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진 목련은/걸음마도 못하고 죽은 아기 발바닥 같다/어떤 어미가 있어/잘 드는 칼로/죽음의 발바닥을 벗겼을 것이다/목련나무 아래 한 겹 두 겹 내려놓고/아장아장 걸어가길 한없이 빌었을 것이다/목련나무 아래 4월에는/발도 없는 아기가 와서/발바닥으로만 발바닥으로만 하얗게 걸어다닌다”-김주대 ‘4월’

4월 20일 오늘은 곡우.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하는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마른다고 함. 곡우 무렵 못자리 준비로 볍씨 담그는데 부정한 사람은 볍씨를 못보게 했고, 토지신이 질투해 쭉정이농사를 짓게 만든다며 부부가 함께 자는 것 꺼림.
* 곡우에 폭포에서 물을 맞으면 여름철에 더위를 모르고 신경통이 낫는다 하며, 곡우 때 나물을 먹으면 좋다고 하는데 이때가 지나면 나물이 뻣뻣해지기 때문
* 곡우 무렵엔 나무에 물이 많이 올라 산다래, 자작나무, 거지수, 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서 흘러내리는 ‘곡우물’을 마심. 경칩에 마시는 고로쇠물은 여자물이라 남자에게 좋고 곡우물은 남자물이어서 여자에게 더 좋다고 함
* 흑산도 근해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곡우 때 북상해서 충청도 격렬비열도 쯤에 올라와 있어 이 때 잡는 조기를 ‘곡우사리’라 부름. 곡우사리는 아직 크지는 않았지만 연하고 맛이 있다고 함

4월 20일 오늘은 장애인의 날. 유엔이 1981년을 세계장애인의 해로 선언하고 각 나라에 기념사업을 권장하자 우리나라는 통계적으로 비가 가장 내리지 않는 오늘을 장애인의 날로 정함 1991년부터 법정기념일
4월 20일 유엔 중국어의 날

1447(조선 세종 29) 안견 ‘몽유도원도’ 그리기 시작(4월 23일 완성)

1527(조선 중종 22) 최세진 <훈몽자회> 편찬, 한글 자모의 이름 처음 정하고 순서와 받침 정리

1605(조선 선조 38) 사명대사 임진란 때 일본에 끌려간 3,000명 데리고 돌아옴

1906 우리나라 최초의 신작로 공사(전주-군산)
1907 고종 헤이그 특사 파견

1928 서울에 시내버스 등장

1949 초대 주한미국대사 무초 부임

1955 북한에서 중국군 6개 사단 철수 완료

1964 김대중 의원 김준연의원 구속동의안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 5시간 19분 기록

1977 기술인력 사우디 파견 합의
1978 KAL 보잉707 소련 강제 착륙
-- 파리 출발 후 항로 착오로 무르만스크 호수 빙판 착륙 2명 사망 10명 부상

1981 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1991 노태우 대통령-고르바초프 대통령 제주도에서 정상회담, 북한에 핵사찰수용촉구하기로 합의
1992 한국-베트남 서울과 하노이에 상호 연락대표부 설치 합의
1995 전국농민회총연맹 소속농민 미 대사관 앞에서 통상압력 중단요구 시위
1995 서울지법 성수대교붕괴사고 서울시와 동아건설 관계자 17명중 1명 무죄 16명 집행유예 선고
1996 러시아 국영 R-TV 북한 정치범수용소에 정치범 30만 명 있다고 폭로
1997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 망명 신청 67일 만에 서울 도착

2006 최초의 여성 총리 한명숙 총리 취임. 공천헌금 4억원 받은 조재환 민주당 사무총장 체포
2009 신경민 앵커 교체에 따른 기자들의 제작거부와 사퇴촉구에 MBC 보도국장 사임. 서울 중앙지법, '미네르바' 박대성 씨에게 무죄 선고('정부의 환전업무 전면중단' 등의 내용에 대해 검찰이 허위사실유포라며 구속기소해 징역 1년 6월 구형)

2010 MBC <PD수첩> 스폰서 검사 폭로
-- 4.21 검찰, 진상규명위 꾸려 스폰서검사 조사 착수 8.5 검찰 스폰서 특검팀 출발 9.28 스폰서 특검, 한승철 전 대검 감찰부장 등 기소



  121 로마 황제/스토아 철학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태어남 <명상록>

1653 영국 크롬웰에 의한 청교도 혁명

1889 유태인 학살 주범인 독일 독재자 히틀러 태어남
1893 스페인 화가 후안 미로(1893-1983) 태어남 “어느 누구도 후안 미로만큼 어울릴 수 없는 것을 어울리게 하거나, 우리가 감히 절단하기를 바랄 수조차 없는 것을 그저 무관심한 듯 절단해버리는 사람은 없다.”-앙드레 브르똥 <초현실주의와 미술>

