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이다/침묵으로 침묵으로 이어지는 세월/세월 위로 바람이 분다/바람은 지나가면서/적막한 노래를 부른다...노래 위에 눈이 내린다/내린 눈은, 기쁨과 슬픔/인간이 살다간 자리를/하얗게 덮는다/덮은 눈 속에서/겨울은 기쁨과 슬픔을 가려내서/인간이 남긴 기쁨과 슬픔으로/봄을 준비한다/묵묵히”-조병화 ‘겨울’

“청춘(인생)은 이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가, 그러나 순식간에 사라져 버린다. 즐기고 싶은 자는 지금 당장 시작하라. 확실한 내일은 없는 것이니.” -로렌초 ‘바쿠스의 노래’

1881(조선 고종 18) 독립운동가 우사 김규식 태어남

1887(조선 고종 24) 서울 상가 외국인 용산이주반대 폐점시위운동 전개

1905 임진강 철교 개통

1915 불교 30본산 연합사무소 각황사 설치

1920 경기 경상 황해 평안 함경 강원 지방 홍수 인명피해 850명 가옥피해 17,876호

1941 조선음악협회 결성

1961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민자통) 결성

1964 북한 조선노동당 제4기 8차 회의에서 3대혁명역량강화론 채택

* 3대혁명역량 강화 방침=북한은 남한 민중 자체의 힘으로 이른바 미국의 남한 지배를 철폐하지 않고서는 통일이 달성될 수 없다고 보고 1) 북한에서 사회주의 건설을 잘하여 혁명기지를 강화하고 2) 남한 민중들을 정치적으로 각성시켜 남한혁명역량을 강화하며 3) 한국민중과 국제혁명역량과의 단결을 강화하는 것을 3대혁명역량강화방침으로 정식화한 것. 북한은 이 방침에 따라 60년대 후반 통일혁명당의 지하공작과 게릴라의 무장침투 등 사업을 전개

1965 비둘기부대 제1진 한국군 중 처음 베트남 사이공 도착, 1966년까지 청룡부대 맹호부대 혜산진부대 백마부대 파병 1971.12부터 단계적 철수 시작 1973.3 완전철군, 베트남파병 연인원 32만 명 사망 5천여 명 부상 1만5천여 명. 고엽제 피해 2세 포함 7만여 명

1965 무즙 파동, 서울 전기중학입시문제 출제 잘못으로 낙방생 38명 집단 소송. 공해방지법 발효

1966 한-미 베트남 증파 조건 합의록 서명

1969 작곡가 윤이상 동베를린 간첩단사건으로 복역 중 대통령특사로 풀려남

1972 한국 등 16개 개발도상국 GATT 특별관세동맹안에 서명

1974 남북적십자 2차 실무대표 접촉(중립국 감시위원회 회의실) 한적=서해어선 격침 및 납치사건에 대한 인도적 조치 요구/북적=남한 내 인권탄압 중지

1975 쌍용그룹 창업자·정치가 성곡 김성곤 세상 떠남

1981 전두환 대통령 선거인단 통한 간접선거에서 제12대 대통령 당선

1982 손재식 통일원장관 남북한고위대표회담 제의

1983 북한군 조종사 이웅평 미그19기 몰고 휴전선 넘어 귀순

1983 미국, 외교관의 북한관리들과 접촉 부분적 허용

- 북한외교관 초청하지 않고 북한초청 받아들이지 않으며 북한 위해 마련한 제3국 행사에 나가지 않는다는 행동지침 바꿔 제3국 외교활동 중 북한관리들과 미국의 한반도정책에 관한 비공식대화 허용함

1988 노태우 제13대 대통령 취임

1993 김영삼 제14대 대통령 취임

1994 김영삼 대통령 취임1주년 기자회견 김일성 주석과 정상회담 추진 밝힘

1994 북-미 뉴욕회담 타결, 합의사항=팀스피리트훈련 중단/핵사찰 수용/남북특사교환 위한 실무접촉 재개/3단계 북-미회담 3월 21일 제네바에서 개최

1995 국방부 95년 팀스피리트 훈련 실시 결정 발표

1997 김영삼 대통령 한보 관련 대국민사과 담화

1998 김대중 제15대 대통령 취임, 대북3원칙 발표. 국회 국무총리와 감사원장 임명동의 처리 못함

2003 노무현 제16대 대통령 취임

2008 이명박 제17대 대통령 취임

2013 화가 남정 박노수 세상 떠남(86세)

