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14] 우리말) 시 감상

조회 수 5156 추천 수 0 2017.11.16 11:29:14

.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ㅎㅇ 님이 보내주신 시를 함께 보고자 합니다.
다음 달부터 우리말 편지를 보내지 못한다는 말씀을 듣고 아래 편지를 보내주셨습니다.
최ㅎㅇ 님의 허락을 받고 함께 보겠습니다.



다음 달부터 우리말 편지를 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안타까운 마음 감출 수가 없습니다.
그동안 보내주신 편지는 저에게 정말 소중한 글이었습니다.
우리글, 우리말을 사랑하는 마음만큼 정확하게 알고 쓰지는 못했습니다.
그만큼 우리말 편지는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오래전에 우리말로 쓴 시가 있는데 아쉬운 마음에 올려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봄이 기다려지는 것은
따뜻한 봄바람이 꿈을 싣고 오기 때문이야
나도 봄이고 싶다
지치고 어려운 사람에게
꿈을 주고 싶다

여름이 신나는 곳은
어린아이의 마음을 품고 있기 때문이야
나도 여름이고 싶다
몸 나이 머리 나이 먹어도?
마음 나이는 어린아이가 되고 싶다

가을이 그리운 것은
누군가가 보고 싶기 때문이야
나도 가을이고 싶다
날마다 그리운
동무가 ?되고 싶다

겨울이 ?아름다운 것은
흰 눈이 내리기 때문이야?
나도 겨울이고 싶다?
겨울처럼 억세면서도
허물을 덮어주는
흰 눈이 되고 싶다.?

제가 쓴 메일에도 맞춤법에 어긋난 곳 살펴봐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방법으로 편지를 받아 볼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으로 믿습니다.
박사님 정말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빙부와 빙모]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6:20에 MBC 뉴스 화면 아래쪽 흐르는 자막에 'KM'가 나왔습니다.
거리 단위는 소문자 'km'을 써야 바릅니다.

어제 일터에서 같이 일하는 동료의 빙장어른께서 돌아가셨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 
'장인'은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이고, 이를 높여 '빙부'라고 합니다.
'빙장'은 다른 사람의 장인을 이르는 말이고, 이를 높여 부르는 말이 '빙장어른'입니다.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빙부'는 '장인'과 같은 뜻으로 풀이되어 있어 내 아내의 아버지를 뜻하나,
'빙모'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이르는 말로 내 아내의 어머니에게는 쓸 수 없습니다.

3. "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집"은 '상가'라고 해도 되고 '상갓집'이라고 해도 됩니다.
'고목나무'나 '역전앞'처럼 겹치는 말이지만 상가와 상갓집 모두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4. 빈소와 분향소의 다른 점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5. 오늘 저녁에 상가가 있는 통영에 가야 하므로 내일 아침 우리말 편지를 못 보낼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63
256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555
255 [2007/06/25] 우리말) 제 아들이 ㄴㄱ네요 id: moneyplan 2007-06-25 3803
254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523
253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715
252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907
251 [2007/06/20] 우리말) 벼룩시장 id: moneyplan 2007-06-20 3610
250 [2007/06/19] 우리말) 가족과 식구 id: moneyplan 2007-06-19 4165
249 [2007/06/19] 우리말) 다대기가 아니라 다지기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9 3829
248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564
247 [2007/06/14] 우리말) 담합이 아니라 짬짜미 id: moneyplan 2007-06-15 3753
246 [2007/06/14] 우리말)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655
245 [2007/06/13] 우리말)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494
244 [2007/06/12] 우리말) 산통을 깨다 id: moneyplan 2007-06-12 3787
243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683
242 [2007/06/08] 우리말) 버벅거리다 id: moneyplan 2007-06-08 3569
241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696
240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550
239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4120
238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3500
237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