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14] 우리말) 시 감상

조회 수 5040 추천 수 0 2017.11.16 11:29:14

.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ㅎㅇ 님이 보내주신 시를 함께 보고자 합니다.
다음 달부터 우리말 편지를 보내지 못한다는 말씀을 듣고 아래 편지를 보내주셨습니다.
최ㅎㅇ 님의 허락을 받고 함께 보겠습니다.



다음 달부터 우리말 편지를 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안타까운 마음 감출 수가 없습니다.
그동안 보내주신 편지는 저에게 정말 소중한 글이었습니다.
우리글, 우리말을 사랑하는 마음만큼 정확하게 알고 쓰지는 못했습니다.
그만큼 우리말 편지는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오래전에 우리말로 쓴 시가 있는데 아쉬운 마음에 올려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봄이 기다려지는 것은
따뜻한 봄바람이 꿈을 싣고 오기 때문이야
나도 봄이고 싶다
지치고 어려운 사람에게
꿈을 주고 싶다

여름이 신나는 곳은
어린아이의 마음을 품고 있기 때문이야
나도 여름이고 싶다
몸 나이 머리 나이 먹어도?
마음 나이는 어린아이가 되고 싶다

가을이 그리운 것은
누군가가 보고 싶기 때문이야
나도 가을이고 싶다
날마다 그리운
동무가 ?되고 싶다

겨울이 ?아름다운 것은
흰 눈이 내리기 때문이야?
나도 겨울이고 싶다?
겨울처럼 억세면서도
허물을 덮어주는
흰 눈이 되고 싶다.?

제가 쓴 메일에도 맞춤법에 어긋난 곳 살펴봐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방법으로 편지를 받아 볼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으로 믿습니다.
박사님 정말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빙부와 빙모]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6:20에 MBC 뉴스 화면 아래쪽 흐르는 자막에 'KM'가 나왔습니다.
거리 단위는 소문자 'km'을 써야 바릅니다.

어제 일터에서 같이 일하는 동료의 빙장어른께서 돌아가셨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 
'장인'은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이고, 이를 높여 '빙부'라고 합니다.
'빙장'은 다른 사람의 장인을 이르는 말이고, 이를 높여 부르는 말이 '빙장어른'입니다.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빙부'는 '장인'과 같은 뜻으로 풀이되어 있어 내 아내의 아버지를 뜻하나,
'빙모'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이르는 말로 내 아내의 어머니에게는 쓸 수 없습니다.

3. "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집"은 '상가'라고 해도 되고 '상갓집'이라고 해도 됩니다.
'고목나무'나 '역전앞'처럼 겹치는 말이지만 상가와 상갓집 모두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4. 빈소와 분향소의 다른 점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5. 오늘 저녁에 상가가 있는 통영에 가야 하므로 내일 아침 우리말 편지를 못 보낼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18
2416 [2008/12/30] 우리말) 보다 빠르게... id: moneyplan 2008-12-30 4942
2415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939
2414 [2006/10/20] 우리말) 닦달하다 id: moneyplan 2006-10-20 4939
2413 [2014/09/17] 우리말) 구어먹다 보다는 구워먹다 머니북 2014-09-17 4936
2412 [2013/05/08] 우리말) 어버이와 관련된 글 머니북 2013-05-08 4922
2411 [2011/09/22] 우리말) 더펄이/곰살갑다/구순하다 머니북 2011-09-22 4894
2410 [2012/06/15] 우리말) 토박이말 살려쓴 이름 머니북 2012-06-15 4892
2409 [2011/10/17] 우리말) 걸리적거리다와 거치적거리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7 4879
2408 [2011/07/27] 우리말) 칠삭둥이 머니북 2011-07-27 4879
2407 [2009/12/10] 우리말) [바른말 고운말] 표어 공모전을 소개합니다 file [4] id: moneyplan 2009-12-10 4877
2406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868
2405 [2012/08/27] 우리말) 여지껏/여태껏 머니북 2012-08-27 4866
2404 [2006/09/27] 우리말) 유감에 유감? id: moneyplan 2006-09-28 4859
2403 [2017/11/06]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머니북 2017-11-06 4858
2402 [2006/11/13] 우리말) 싸가지/소갈머리 --> 늘품/늧 id: moneyplan 2006-11-13 4858
2401 [2006/11/27] 우리말) 저희 집 애들은 참 띠앗이 참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6-11-27 4850
2400 [2006/12/28] 우리말) 용서하고 풀치고... id: moneyplan 2006-12-28 4848
2399 [2011/10/24] 우리말) 빨간 단풍 머니북 2011-10-24 4847
2398 [2008/01/24] 우리말) 초등학교 교육을 영어로 하겠다고요? id: moneyplan 2008-01-24 4846
2397 [2017/08/24] 우리말) 여우다와 여의다 머니북 2017-08-31 4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