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20] 우리말) 땡깡(2)

조회 수 3654 추천 수 0 2017.09.21 09:13:04

땡깡은 내 자식이건 남의 자식이건 생떼쓰는 애들에게 절대로 써서는 안 될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세먼지가 좀 걷히나 봅니다.

어제 편지에서 '땡깡'을 소개했습니다.
간질병이나 간질병으로 발작을 일으키는 것을 이르므로
내 자식이건 남의 자식이건 결코 써서는 안 된다는 말씀을 드렸죠.

그 편지를 보시고 hh???@gmail.com 님께서 댓글을 주셨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정신분열병, 간질, 나병 등은 각각 조현병, 뇌전증, 한센병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병이름 자체가 다른 병이름과 달리 느껴지는 인격비하를 지우기 위함입니다.
언제나 행복하게 …

고맙습니다.

'땡깡'이라는 낱말도 쓰면 안 되지만,
'간질'이라는 낱말도 '뇌전증'으로 바꿔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첫날 밤과 첫날밤]

안녕하세요.

오늘은 띄어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띄어쓰기는 낱말마다 띄어 씁니다.
그리고 9가지 품사도 한 낱말로 봐서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따라서,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으면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지 않으면) 띄어 씁니다.

보기를 보면,
'첫날'과 '밤'을 쓸 때,
'밤'은 품사가 명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써야 하지만,
'첫날'과 합쳐지면서 복합어로 봐서 사전에 올라 있으므로
'첫날밤'처럼 붙여 써야 바릅니다.

이렇게 복합어로 사전에 오른 때는 뜻이 조금 바뀝니다.
'첫날 밤'은 처음 보내는 밤이지만,
'첫날밤'은 결혼한 신랑과 신부가 처음으로 함께 자는 밤을 뜻하게 됩니다.

가끔 알려 드리는 '한잔'도 그렇습니다.
'한 잔'이라고 하면 딱 한 잔을 뜻하지만,
'한잔'이라고 하면 가볍게 한 차례 마시는 차나 술을 뜻합니다.

그런 말에는
못지않다, 큰코다친다, 가는귀먹다, 보잘것없다, 이제나저제나, 온데가데없다, 안절부절못하다 따위가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오늘 아침 고도원의 아침편지에 보니 아래와 같은 글이 있네요.
참으로 옳으신 말씀이라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




어려운 것은
가끔 한 
내 입에서 나와 
상대의 귀로 흘러들어 가는 말 한마디가 
살아가면서 얼마나 많은 역할을 해내고 있는지를 
우리는 항상 새겨야 한다. 말을 내뱉는 것은 쉽고 
순식간이지만, 그 말에 대한 책임은 평생토록
가져가야 한다. 말이란게 이토록 어렵고 
중요하다. 말이 주는 놀라운 힘을 믿고, 
말을 잘하자. 


- 고도원의《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2
1096 [2008/09/03] 우리말) 옥생각과 한글날 id: moneyplan 2008-09-03 3658
1095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658
1094 [2010/12/28] 우리말) 사뜻하다 moneybook 2010-12-28 3658
1093 [2016/02/01] 우리말) 짝꿍과 맞짱 머니북 2016-02-02 3658
1092 [2015/05/15] 우리말) 비비다/부비다 머니북 2015-05-15 3659
1091 [2007/08/07] 우리말) '노지'가 아니라 '밖', '한데' id: moneyplan 2007-08-07 3661
1090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661
1089 [2011/04/12] 우리말) 예부터 moneybook 2011-04-12 3661
1088 [2013/04/17] 우리말) 텍스트와 코너 머니북 2013-04-17 3661
1087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662
1086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663
1085 [2009/10/22] 우리말) 활개 치다와 활개 펴다 id: moneyplan 2009-10-22 3663
1084 [2011/08/08] 우리말) 토씨(조사) '의' 쓰임 머니북 2011-08-08 3663
1083 [2013/11/11] 우리말) 영상 머니북 2013-11-11 3663
1082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63
1081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63
1080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663
1079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664
1078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65
1077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