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조회 수 4615 추천 수 0 2017.09.26 08:37:32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가족과 식구

한가위가 사이에 낀 기나긴 연휴가 다가오고 있다. 직장인이라면 무척 설레는 때이다. 나라 밖으로 또는 나라 안으로 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이 많을 테지만, 더러는 가족과 함께 모처럼 만의 휴식을 꿈꾸는 이들도 있겠다. 그런데 ‘가족’과 ‘식구’는 어떻게 다를까? 일상생활에서 이 두 낱말은 거의 구분 없이 쓰이기 때문에, 그 뜻 차이를 떠올리기가 쉽지 않다.

‘가족’은 한 집안의 친족, 곧 어버이와 자식, 부부 따위의 혈연관계로 맺어져 한 집안을 이루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이다. 몇 십 년 동안 멀리 떨어져 살더라도 혈연관계에 있으면 모두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식구’는 한 집안에서 함께 살며 끼니를 같이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이산가족이었던 아버님이 돌아오셔서, 이제 우리 집 식구도 한 사람 늘었다.”라고 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앞의 ‘가족’과 뒤의 ‘식구’를 서로 맞바꾸어 쓸 수가 없다. 또, ‘식구’는 ‘가족’과 달리, “우리 사무실 식구가 벌써 열 명이 되었다.”처럼 한 단체나 기관에 딸려 함께 일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가족이나 식구나, 한 울타리 안에서 의식주 생활을 함께 영위한다는 점에서는 ‘집’이라는 공간이 중요하다. 하지만 가족은 꼭 한 집에 살지 않아도 성립하는 관계인 반면, 식구는 그렇지 않다. 하숙생이나 잠시 머무는 손님이라면 대가를 지불하든 않든 식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가족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멋쩍다]
안녕하세요.

요즘 날마다 중국 상하이 외교관 이야기로 뜨겁네요.
어제저녁에 동료와 자리를 같이 하고 있는데 옆 자리에서 상하이 외교관들을 호되고 나무라며
모든 공무원을 싸잡아서 욕하고 있었습니다.
참으로 멋쩍더군요.
저는 깨끗한 공무원이요라고 말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그냥 듣고 있자니 민망하고...
그래서 그냥 그 자리를 나와버렸습니다. ^^*

어제 보내드린 편지에서 
'연루하다'보다는 '버물리다'를 쓰는 게 좋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댓글에
걸리다, 얽히다, 줄대다도 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씀해 주신 분이 계시네요.
고맙습니다. ^^*

오늘은 멋쩍다를 알아볼게요.
'멋쩍다'는 "하는 짓이나 모양이 격에 어울리지 않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입니다.
어색하고 쑥스럽다는 뜻이죠.
그는 자신의 행동이 멋쩍은지 뒷머리를 긁적이며 웃어 보였다, 나는 그들을 다시 보기가 멋쩍었다처럼 씁니다.

문제는 '멋적다'가 아니라 '멋쩍다'라는 겁니다.
'멋적다'를 '멋'이 '적다'로 가를 수 있다면 '멋적다'로 쓰는 게 바르지만,
그렇게 가를 수 없다면, 곧, 양이 많지 않다는 뜻이 없다면, 소리나는 대로 쓰는 게 바릅니다.
따라서 '멋쩍다'로 써야 합니다.

그런 낱말은
객쩍다, 겸연쩍다, 맥쩍다 따위가 있습니다.

오늘부터는 날씨가 좀 풀리려나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72
2356 [2007/09/17] 우리말) 철 따라 한 목 한 목 무리로 나오는 모양 id: moneyplan 2007-09-17 3512
2355 [2007/09/18] 우리말) 저는 선물을 받지 않습니다 ^^* id: moneyplan 2007-09-18 3406
2354 [2007/09/19] 우리말) 포도와 클러스터 id: moneyplan 2007-09-19 3559
2353 [2007/09/20] 우리말)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id: moneyplan 2007-09-20 9521
2352 [2007/09/20] 우리말) 추석과 중추절 id: moneyplan 2007-09-21 3815
2351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691
2350 [2007/09/28] 우리말) 고바위에 오르다? id: moneyplan 2007-09-28 3642
2349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559
2348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661
2347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3466
2346 [2007/10/04] 우리말) 사열했다와 사열 받다 id: moneyplan 2007-10-05 3699
2345 [2007/10/05] 우리말) 저는 개으릅니다 id: moneyplan 2007-10-05 4265
2344 [2007/10/06] 우리말) 2007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id: moneyplan 2007-10-08 3904
2343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3811
2342 [2007/10/08] 우리말) 손대기 id: moneyplan 2007-10-08 4390
2341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839
2340 [2007/10/10] 우리말)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10 4273
2339 [2007/10/11] 우리말) 부리나케, 부랴부랴 id: moneyplan 2007-10-11 3457
2338 [2007/10/12] 우리말) 짬짜미 id: moneyplan 2007-10-13 3384
2337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7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