1926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 태어남

1949 파리서 제1회 세계평화옹호자 대회 열림

1967 스위스 터보제트기 키프로스의 니코시아에 추락 126명 사망
1968 남아공화국 보잉 707기 위드호크 공항 이륙 중 추락 122명 사망

1974 일본-중국 민간항공협정 체결, 대만은 즉시 대일항로 폐쇄

1996 선진 7개국 정상 모스크바에서 모든 핵실험 금지 원칙 합의
1996 일본 지식인 160명 군 위안부 배상 촉구 성명 발표
1999 미국 콜로라도 주 콜럼바인 고교에서 에릭 해리스(18세)와 딜런 클리볼드(17세) 총기난사 학생 12 교사 1 죽이고 스스로 목숨 끊음

2010 미국 멕시코만에서 사상 최악의 해양오염 발생
-- 루이지애나주 해상 석유시추시설 딮워터 호라이즌호 폭발, 11명 숨지고 원유(최대 490만배럴 추정) 유출로 멕시코만 오염.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사고수습비용으로 322억$ 지불
2013 중국 쓰촨성서진도7.0 강진 여진 30여 차례 200여명 사망·실종 1만2천여 명 부상 이재민 18만 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056 [역사 속 오늘] 03/06(1883) 고종, 박영효가 만든 ‘태극/4괘도안’의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 공포 머니북 2016-03-05 2139
2055 [역사 속 오늘] 03/05(1946) 처칠 영국수상 ‘철의 장막’ 용어 처음사용 머니북 2016-03-05 1636
2054 [역사 속 오늘] 03/04(1933) 미국 루스벨트대통령, 뉴딜정책 선언 머니북 2016-03-04 1928
2053 [역사 속 오늘] 03/03(1981) 국내 저작권법 발효 머니북 2016-03-03 1741
2052 [역사 속 오늘] 03/02(1909) 안중근 의사, 단지동맹 결성 머니북 2016-03-02 1712
2051 [역사 속 오늘] 03/01(1919) 기미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은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의 취지 밝혀 머니북 2016-03-02 2039
2050 [역사 속 오늘] 02/29(1792)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로시니 태어남 머니북 2016-02-29 2103
2049 [역사 속 오늘] 02/28(1935) 미국 듀폰사 나일론개발 성공 머니북 2016-02-27 2162
2048 [역사 속 오늘] 02/27(1879) 합성감미료 사카린 발견 머니북 2016-02-27 1710
2047 [역사 속 오늘] 02/26(2010) 김연아, 밴쿠버올림픽 여자피겨스케이팅에서 228.56점으로 세계신기록 세우며 우승 머니북 2016-02-27 1968
2046 [역사 속 오늘] 02/25(1965) 무즙 파동-서울 전기중학입시문제 출제 잘못으로 낙방생38명 집단소송 머니북 2016-02-25 1758
2045 [역사 속 오늘] 02/24(1955) 컴퓨터업체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 태어남 머니북 2016-02-24 1572
2044 [역사 속 오늘] 02/23(1991) 76년만의 강추위로 전북 장수지방 영하 25.8도 기록 머니북 2016-02-23 1737
2043 [역사 속 오늘] 02/22(1995) 영국-아일랜드, 25년간의 분쟁종식 위한 평화안 공동발표 머니북 2016-02-22 1742
2042 [역사 속 오늘] 02/21(1936)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 만주 여순감옥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6-02-20 1886
2041 [역사 속 오늘] 02/20(1928) 의열단 김지섭 의사, 뇌일혈로 지바형무소에서 옥중순국 머니북 2016-02-20 2301
2040 [역사 속 오늘] 02/19(1878) 발명왕 에디슨 포노그래피(전축) 발명특허 머니북 2016-02-19 2076
2039 [역사 속 오늘] 02/18(2003) 대구지하철 화재 192명 숨지고 148명 다침 머니북 2016-02-18 1821
2038 [역사 속 오늘] 02/17(1907) 국채보상운동 시작 <대한매일신보>에 서상돈이 국채보상운동을 하자는 글이 실림 머니북 2016-02-16 2358
2037 [역사 속 오늘] 02/16(2009) 한국최초의 추기경 김수환(스테파노)추기경 선종 머니북 2016-02-16 1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