2013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취임, 첫 여성 대통령, 첫 부녀 대통령

2016 정부 정신건강종합대책(2016-2020) 확정

2016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충남 홍성에서 유해발굴(-3.6까지 유해 21구 발굴)

2018 평창 겨울올림픽 폐막, 한국 종합7위(금 5 은 8 동 4), 흑자 619억원. 문재인 대통령 접견한 북한 고위급대표단 북미대화 용의 표명

1570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1세 파문당함

1841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 르노아르 태어남

1897 미국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윌리엄 포크너 태어남 『음향과 분노』 『성역』 『약탈』 “나는 다시 태어난다면 독수리가 되고 싶다. 그 아무 것도 독수리를 미워하거나 부러워하거나 바라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1915 1차 대전 중 독일군 독가스 첫 사용

-- 독일군이 연합군을 향해 대량의 염소가스 방출함으로써 눈에 보이지도 않고 미세한 틈을 비집고 들어가 생물체에게 치명적인 독가스가 처음 무기로 사용됨

1948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정부 수립

1954 나세르 이집트 총리 취임

1971 닉슨 미대통령 닉슨 독트린 발표

1984 브라질 쿠바탕 호 가솔린 관 폭발 500여명 사망

1986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미국 망명,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취임

1987 농구선수 마이클 조던(NBA 시카고 불스) 한 게임에 58점 기록

1991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바르샤바조약기구 군사조약 해제

2008 달러화 기준 유로 환율 최초로 1.5달러 돌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078 [역사 속 오늘] 03/28(1969) 김수환 대주교, 국내 첫 추기경 서품 머니북 2016-03-28 2079
2077 [역사 속 오늘] 03/27(1845) 이순신장군, 거북선진수 머니북 2016-03-27 1645
2076 [역사 속 오늘] 03/26(1910) 안중근의사 여순감옥에서 순국 머니북 2016-03-27 2075
2075 [역사 속 오늘] 03/25(1981) 민족대표 33인의 마지막 생존자 이갑성 세상 떠남 머니북 2016-03-25 2280
2074 [역사 속 오늘] 03/24(1998) 영화 ‘타이타닉’ 아카데미상 11개부문 휩쓺 머니북 2016-03-24 1812
2073 [역사 속 오늘] 03/23(1992) ‘서태지와 아이들’ 데뷔, 제1집 음반 발매 머니북 2016-03-23 1786
2072 [역사 속 오늘] 03/22(1962) 윤보선대통령, 정치정화법에 불만 표시하고 사임 머니북 2016-03-22 1955
2071 [역사 속 오늘] 03/21(2001) 정주영 현대회장(86세) 세상 떠남 머니북 2016-03-21 1783
2070 [역사 속 오늘] 03/20(1995) 일본 도쿄 출근길 지하철에서 사린 독가스 테러 머니북 2016-03-21 2155
2069 [역사 속 오늘] 03/19(2003) 미국주도 다국적군 이라크침공 머니북 2016-03-21 1840
2068 [역사 속 오늘] 03/18(1996) 무궁화위성 상용서비스 개시 머니북 2016-03-18 1717
2067 [역사 속 오늘] 03/17(1957) 필리핀 대통령 막사이사이 비행기사고로 세상 떠남 머니북 2016-03-17 2064
2066 [역사 속 오늘] 03/16(1420) 세종대왕, 왕실연구기관 집현전 설치 머니북 2016-03-17 1623
2065 [역사 속 오늘] 03/15(1960) 3.15 부정선거 제4대 대통령/5대 부통령선거,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머니북 2016-03-15 2025
2064 [역사 속 오늘] 03/14(1879) 20세기 최대의 물리학자인 독일물리학자 앨버트 아인슈타인 태어남 머니북 2016-03-14 1772
2063 [역사 속 오늘] 03/13(1986) 최은희-신상옥 부부, 홍콩에서 납북 8년만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탈출 머니북 2016-03-14 1960
2062 [역사 속 오늘] 03/12(2004) 국회, 헌정사상 첫 대통령 탄핵 소추 머니북 2016-03-14 2072
2061 [역사 속 오늘] 03/11(2011) 일본에 진도9.0 강진, 쓰나미 대참사 머니북 2016-03-11 2404
2060 [역사 속 오늘] 03/10(1938) 도산 안창호 옥중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6-03-10 2233
2059 [역사 속 오늘] 03/09(1871) 대원군, 서원 폐쇄 머니북 2016-03-09 2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