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22] 우리말) 가족과 식구

조회 수 4558 추천 수 0 2017.09.26 08:37:32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가족과 식구

한가위가 사이에 낀 기나긴 연휴가 다가오고 있다. 직장인이라면 무척 설레는 때이다. 나라 밖으로 또는 나라 안으로 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이 많을 테지만, 더러는 가족과 함께 모처럼 만의 휴식을 꿈꾸는 이들도 있겠다. 그런데 ‘가족’과 ‘식구’는 어떻게 다를까? 일상생활에서 이 두 낱말은 거의 구분 없이 쓰이기 때문에, 그 뜻 차이를 떠올리기가 쉽지 않다.

‘가족’은 한 집안의 친족, 곧 어버이와 자식, 부부 따위의 혈연관계로 맺어져 한 집안을 이루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이다. 몇 십 년 동안 멀리 떨어져 살더라도 혈연관계에 있으면 모두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식구’는 한 집안에서 함께 살며 끼니를 같이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이산가족이었던 아버님이 돌아오셔서, 이제 우리 집 식구도 한 사람 늘었다.”라고 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앞의 ‘가족’과 뒤의 ‘식구’를 서로 맞바꾸어 쓸 수가 없다. 또, ‘식구’는 ‘가족’과 달리, “우리 사무실 식구가 벌써 열 명이 되었다.”처럼 한 단체나 기관에 딸려 함께 일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가족이나 식구나, 한 울타리 안에서 의식주 생활을 함께 영위한다는 점에서는 ‘집’이라는 공간이 중요하다. 하지만 가족은 꼭 한 집에 살지 않아도 성립하는 관계인 반면, 식구는 그렇지 않다. 하숙생이나 잠시 머무는 손님이라면 대가를 지불하든 않든 식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가족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멋쩍다]
안녕하세요.

요즘 날마다 중국 상하이 외교관 이야기로 뜨겁네요.
어제저녁에 동료와 자리를 같이 하고 있는데 옆 자리에서 상하이 외교관들을 호되고 나무라며
모든 공무원을 싸잡아서 욕하고 있었습니다.
참으로 멋쩍더군요.
저는 깨끗한 공무원이요라고 말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그냥 듣고 있자니 민망하고...
그래서 그냥 그 자리를 나와버렸습니다. ^^*

어제 보내드린 편지에서 
'연루하다'보다는 '버물리다'를 쓰는 게 좋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댓글에
걸리다, 얽히다, 줄대다도 쓸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씀해 주신 분이 계시네요.
고맙습니다. ^^*

오늘은 멋쩍다를 알아볼게요.
'멋쩍다'는 "하는 짓이나 모양이 격에 어울리지 않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입니다.
어색하고 쑥스럽다는 뜻이죠.
그는 자신의 행동이 멋쩍은지 뒷머리를 긁적이며 웃어 보였다, 나는 그들을 다시 보기가 멋쩍었다처럼 씁니다.

문제는 '멋적다'가 아니라 '멋쩍다'라는 겁니다.
'멋적다'를 '멋'이 '적다'로 가를 수 있다면 '멋적다'로 쓰는 게 바르지만,
그렇게 가를 수 없다면, 곧, 양이 많지 않다는 뜻이 없다면, 소리나는 대로 쓰는 게 바릅니다.
따라서 '멋쩍다'로 써야 합니다.

그런 낱말은
객쩍다, 겸연쩍다, 맥쩍다 따위가 있습니다.

오늘부터는 날씨가 좀 풀리려나요?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5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54
2336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48
2335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4545
2334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38
2333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37
2332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530
2331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527
2330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26
2329 [2017/09/21] 우리말)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머니북 2017-09-21 4523
2328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21
2327 [2015/07/03] 우리말) 조촐한 자리 머니북 2015-07-03 4515
2326 [2011/11/03] 우리말) 찌뿌둥과 찌뿌듯 머니북 2011-11-04 4509
2325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508
2324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507
2323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506
2322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504
2321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501
2320 [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머니북 2011-11-08 4497
2319 [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id: moneyplan 2007-03-28 4497
2318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493
2317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