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너머 저쪽에는/누가 사나?//뻐꾸기 영 우에서/한나절 울음 운다.//산 너머 저쪽에는/누가 사나?//철나무 치는 소리만/서로 맞어 쩌 르 렁!//산 너머 저쪽에는/누가 사나?//늘 오던 바늘장수도/이 봄 들며 아니 뵈네.” -정지용(1902년 오늘 태어남) ‘산 너머 저쪽’

6월 20일 오늘은 세계 난민의 날, 난민협약의 의미와 가치 재확인, 난민보호라는 국제사회의 책임 전세계 공유 위해 2000년 유엔 제정,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2017년 세계 강제이주민(난민 난민신청자 국내실향민 포함) 6,850만 명(인구 110명당 1명 꼴, 매일 평균 44,500명 2초마다 한명씩 난민이 됨) 강제이주민의 52%가 18세 이하. 시리아 내전 강제이주민이 가장 많고, 난민을 많이 수용한 나라는 터키(시리아 난민 350만 명 수용) 파키스탄(140만명) 우간다(140만명), 자국 인구 대비 최다 난민 수용국은 레바논(100만명) 우리나라 수용 난민은 792명, 2017년 난민신청자 9,942명 난민 지위 인정 91명

645(고구려 보장왕 4) 당 태종 고구려 안시성 공격

1419(조선 세종 1) 이종무 대마도 정벌

1873(조선 고종 10) 독립운동가·임시정부 국무총리 성재 이동휘 태어남

1896(조선 고종 33) 이범진을 주미공사에 임명

1911 맹아와 고아를 위한 제중원 설치

1916 독립운동가 임병찬 순국

1926 국립박물관 경주분관 개관

1949 수도경비사령부 창설

1952 야당이 반독재호헌구국선언한 부산 국제구락부 회의장을 폭력배들이 습격

1957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발족

1962 제2한강교 기공

1963 주민등록법 시행

1963 태풍 셜리호 남해안 강타 사망 49명 실종 11명 이재민 17,861명 경작지 57,861정보 유실

1969 김영삼 의원 괴한에 습격당함

1973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km) 첫 전철 개통

1974 태백선 전철 개통

1983 문교부 학생체벌금지지침 발표

1985 제3차 남북경제회담 판문점서 열림

-- 남북한 물자교역 및 경제협력 추진과 부총리급을 위원장으로 하는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 설치에 관한 합의서 채택

1986 구병삼 고려대 교수팀 국내 첫 체외수정 시험관아기 출산 성공

1990 그리스 크레타섬 근해서 유조선 시킹호 탱크 폭발 한국선원 5명 사망

1991 30년 만에 지방자치 부활, 광역의회 선거에서 민자당 압승

2018 설조 전 불국사 주지 조계종 개혁 요구하며 단식 시작, 41일 만인 7.31 병원 이송

1837 빅토리아 영국여왕 즉위

1933 세계 여성의 날(3월 8일) 제정 주도한 독일혁명가 클라라 체트킨(76세) 세상 떠남

1946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발족

1963 미-소 직통전화협정 조인

1973 아르헨티나 독재자 후안 페론 18년 망명생활 청산하고 귀국

1976 이탈리아 총선거 유러코뮤니즘 대두

1986 스페인 총선 곤잘레스 총리와 노동자사회당 승리

1990 이란 북서부 규모7.7 지진 사망·실종 4만5천여 명

2007 중동 북동부 30년 만에 최악의 가뭄 140ha 농지 피해

2008 필리핀 해역서 태풍으로 페리호 침몰 800명 이상 사망

2011 러시아 카렐리아 공화국에서 레스에어 Tu-134 항공기 추락 사망 44명

2018 이란 여성들 1981.10.5일 이후 37년 만에 축구장(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입장해서 러시아 월드컵 경기(이란 대 스페인) 관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56 [역사 속 오늘] 01/31(1906) 영국 여성단체 참정권 쟁취 머니북 2015-02-02 2428
1655 [역사 속 오늘] 01/30(1948) 인도의 간디 힌두사원에서 반 이슬람 광신자의 총에 암살당함 머니북 2015-01-30 1901
1654 [역사 속 오늘] 01/29(2006) 비디오아트의 거장 백남준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29 1919
1653 [역사 속 오늘] 01/28(1898) 우리나라 첫 전화통화, 한성전기회사에서 개통 머니북 2015-01-28 1912
1652 [역사 속 오늘] 01/27(2010) 스티브 잡스, 터치스크린 태블릿PC 아이패드 첫 선 머니북 2015-01-27 1815
1651 [역사 속 오늘] 01/26(2006) 서울고법, 세계에서 처음으로 고엽제제조사 배상판결 머니북 2015-01-26 2533
1650 [역사 속 오늘] 01/25(1886)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한성주보> 발간 머니북 2015-01-26 1910
1649 [역사 속 오늘] 01/24(1989)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 6.25이후 기업인으로는 첫 방북 머니북 2015-01-26 1979
1648 [역사 속 오늘] 01/23(1997) 한보철강 부도 머니북 2015-01-23 2105
1647 [역사 속 오늘] 01/22(1926) 독립운동가 노백린 장군 세상 떠남(임시정부참모총장) 머니북 2015-01-22 2047
1646 [역사 속 오늘] 01/21(1936)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21 1990
1645 [역사 속 오늘] 01/20(2009) 용산참사 일어남. 머니북 2015-01-20 1795
1644 [역사 속 오늘] 01/19(1914)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에 안중근의사기념관 공식개관 머니북 2015-01-19 2149
1643 [역사 속 오늘] 01/18(1994) 재야민주통일운동의 대부 늦봄 문익환 목사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19 1781
1642 [역사 속 오늘] 01/17(1991) 미국의 이라크 전면공격, 걸프전 일어남. 머니북 2015-01-19 1920
1641 [역사 속 오늘] 01/16(1944) 시인 이육사 베이징감옥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16 1950
1640 [역사 속 오늘] 01/15(1973) 미국, 월남전 전면정지 발표(27일 평화협정조인 28일 정전) 머니북 2015-01-15 2087
1639 [역사 속 오늘] 01/14(1987) 서울대생 박종철,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고문으로 목숨 잃음 머니북 2015-01-14 1746
1638 [역사 속 오늘] 01/13(1782) 독일 극작가 실러의 <군도> 첫 공연, 독일연극사의 새 이정표 세움. 머니북 2015-01-13 1912
1637 [역사 속 오늘] 01/12(1923) 독립운동가 김상옥의사, 종로경찰서에 폭탄 의거 머니북 2015-01-12 1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