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아침에 잠시 망설였습니다. 긴 소매 옷을 입어야 할지 짧은 팔 옷을 입어야 할지...


며칠 전에 누나가 쓴 글이 신문에 난 것을 무척 부러워했던 아들이
자기도 글을 써보겠다고 덤볐습니다.
주제 정하고, 글 쓰고, 고치고, 다듬고...
비록 제가 여러 군데 도와주긴 했지만, 어쨌든 아들이 주도해서 쓴 글입니다.


오늘은 제 아들이 쓴 글을 붙입니다. ^^*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http://www.jeonbuktimes.co.kr/news/view.asp?idx=23433
전주만성초등학교 6학년 성원준


저는 초등학교 6학년이고, 내년이면 중학교에 들어갑니다. 지금까지는 일기 말고 제가 직접 글을 쓴 적이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중학교부터는 자기가 글을 쓸 줄 알아야 한다고 합니다. 누나에게 들으니 독후감도 써야 하고, 선생님이 어떤 주제를 주시면 그에 맞게 글도 써야 한다고 합니다. 
저는 글을 잘 쓰고 싶습니다.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제가 생각한 것을 남에게 잘 전달하고 싶어서입니다. 선생님들께서는 글을 잘 쓰려면 책과 신문을 자주 보고, 좋은 글이나 사설 같은 것을 옮겨서 써보라고 합니다. 그러면 잘 쓴 좋은 문장을 배울 수 있다고 합니다. 선생님 말씀에 따라 신문에 있는 글을 옮겨 써보려고 하는데, 신문 읽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한글이라는 우리글이 있는데도 한자로 쓴 때도 있고, 순우리말이 있는데도 어려운 한자말을 쓰기도 해서 읽기가 힘듭니다.
며칠 전 신문에 있는 글 가운데 제가 뜻을 몰라서 아빠에게 여쭤본 것만 해도 셀 수 없을 정도입니다. 그 가운데서 한글로 바꿀 수 있거나, 순우리말을 써도 되는 것을 아빠 도움을 받아 바꾸면 이렇습니다. 
社→회사, 美→미국, 宋국방→국방부장관, 現→현재, 1년 유예→1년 미뤄, 거론→말해, 기아車→기아차, 일각→다른 의견, 北→북한, 금품수수 의혹→돈이나 선물을 받은 듯, 의대생 사칭한→의대생이라 속인, 미궁 살인 용의자 검거→뒤늦게 살인 용의자 잡아, 홈피 무단 재개→홈피 억지로 다시 열어, 月→월 
아마도 한자로 쓰면 문장이 짧아질 수 있어 그렇게 쓰나 봅니다. 그러나 그렇게 쓰면 저 같은 미래 독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세종대왕님이 만드신 한글이라는 우리글이 있습니다. 우리글이 없다면 한자나 영어를 써도 되겠지만, 버젓이 우리글이 있는데 다른 나라 말을 쓰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 순우리말이 있다면 되도록이면 그걸 써야 한다고 봅니다. 어려운 한자말이나 이상한 외래어를 쓰는 것은 우리말을 아끼는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을 달리 생각하면 저 같은 어린이는 신문을 읽지 못하게 막는 것과 같습니다. 
제가 신문을 읽지 못한다면 아마도 글쓰기 학원을 다녀야 할지도 모릅니다. 안다녀도 되는 학원을 다니는 것은 부모님만 힘들게 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신문에서 우리 한글과 순우리말을 자주 쓰는 것이 저 같은 어린이들에게 신문을 자주 읽도록 하는 길이라고 봅니다. 학생들이 신문을 자주 읽어야 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이 늘고, 그래야 우리나라 국민모두 자기주장을 글로 표현할 수 있는 서로 뜻이 잘 통하는 사회가 될 것 같습니다.
저는 내년에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동생이 있습니다. 지금 막 한글을 익히고 있는데, 제 동생은 신문을 쉽고 재밌게 읽으면서 글쓰기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한자가 가끔 보이는 신문을 보고 있는데, 제 동생이 이런 신문을 볼 거라고 생각하면 걱정이 앞섭니다. 
그래서 저는 한자말을 우리말로 쓸 수 있으면 쓰고, 순우리말이 있으면 넣어서 저 같은 어린이들이 쉽게 신문을 볼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어제저녁에 이 글이 인터넷에 올라온 것을 무척 신기하게 보던 아들이 
다음 달에 있을 한글날을 맞아 한번 더 글을 써보겠다네요. 
기특합니다. ^^

이상 팔불출이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버물다]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에
중국 상하이에서 우리나라 외교관이 중국 여성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그 일에 연루된 사람이 여러 명 있다고 나오네요.
참으로 한심하고 창피한 노릇입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해서 다른 나라에 나가 있는 외교관이 그런 짓을 하다니...

뉴스에서 '연루되었다'고 나왔습니다.
'연루(連累/緣累)'는 이름씨(명사)로 "남이 저지른 범죄에 연관됨"이라는 뜻이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관련'으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연루나 관련이나 다 한자말이므로
뜻이 비슷한 '버물다'를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버물다'는 "못된 일이나 범죄에 관계하다"는 뜻의 움직씨(동사)입니다.
이번에 상하이에서 더러운 문제에 버물린 사람들은 나쁜 사람들입니다.
개인으로 봐서도 창피하지만, 국가를 대표하는 외교관으로서 나라 얼굴에 먹칠을 한 거라 봅니다.

우리는 그런 더러운 문제에 버물리지 않도록 바르게 삽시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7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15
2336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602
2335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601
2334 [2016/09/01] 우리말)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머니북 2016-09-07 4600
2333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600
2332 [2016/12/26] 우리말) 해넘이와 해맞이 머니북 2016-12-26 4594
2331 [2007/02/06] 우리말) 내 사랑 현아 씨! id: moneyplan 2007-02-07 4592
2330 [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머니북 2017-09-26 4589
2329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587
2328 [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id: moneyplan 2007-02-12 4584
2327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68
2326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562
2325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61
2324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560
2323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58
2322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54
2321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553
2320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47
2319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543
2318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536
2317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