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의 生은 바람이 눕는 방향을 연습하는 시각 같은 것,/허름한, 더러 허망한 빛 빼고 어울리는 色 하나 걸치는 것,/그리하여 저 비탈의 억새만큼이나 가벼워지려는 것.//후두두둑 제비 날 듯 장맛비,/그러므로/雨期는 가볍다.”-정희성 ‘雨期는 가볍다’

7월의 제철채소와 과일=부추 애호박 가지 피망 노각 열무 꽈리고추 수박 참외 자두/해산물=장어 홍어 농어 갑오징어 민어/이때 구입하면 좋은 저장음식=토하젓 곤쟁이젓/이때 갈무리해야 하는 것=고추장아찌 깻잎장아찌 깻잎 말리기 산딸기주 자두주 담그기

943(고려 태조 26) 고려 세운 왕건 세상 떠남(음력 5월 29일)

1388(고려 우왕 14)년 위화도 회군한 이성계 9일 만에 개경 도착(음력 6월 1일) 최영 고양으로 귀양 보내고 우왕 강화도로 쫓아냄

1917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등 중국 상하이에서 독립운동단체 조직·후원 위해 무역회사 동제사 창립

1952 경찰 포위 속 발췌개헌안 국회통과(제1차 개헌)

1972 7.4남북공동성명 서울-평양 동시발표, 내용=조국통일원칙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남북간 긴장완화와 신뢰조성/다방면 교류/남북적십자회담 성사/서울-평양 상설직통전화/남북조절위원회 구성운영. 남측 대표=이후락 중앙정보부장/북측 대표=김영주 노동당 조직부장

1985 경제기획원 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안 발표

2007 증시 시가총액 1,000조원 돌파(1,014조1,567억원)

2015 세계유산위원회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최종 결정

- 조선인의 강제노역은 일본 정부 대표단의 발언록과 등재 결정문에 주석 형식으로 포함, 일본은 세계유산위원회에 후속 조치 경과보고서 2017년 12월까지 제출, 일본 외무상은 산업혁명 시설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직후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발언, 외교부의 초기 대응부실로 군함도가 일본 근대산업시설에 끼여 세계유산등재

2015 백제역사유적지구(공주 부여 익산 8개 유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우리나라 12번째) 등재

2017 북한 평북 방현에서 ICBM급 화성-14형 1발 발사

2018 남북통일농구 15년 만에 평양 유경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림

1776 미국 독립선언

1804 미국 소설가 나다니엘 호오도온(1804-1864) 태어남 “그녀는 아기의 이름을 ‘진주(Pearl)’이라고 지었다. 무척 값진 것-자기가 소유한 모든 것과 바꾼 것이기 때문이다.” 『주홍글씨』

1807 이탈리아 통일운동지도자 주세페 가리발디 태어남

1826 제퍼슨 미대통령 세상 떠남

1861 인도 체라푼지 지방 큰비, 7월 한 달 동안 9,300mm 강우(세계최고기록)

1934 폴란드 출신 물리학자 퀴리 부인 세상 떠남

-- 1903년 노벨 물리학상(라듐 플로늄 발견) 남편 피에르 퀴리와 공동수상 1911년 노벨 화학상(금속 라듐 분리성공) 1935년 딸과 사위(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이렌 졸리오퀴리 부부)는 화학상 공동 수상

1946 필리핀 공화국 수립 선언

1976 이스라엘 특공대 우간다 엔테베 공항에서 전격 인질구출작전 성공

1998 일본 관동지방 무더위(40.3℃) 사망 5명

2012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스위스 제네바)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입자의 결정적 단서 찾았다고 발표

-- 인류가 만든 최고성능의 입자가속기인 대형강입자충돌기(LHC)의 실험데이타 분석결과

-- 영국물리학자 힉스의 이름을 따 힉스입자란 말 처음 쓴 건 한국물리학자 이휘소

2018 일본 서남부 폭우 200여명 사망, 한 달 치 비가 사흘 동안 쏟아짐, 아베 신조 일본총리 술자리 논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53 [역사 속 오늘] 01/28(1898) 우리나라 첫 전화통화, 한성전기회사에서 개통 머니북 2015-01-28 1908
1652 [역사 속 오늘] 01/27(2010) 스티브 잡스, 터치스크린 태블릿PC 아이패드 첫 선 머니북 2015-01-27 1809
1651 [역사 속 오늘] 01/26(2006) 서울고법, 세계에서 처음으로 고엽제제조사 배상판결 머니북 2015-01-26 2524
1650 [역사 속 오늘] 01/25(1886)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한성주보> 발간 머니북 2015-01-26 1909
1649 [역사 속 오늘] 01/24(1989)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 6.25이후 기업인으로는 첫 방북 머니북 2015-01-26 1979
1648 [역사 속 오늘] 01/23(1997) 한보철강 부도 머니북 2015-01-23 2105
1647 [역사 속 오늘] 01/22(1926) 독립운동가 노백린 장군 세상 떠남(임시정부참모총장) 머니북 2015-01-22 2045
1646 [역사 속 오늘] 01/21(1936) 독립운동가 단재 신채호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21 1989
1645 [역사 속 오늘] 01/20(2009) 용산참사 일어남. 머니북 2015-01-20 1788
1644 [역사 속 오늘] 01/19(1914)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에 안중근의사기념관 공식개관 머니북 2015-01-19 2146
1643 [역사 속 오늘] 01/18(1994) 재야민주통일운동의 대부 늦봄 문익환 목사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19 1779
1642 [역사 속 오늘] 01/17(1991) 미국의 이라크 전면공격, 걸프전 일어남. 머니북 2015-01-19 1920
1641 [역사 속 오늘] 01/16(1944) 시인 이육사 베이징감옥에서 세상 떠남 머니북 2015-01-16 1948
1640 [역사 속 오늘] 01/15(1973) 미국, 월남전 전면정지 발표(27일 평화협정조인 28일 정전) 머니북 2015-01-15 2087
1639 [역사 속 오늘] 01/14(1987) 서울대생 박종철,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고문으로 목숨 잃음 머니북 2015-01-14 1746
1638 [역사 속 오늘] 01/13(1782) 독일 극작가 실러의 <군도> 첫 공연, 독일연극사의 새 이정표 세움. 머니북 2015-01-13 1911
1637 [역사 속 오늘] 01/12(1923) 독립운동가 김상옥의사, 종로경찰서에 폭탄 의거 머니북 2015-01-12 1761
1636 [역사 속 오늘] 01/11(1994) 허영호 씨 등 한국남극점 탐험대, 한국인최초로 남극점 정복 머니북 2015-01-12 2032
1635 [역사 속 오늘] 01/10(1863) 영국 런던에 세계 첫 지하철(6km) 개통 머니북 2015-01-12 1914
1634 [역사 속 오늘] 01/09(2007) 스티브 잡스, 터치스크린 가진 스마트폰 아이폰 첫 선, 아이폰은 1억대 이상 팔림 머니북 2015-01-09 2115