억지 춘양 id: moneyplan 2008-09-29 3793
933 [2010/11/09] 우리말) 만듬과 만듦 moneybook 2010-11-09 3793
932 [2017/07/14] 우리말) 아닐 수 없다 머니북 2017-07-17 3793
931 [2014/01/27] 우리말) 엔간하다와 웬만하다 머니북 2014-01-28 3795
930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795
929 [2009/08/12] 우리말) laon id: moneyplan 2009-08-14 3796
928 [2011/08/09] 우리말) 흙주접 머니북 2011-08-09 3796
927 [2015/08/03] 우리말) 각단, 두동지다 머니북 2015-08-03 3796
926 [2009/06/22] 우리말) 조카와 조카딸 id: moneyplan 2009-06-22 3797
925 [2012/01/04] 우리말) 강추위 머니북 2012-01-04 3797
924 [2012/05/03] 우리말) 금/줄/선 머니북 2012-05-04 3797
923 [2013/11/19] 우리말) 웬과 왠지 머니북 2013-11-19 3798
922 [2014/09/30] 우리말) 망막하다/막막하다 머니북 2014-09-30 3799
921 [2011/08/11] 우리말) 原乳 머니북 2011-08-11 3800
920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801
919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801
918 [2011/07/06] 우리말) 한턱 머니북 2011-07-06 3801
917 [2017/01/26] 우리말) 두꺼운 옷, 두터운 정 머니북 2017-01-27 3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